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2.1 외래어와 외국어
2.2 외래어 및 외국어 증가의 원인
2.3 신문을 통한 분야별 외래어와 외국어 사용에 관한 연구
2.3.1 신문 기사문의 외래어와 외국어의 사용 실태
2.3.2 분야별로 외래어와 외국어의 사용 특징
2.3.3『한겨래』와 『조선일보』,진보와 보수의 차이점
2.3.4 외래어와 외국어 사용의 문제점
2.4 신문 기사문의 외래어와 외국어의 영향
2.5 개선 방안
Ⅲ 결론
Ⅱ본론
2.1 외래어와 외국어
2.2 외래어 및 외국어 증가의 원인
2.3 신문을 통한 분야별 외래어와 외국어 사용에 관한 연구
2.3.1 신문 기사문의 외래어와 외국어의 사용 실태
2.3.2 분야별로 외래어와 외국어의 사용 특징
2.3.3『한겨래』와 『조선일보』,진보와 보수의 차이점
2.3.4 외래어와 외국어 사용의 문제점
2.4 신문 기사문의 외래어와 외국어의 영향
2.5 개선 방안
Ⅲ 결론
본문내용
② 사회적인 언어운동
사회적인 언어운동은 외래어 순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지니고 있다. 사회적인 언어운동을 통해서 사회전반의 잘못된 외래어 사용을 제한하며, 허용 범위를 적절하게 맞추어 외래어가 아무런 제약 없이 봇물 쏟아지듯 들어오는 것을 막아야 한다. 또한 사회 전반에 무비판적 외래어 차용을 경계하는 비판적 의식을 대중들에게 심어주어 외래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신중을 기할 것을 강조시켜야 한다.
얼마 전 11월 2일 금요일에 ‘바람직한 외래어 정책 수립을 위한 학술 토론회’가 열렸다. 이것은 급변하는 국어환경, 특히 외래어 남용 및 표기 혼란에 대처하는 종합적인 외래어 정책 수립을 위한 학술 토론회다. 여기서 많은 학자들이 모여 함께 논의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했다. 이런 사회적 움직임이 외래어를 순화시키고 우리말을 정화시키는 데 큰 영향을 끼칠 것이다.
공익광고협의회에서 제작하는 담배나 마약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담은 광고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외래어 순화 운동에 대한 것도 광고로 만들어서 사람들이 외래어 남용의 심각성을 알게 하는 것이다.
또 쇼 프로그램을 통해 외래어 순화 운동의 필요성을 보다 친근하게 받아들이게 할 수 있다. ‘상상 플러스’나 ‘우리말 나들이’처럼 점점 잃어가는 우리말을 배울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과 같은 맥락으로, 우리가 평소에 무의식적으로 남용하고 오용하는 외래어 사용 습관을 고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③ 개인의 의식 변화
외래어를 순화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지식인들의 각성이 필요하다. 일상 언어생활에서 외국어를 사용하고, 차용하는 주체는 지식인들이기 때문에 지식인들의 각성 없이 국어 순화 운동이 성과를 거두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지식인이 외래어나 외국어를 많이 쓰는 것이 그들의 자랑을 뽐내는 것이 아니라 국어를 망쳐가고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어야 한다.
연예인들의 각성 또한 필요하다. 요즘 대중가요의 가사나 연예인의 예명, 프로그램 이름 등에 사용되는 언어는 한국어뿐 아니라 외래어, 외국어도 다양하게 섞여있다. 이제 외래어, 외국어가 빠져 있으면 허전한 느낌까지 들게 한다. 연예인들은 매체를 통한 그 영향력이 강하기 때문에 우리말을 사랑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의식을 키워야 잘못된 언어 습관을 개선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일반인들도 외국어나 외래어로 된 상품명이나 상호명이 좀 더 멋있어 보이거나 우월한 것처럼 의식하는 것을 지양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외국 상호명이 붙거나 메이커가 있으면 무조건 좋게 생각하는 풍조 때문에 상품명이나 상호 명에 잘못된 외래어가 사용되어 있어도 아무 비판 없이 구입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인들 또한 이러한 풍조에서 벗어나 잘못된 외래어 사용에 대한 비판적 의식을 지녀야 한다.
Ⅲ결론
지금까지 한겨레 신문 및 조선 신문에 실려 있는 외래어 및 외국어에 대한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신문에서 나타나는 외래어와 외국어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런데 이 연구의 한계점이 있다. 먼저 선정한 신문 종류가 적어서 어느 정도의 설득력이 없다. 또한 제시하는 외래어나 외국어가 한 기사에서 나타나는 빈도를 분석하지 않고 아쉬운 점이 있다. 그리고 외래어와 외국어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필자는 외국인이니까 혼동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아서 조사 결과의 정확성이 떨어지기도 한다.
<참고문헌>
사전
국어교육연구소(1999), 국어교육학사전, 대교출판
국립국어연구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국내논저
고영근·남기심(2002)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金敏洙(1973) 國語政策論, 高麗大出版部
김석순(2003), 초등학생 읽기 자료에 나타난 외래어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金玲(2007) 효과적인 외래어 교육방안-中學生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朴慶淑(1993) 日刊新聞에서의 西歐語系 外來語 使用實態 ,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박수진, 도서와 정기 간행물에 나타난 외래어 및 외국어 사용 실태 조사와 번역 현상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박정애(2004), 언론매체에서의 외래어 사용 실태 고찰,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장성희(2007),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외래어 교육 방안,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희원(2004)외래어의 개념과 범위, 국립국어연구원
천신신(2011),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외래어 교육과 교재 개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가타
인터넷 신문 자료
사회적인 언어운동은 외래어 순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지니고 있다. 사회적인 언어운동을 통해서 사회전반의 잘못된 외래어 사용을 제한하며, 허용 범위를 적절하게 맞추어 외래어가 아무런 제약 없이 봇물 쏟아지듯 들어오는 것을 막아야 한다. 또한 사회 전반에 무비판적 외래어 차용을 경계하는 비판적 의식을 대중들에게 심어주어 외래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신중을 기할 것을 강조시켜야 한다.
얼마 전 11월 2일 금요일에 ‘바람직한 외래어 정책 수립을 위한 학술 토론회’가 열렸다. 이것은 급변하는 국어환경, 특히 외래어 남용 및 표기 혼란에 대처하는 종합적인 외래어 정책 수립을 위한 학술 토론회다. 여기서 많은 학자들이 모여 함께 논의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했다. 이런 사회적 움직임이 외래어를 순화시키고 우리말을 정화시키는 데 큰 영향을 끼칠 것이다.
공익광고협의회에서 제작하는 담배나 마약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담은 광고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외래어 순화 운동에 대한 것도 광고로 만들어서 사람들이 외래어 남용의 심각성을 알게 하는 것이다.
또 쇼 프로그램을 통해 외래어 순화 운동의 필요성을 보다 친근하게 받아들이게 할 수 있다. ‘상상 플러스’나 ‘우리말 나들이’처럼 점점 잃어가는 우리말을 배울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과 같은 맥락으로, 우리가 평소에 무의식적으로 남용하고 오용하는 외래어 사용 습관을 고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③ 개인의 의식 변화
외래어를 순화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지식인들의 각성이 필요하다. 일상 언어생활에서 외국어를 사용하고, 차용하는 주체는 지식인들이기 때문에 지식인들의 각성 없이 국어 순화 운동이 성과를 거두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지식인이 외래어나 외국어를 많이 쓰는 것이 그들의 자랑을 뽐내는 것이 아니라 국어를 망쳐가고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어야 한다.
연예인들의 각성 또한 필요하다. 요즘 대중가요의 가사나 연예인의 예명, 프로그램 이름 등에 사용되는 언어는 한국어뿐 아니라 외래어, 외국어도 다양하게 섞여있다. 이제 외래어, 외국어가 빠져 있으면 허전한 느낌까지 들게 한다. 연예인들은 매체를 통한 그 영향력이 강하기 때문에 우리말을 사랑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의식을 키워야 잘못된 언어 습관을 개선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일반인들도 외국어나 외래어로 된 상품명이나 상호명이 좀 더 멋있어 보이거나 우월한 것처럼 의식하는 것을 지양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외국 상호명이 붙거나 메이커가 있으면 무조건 좋게 생각하는 풍조 때문에 상품명이나 상호 명에 잘못된 외래어가 사용되어 있어도 아무 비판 없이 구입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인들 또한 이러한 풍조에서 벗어나 잘못된 외래어 사용에 대한 비판적 의식을 지녀야 한다.
Ⅲ결론
지금까지 한겨레 신문 및 조선 신문에 실려 있는 외래어 및 외국어에 대한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신문에서 나타나는 외래어와 외국어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런데 이 연구의 한계점이 있다. 먼저 선정한 신문 종류가 적어서 어느 정도의 설득력이 없다. 또한 제시하는 외래어나 외국어가 한 기사에서 나타나는 빈도를 분석하지 않고 아쉬운 점이 있다. 그리고 외래어와 외국어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필자는 외국인이니까 혼동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아서 조사 결과의 정확성이 떨어지기도 한다.
<참고문헌>
사전
국어교육연구소(1999), 국어교육학사전, 대교출판
국립국어연구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국내논저
고영근·남기심(2002)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金敏洙(1973) 國語政策論, 高麗大出版部
김석순(2003), 초등학생 읽기 자료에 나타난 외래어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金玲(2007) 효과적인 외래어 교육방안-中學生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朴慶淑(1993) 日刊新聞에서의 西歐語系 外來語 使用實態 ,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박수진, 도서와 정기 간행물에 나타난 외래어 및 외국어 사용 실태 조사와 번역 현상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박정애(2004), 언론매체에서의 외래어 사용 실태 고찰,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장성희(2007),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외래어 교육 방안,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희원(2004)외래어의 개념과 범위, 국립국어연구원
천신신(2011),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외래어 교육과 교재 개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가타
인터넷 신문 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