부동산[1]기본원리와 부동산금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동산[1]기본원리와 부동산금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용어정의 및 기초개념
2. 융자의 상환
3. 조정(변동)이자율 및 가변지불 융자
4. 채권과 지분의 혼합형 융자 및 기타
5. 담보금융과 신탁금융

본문내용

자에게 기존의 융자를 포함하여 추가적인 융자를 제의하게 되는데 이를 포괄융자라고 한다. 다만, 추가로 융자를 받는 것보다 이와 같이 포괄융자형태가 유리한 것은 추가융자의 경우는 후순위 저당이므로 이자율이 크게 높아지지만 포괄융자의 경우는 기존의 융자와 동등한 순위를 갖는 셈이므로 대출자로서는 위험부담이 낮아서 이자율이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5. 담보금융과 신탁금융
부동산을 담보로 융자를 받는 것을 담보금융 혹은 저당융자라고 한다. 이것은 차입자와 금융기관간에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을 할 경우 차입자가 대출의 담보로서 저당증서를 작성하고 아울러 대출에 대한 개인적 채무의 표시로서 약속어음을 작성하여 금융기관에 제출하는 방식을 말한다. 즉 부동산에 대한 담보권은 대출금상환을 담보하기 위한 것이며 항상 채권에 부속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신탁금융 혹은 신탁증서금의 방법은 대출자와 금융기관 외에 신탁회사가 관여하게 되는데, 차입자는 우선 신탁회사에 담보부 신탁약정에 의해 부동산을 신탁하고 담보신탁의 수익증권을 교부받아 이를 금융기관에 제출함으로써 융자를 받게 되는 것이다.
이글을 마치며 나의 생각및 느낌점
부동산에 평소에 관심이 많았으나 구체적인 용어를 알지 못해서 막막하고 어렵기만 한 부동산이였다. 그저 집값이 어디가 올랐었군... 하는 정도로 표면적인것만을 추구하고 수박 겉즐기 식으로 알고 있었다. 그리고 부동산에 이런 많은 금융상품과 법적 용어들이 섞여있을 줄은 몰랐다. 1층 앞에 담보대출 이것을 보면서 우리 아파트 집값이 얼마인가 보구나 이런것만 생각했지 그 안에 수많은 공식과 그리고 대출업체들의 이렇게 많은 대출경쟁이 있는줄은 꿈에도 몰랐고 부동산 하나만으로도 주식같이 이렇게 많은 파생상품이 생길줄은 몰랐다. 그리고 결국은 대출자가 갑이고 차입자가 을의 관계임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예전에 비하면 을의 신분상승이 이루어진 것 같다. 예전에는 갑 이라는 위치를 가진사람이 한정적이였기 때문에 이자율같은 것을 조율하는 것은 꿈에도 못 꾸었으나 지금은 이자율도 나름 조율할수 있다는 것을 이 보고서를 쓰면서 알게 되었다. 물론 아직도 법적으로 금융지원에서는 갑이 월등이 앞서 있지만 대출도 서비스화된다는 것을 감안하면 갈수록 그 격차가 줄어들 것 같다. 또한 국내의 부동산금융은 아직도 개척할 곳이 많다는 것을 깨달았다. 미국이나 일본등은 부동산의 파생상품과 변동금리가 무궁무진한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는 파생상품이 한정적이고 고정금리가 주로 시장을 형성한다는 점은 부동산시장이 개발할 것이 많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아직 좀더 타국들에 비해서 인간적이라는 것을 생각하게 되었다. 고정금리로 하면 변동하는 이자율에 따라 갑과 을이 서로 얼굴을 붉히지 않고 한번 맺은 계약으로 만기까지 변동없이 가게 되므로 이자율의 변동에 얼굴이 붉힐 일이 없다는 것은 나름 우리나라의 부동산 시장의 큰 장점일 수도 있다는 생각도 하였다. 이번 보고서를 기점으로 좀 더 부동산학의 실무적인 부분뿐 아니라 용어나 법쪽에도 흥미를 가져야 겠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4.14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64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