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 및 경막외 마취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누워있을 때는 두통이 사라지고 머리를 들거나 앉으면 심한 박동성 두통이 나타난다. 남자보다는 여자가, 특히 젊은 여자에게서 더 많이 발생하고 천자 24~72시간 사이에 가장 흔하고 수일, 수주간 지속되기도 한다.3.5~11%의 발생빈도가 있고 예방책은 가는 척추천자바늘을 사용하고 천자바늘의 사단을 경막의 섬유에 평행하도록 바늘의 끝이 원뿔형인 필첨바늘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수술 후에는 머리를 들지 않도록 한다. 수분섭취와 복대를 착용하고 북압을 증가시켜 뇌척수액의 유출을 막는다. 호전이 없을 때는 식염수액을 요추천자 부위의 경막외공간으로 주입하는데 다시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자가 혈액 10~20ml를 요추천자 부위의 경막외공간으로 주입하는 혈액봉합술(epidural blood patch)로 천자구멍을 막아 95%의 환자에게 두통이 사라지는 효과가 있다.
②요통
-대부분 심각하지 않고 요통의 빈도도 전신마취 후에 더 많다. 천자에 의한 외상, 국소마취제에 의한 자극, 인대긴장, 불편한 수술 제세를 장기간 유지함으로 발생할 수 있다.
③배뇨곤란
-자율신경은 마취회복이 늦어 회복후에도 지속될 수 있다. 오래동안 지속될 경우 요저류와 방광 팽창이 발생할 수 있고 대부분 마취에서 회복될 때까지 도뇨로 해결한다.
④신경성 후유증
-바늘에 의해 직접적인 손상이 원인일 수 있고 무감각, 저린감, 이상감각 등의 증상이 있고 수주내에 호전된다. 고농도의 국소마취제가 뇌척수액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국소적으로 작용할 때도 발생할 수 있다.
※참고문헌
1)마취통증의학 대한마취과학회 편저 2006, 여문각
2)
3)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5.22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92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