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시경검사 전후간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내시경검사 전후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NPO till next morning (IV hydration) except medication
2) V/S check q 30\' for 2hr
(단 bleeding 이나 부작용 발생시 자주 측정한다)
3) Chest discomfort, chest pain, 빈맥, 출혈증상을 관찰한다.
4) 검사 다음날 아침부터 LD->SD>TD 순으로 식이를 준다. (주치의 처방에 따른다)
* 참고 : Esophageal varix 는 한번에 제거가 불가능하므로 3~6개월 간격으로 10회 이상 치료해야 한다.
(단 최근의 bleeding 소견 시는 자주 시행함)
*EVL (Endoscopic Varix Ligation)
Esophageal varix를 제거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band를 이용하여 결찰 하는 것으로 시술 후 cheat pain 이 경감되고 esophageal stricture를 예방할 수 있다.
모든 절차는 sclerotherapy 와 동일하다.
ERCP(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1. 목적
1) 담도 질환으로 인한 황달바랭이 의심되거나 황달의 감별진단 목적으로 담도의 상태파악을 위해
2) 기타 담도의 선천성 기형과 같은 질환의 진단을 위해
3) 췌장 종양이나 만성 췌장염 등의 췌장질환 진단
4) 원인 미상의 상복부 동통
5) 췌액이나 담즙의 채취, 생검
6) 치료목적으로 유두부 괄약근 절개술, 담석제거, 쇄석술, 스탠트 삽입, 풍성확장술, 방사선치료등을 위해
2. 예약
3. 금기증
조영제 과민환자, 심폐기능 장애자, 급성췌장염(단담석, 췌장염은 제외)
4. 전처치
1) MN NPO
2) 수술, 검사, 마취 동의서를 받는다.
3) 18G 5%D/W 1L IV start
4) Chart와 함께 눕는차로 진단방사선과 투시방으로 보낸다.
5. 후처치
1) NPO : 6시간(검사당일 9~10am 경 가벼운 음료정도)
2) V/S check q 15\' ×2 → q 4hrs × 1day 만
3) IV fluid유지
4) tkdqhrqn 동통을 관찰하고 필요시에는 의사에게 보고한다.
5) 다음날 amylase/lipase를 check.
※ ENBD keep하고 온 경우는 매일 irrigation실시 및 양상을 관찰한다.
6. 합병증
1) 담관염(가장 흔한 사망요인)
2) 균혈증 : 1~14%
3) 급성췌장염 발생 : 혈청 amylase치 상승함
4) 담도누출, 출혈, 유두부 손상, 십이지장 천공
* ERCP를 이용한 치료적 중재 *
1) EST(Endoscopic Sphincterotomy)
-유두괄약근 절개술
1. 목적
1)치료적
① 결석제거술 : 총담관 결석, 담낭절제후 잔존 또는 재발결석, 간내결석, 거대결석
② 담도배액술 : 담관염, 담석췌장염, 양성담도협착
2) 진단
담도 및 췌관 생검(금기 : 심한 출혈성 경향시)
2. 전처치
ERCP와 동일
3. 후처치
1) PRN : Simple abd E/S check
2) Chill, Fever, Abd pain, Joundice 관찰
3) ENBD(Endoscopic nasobiliary drainage)의 양상관찰
4) 24hrs NPO
4. 합병증
출혈, 천공, 담관염, 췌장염.
2) Endoscopic Tx. of bile duct stones
3) Endoscopic retrograde biliary drainage (Biliary stent)
4) EPST
(Endoscopic Pancreatic Sphincterotomy)
Pancreatic stone removal
Polypectomy &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폴립제거술 및 내시경하 점막 절제술
1. 목적
1) Polyp 제거
Polyp 제거에 이용되며 size 의 제한이 거의 없다.(일반 polypectomy는 snare를 걸고 고주파 전류로 절제한다)
2) EMR
비유경형 폴립이거나 혹은 조기 위암이나 조기 대장암 중 일부에서 시행됨.
적절한 양의 희석된 Epinephrine을 내시경하에서 점막과 조직에 주사하여 점막과 점막하층 사이를 분리하여 Snare를 걸고 고주파로 병변을 절제함.
2. 예약
3. 전처치
1) MN NPO
2) 수술, 검사, 마취 동의서를 받는다.
3) 18G 로 5D 1L IV
4) Chart 와 함께 눕는차로 소화기 내시경실로 보낸다.
*시약 투약 방법 : Colon polyectomy 전처치는 colonscopy 와 동일
Colon polypectomy 전처치에 필요한 시약.
colonlyte 는 검사전날 내시경실에서 미리 받아온다.
① 검사당일 오전 8시에 colonlyte를 적당량의 미지근한 물을 1/3부터 용해시키고 다시 물을 부어 4L의 표시선까지 채운 후 잘 흔든다.
② 오전 9시부터 차게 한 용액을 한컵씩(240cc), 10분 간격으로 전부 먹게 한다.
4. 후처치
1) 검사 당일은 NPO, 검사 다음날 아침부터 LD->SD 으로 변경해 준다. (주치의 처방에 따른다). Stomach 은 검사 후 24hr NPO 한다.
2) V/S check q 15\' x 2 -> q 4hr x 1day
3) ABR 은 환자 상태에 따라 시행한다.
4) Hematemesis, abdominal or epigastric pain 관찰한다.
*심장계 검사 및 중재적 시술
Cardiac catheterization
-심도자법
1. 목적
주로 femoral blood vessel(artery, vein)을 통해 심장과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혈관으로 도관을 통과시켜 심장의 압력을 기록하고 조영제를 투입하여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2. 적응증
선천성 심장질환, 판막질환, 관상동맥질환의 진단 및 심장수술이나 풍선혈관 성형술의 결과를 평가한다.
3. 예약
1) 순환기내과 의사가 시행일을 결정한다.
2) 다른 과에서는 타과의뢰서를 순환기내과로 보낸다.
4. 금기증
1) 최근의 심근경색이나 심한 부정맥
2) 약물이나 조영제에 대한 과민반응
3) 선천성 심부전 등 호흡기 계통의 기능
  • 가격3,000
  • 페이지수43페이지
  • 등록일2011.04.14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66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