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본문내용
으로 파괴의 위험에 처한 유산의 복구 및 보호활동 등을 통하여 보편적 인류 유산의 파괴를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의 보호를 위한 국제적인 협력 및 각 나라별 유산 보호활동을 고무하기 위함.
ㆍ유네스코가 인류의 소중한 문화및 자연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1978년 만든것으로 미쉘 올립에 의해 도안
ㆍ상징- 가운데 사각형은 인간이 만든 형상이며 단(원)은 자연을 의미. 사각형과 원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은 인간과 자연이 밀접히 연관지어져 있음을 나타내며 둥근 로고는 세계의 표상이며 보호의 심볼임. 전체적으로 인간이 만든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의 상호보존 및 자연과 인간의 연관성을 상징
세계유산적 가치(문화재청 자료)
ㆍ창덕궁 - 동아시아 궁전 건축사에 있어 비정형적 조형미를 간직한 대표적 궁. 주변 자연환경과의 완벽한 조화와 배치
ㆍ종묘 - 제왕을 가리는 유교사당의 표본, 16세기 이래로 원형보존. 세계적으로 독특한 건축양식을 지닌 의례공간. 의례와 음악과 무용이 잘 조화된 전통의식과 행사가 이어지고 있음.
ㆍ석굴암, 불국사
- 석굴암 : 신라시대 전성기의 최고 걸작. 조영계획에 있어 건축, 수리, 기하학, 종교, 예술이 총체적으로 실현된 유산
- 불국사 : 불교교리가 사찬 건축물을 통해 잘 형상화된 대표적인 사례. 아시아에서도 그 유례를 찾기 어려운 독특한 건축미를 지님.
ㆍ해인사 장경판전
- 팔만대장경 : 오랜 역사와 내용의 완벽함, 그리고 고도로 정교한 인쇄술의 극치를 엿볼수 있는 세계 불교경전 중 가장 중요하고 완벽한 경전.
- 장경판전은 대장경의 부식을 방지하고 온전한 보관을 위해 15세기경에 건축된 건축물. 자연환경을 최대한 이용한 보존과학 소산물로 높이 평가됨
ㆍ수원화성 : 18세기에 완공된 짧은 역사의 유산. 동서양의 군사 시설이론을 잘 배합시킨 독특한 성. 방어적 기능이 뛰어남. 성벽 안에는 4개의 성문이 있으며 모든 건조물의 다양한 디자인과 모양을 지님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등재후보
ㆍ안동화회마을 - 마을구조, 가옥배치 등이 조선중기 이후의 모습을 간직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있어 우리나라의 전통생화문화와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는 뛰어난 문화유산이다.
ㆍ월성양동마을 - 산 계곡을 따라 펼쳐진 수려한 자연 경관과 어우러져 오랜 전통을 간직하고 있는 양동마을은 수많은 전통건조물과 양반가문의 예법, 혼례, 장례, 제사 등의 생활문화전통이 그대로 보존 계승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민속마을 중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어 중요한 가치가 있는 전통마을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 하회마을에 대해서는 15주차에 자세히 볼 것이며 양동마을에서는 서백당(손동만 가옥).
배치계획의 원칙
4. 배치계획의 원칙- 대칭과 비대칭/ 인공과 자연의 조화
배치계획의 원칙
ㆍ대칭적 비대칭, 비대칭적 대칭, 즉 대칭과 비대칭, 인공(건축)과 자연(지세와 안대)의 조화가 목표 - 이에 따라 중요건물 안으로의 접근시는 물론 안에서 밖으로 나올 때에도 움직임(안과 밖)과 머무름에 따른 공간의 연출, 변화가 빼어남
1) 사방의 위계와 중심성- 지세와 안대(앞산- 안산,조산)의 지리체계 이해- 주산과 지맥, 지세의 흐름 그리고 안대의 선택과 상호 관련됨
2)대칭과 비대칭의 조화- 프로그램(건물의 용도, 상징성등)과 자연을 읽는 의도적인 수법
- 자연스런 배치, 축의 굴절, 공간의 전이, 중층화, 대칭 속의 비대칭 수법 등, 다양한 수법들은 건물의 기능은 물론 지형, 지세 및 안대와의 조율에 의한것
3) 움직임(머무름)에 따른 사각교정 - 공간의 역동성, 깊이감
- 안에서 밖으로 시각구조, 밖에서 안으로의 시각구조에 따른 조정수법 역시 지세, 안대, 좌향등과 함께 조정된 결과
4) 중심성과 축성의 다의성 - 구성축, 지세축, 향축, 안대축, 시선축, 동선축, 주축-남북(전후)축, 부축-동서(좌우)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배치계획에 영향을 줌
중국 주택의 완벽한 대칭성과 우리 주택의 대칭- 비대칭성의 조화
ㆍ중국의 중정형 주택 사합원에서는 대칭성, 남붑과 동서의 축성강조
ㆍ우리의 경우 구(口)자형 안채의 경우 대칭인듯 하지만 내부공간, 안대와의 관계에서 비대칭적인 특성을 보임
베치계획의 실례Ⅰ
1. 자금성과 경복궁
<자금성> - 남북축과 구성축 일치, 엄격한 대칭 (천안문-오문-태화문-태화전-건청문-건청궁-어화문-신무문)
<경복궁> - 남북축과 구성축 부분적 일치, 느슨한 대칭 (광화문,홍례문-근정문-근정전-사정전) 경회루, 향원정 등 비대칭
- 건물크기 : 태화전) 66.1*35.1m, 근정전) 약 30*21m
- 앞마당 좌우 크기 : 태화전) 약180m, 근정전) 약120m (비교! 축구장 크기 105*68m, 한국 월드컵 경기장)
- 마당의 비어있음, 태화전, 근정전의 중심성(클라이맥스), 임금과 신하, 전후좌우의 위계
2. 불국사
ㆍ불국사의 창건 - 석굴암과 같은 서기 751년 신라 경덕왕때 김대성이 창건하여 서기 774년 신라 혜공왕때 완공
ㆍ토함산 서쪽 중턱의 경사진 곳에 자리한 불국사는 심오한 불교사상과 천재예술가의 혼이 독특한 형태로 표현되어 세계적으로 우수성을 인정받는 기념비적인 예술품이다. 불국사는 신라인이 그린 불국, 이상적인 피안의 세계를 지상에 옮겨 놓은 것으로 법화경에 근거한 석가모니불의 사바세계와 무량수경에 근거한 아미타불의 극락세계 및 화엄경에 근거한 비로자나불의 연화장세계를 형상화한 것이다.
ㆍ불국사의 배치계획 - 크게 두 개의 구역으로 나뉨
ㆍ대웅전 영역- 대웅전을 중심으로 청운교, 백운교, 자하문, 범영루, 자경루, 다보탑과 석가탑, 무설전 등이 있는 구역
ㆍ극락전 영역- 극락전을 중심으로 칠보교, 연화교, 안양문 등이 있는 구역이다.
ㆍ불국사의 대칭적 비대칭성
- 대웅전 영역의 경우 대칭적 비대칭성의 특징
대칭성 : 청운백운교, 자하문, 대웅전, 무설건
비대칭성 : 석가탑과 다보탑(검이불루/화이불치), 범영루와 좌경루(화려함/소박함), 석가탑과 다보탑의 대비, 석가탑과 범영루의 대비, 다보탑과 좌경루의 대비등
ㆍ(참고자료)다보탑과 석가탑
- 다보탑 : 석가탑의 맞은편에 자리한 다보탑은 다보 여래를 상징화한 것이다. 다보 여래는 석가 여래가 설법할
ㆍ유네스코가 인류의 소중한 문화및 자연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1978년 만든것으로 미쉘 올립에 의해 도안
ㆍ상징- 가운데 사각형은 인간이 만든 형상이며 단(원)은 자연을 의미. 사각형과 원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은 인간과 자연이 밀접히 연관지어져 있음을 나타내며 둥근 로고는 세계의 표상이며 보호의 심볼임. 전체적으로 인간이 만든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의 상호보존 및 자연과 인간의 연관성을 상징
세계유산적 가치(문화재청 자료)
ㆍ창덕궁 - 동아시아 궁전 건축사에 있어 비정형적 조형미를 간직한 대표적 궁. 주변 자연환경과의 완벽한 조화와 배치
ㆍ종묘 - 제왕을 가리는 유교사당의 표본, 16세기 이래로 원형보존. 세계적으로 독특한 건축양식을 지닌 의례공간. 의례와 음악과 무용이 잘 조화된 전통의식과 행사가 이어지고 있음.
ㆍ석굴암, 불국사
- 석굴암 : 신라시대 전성기의 최고 걸작. 조영계획에 있어 건축, 수리, 기하학, 종교, 예술이 총체적으로 실현된 유산
- 불국사 : 불교교리가 사찬 건축물을 통해 잘 형상화된 대표적인 사례. 아시아에서도 그 유례를 찾기 어려운 독특한 건축미를 지님.
ㆍ해인사 장경판전
- 팔만대장경 : 오랜 역사와 내용의 완벽함, 그리고 고도로 정교한 인쇄술의 극치를 엿볼수 있는 세계 불교경전 중 가장 중요하고 완벽한 경전.
- 장경판전은 대장경의 부식을 방지하고 온전한 보관을 위해 15세기경에 건축된 건축물. 자연환경을 최대한 이용한 보존과학 소산물로 높이 평가됨
ㆍ수원화성 : 18세기에 완공된 짧은 역사의 유산. 동서양의 군사 시설이론을 잘 배합시킨 독특한 성. 방어적 기능이 뛰어남. 성벽 안에는 4개의 성문이 있으며 모든 건조물의 다양한 디자인과 모양을 지님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등재후보
ㆍ안동화회마을 - 마을구조, 가옥배치 등이 조선중기 이후의 모습을 간직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있어 우리나라의 전통생화문화와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는 뛰어난 문화유산이다.
ㆍ월성양동마을 - 산 계곡을 따라 펼쳐진 수려한 자연 경관과 어우러져 오랜 전통을 간직하고 있는 양동마을은 수많은 전통건조물과 양반가문의 예법, 혼례, 장례, 제사 등의 생활문화전통이 그대로 보존 계승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민속마을 중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어 중요한 가치가 있는 전통마을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 하회마을에 대해서는 15주차에 자세히 볼 것이며 양동마을에서는 서백당(손동만 가옥).
배치계획의 원칙
4. 배치계획의 원칙- 대칭과 비대칭/ 인공과 자연의 조화
배치계획의 원칙
ㆍ대칭적 비대칭, 비대칭적 대칭, 즉 대칭과 비대칭, 인공(건축)과 자연(지세와 안대)의 조화가 목표 - 이에 따라 중요건물 안으로의 접근시는 물론 안에서 밖으로 나올 때에도 움직임(안과 밖)과 머무름에 따른 공간의 연출, 변화가 빼어남
1) 사방의 위계와 중심성- 지세와 안대(앞산- 안산,조산)의 지리체계 이해- 주산과 지맥, 지세의 흐름 그리고 안대의 선택과 상호 관련됨
2)대칭과 비대칭의 조화- 프로그램(건물의 용도, 상징성등)과 자연을 읽는 의도적인 수법
- 자연스런 배치, 축의 굴절, 공간의 전이, 중층화, 대칭 속의 비대칭 수법 등, 다양한 수법들은 건물의 기능은 물론 지형, 지세 및 안대와의 조율에 의한것
3) 움직임(머무름)에 따른 사각교정 - 공간의 역동성, 깊이감
- 안에서 밖으로 시각구조, 밖에서 안으로의 시각구조에 따른 조정수법 역시 지세, 안대, 좌향등과 함께 조정된 결과
4) 중심성과 축성의 다의성 - 구성축, 지세축, 향축, 안대축, 시선축, 동선축, 주축-남북(전후)축, 부축-동서(좌우)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배치계획에 영향을 줌
중국 주택의 완벽한 대칭성과 우리 주택의 대칭- 비대칭성의 조화
ㆍ중국의 중정형 주택 사합원에서는 대칭성, 남붑과 동서의 축성강조
ㆍ우리의 경우 구(口)자형 안채의 경우 대칭인듯 하지만 내부공간, 안대와의 관계에서 비대칭적인 특성을 보임
베치계획의 실례Ⅰ
1. 자금성과 경복궁
<자금성> - 남북축과 구성축 일치, 엄격한 대칭 (천안문-오문-태화문-태화전-건청문-건청궁-어화문-신무문)
<경복궁> - 남북축과 구성축 부분적 일치, 느슨한 대칭 (광화문,홍례문-근정문-근정전-사정전) 경회루, 향원정 등 비대칭
- 건물크기 : 태화전) 66.1*35.1m, 근정전) 약 30*21m
- 앞마당 좌우 크기 : 태화전) 약180m, 근정전) 약120m (비교! 축구장 크기 105*68m, 한국 월드컵 경기장)
- 마당의 비어있음, 태화전, 근정전의 중심성(클라이맥스), 임금과 신하, 전후좌우의 위계
2. 불국사
ㆍ불국사의 창건 - 석굴암과 같은 서기 751년 신라 경덕왕때 김대성이 창건하여 서기 774년 신라 혜공왕때 완공
ㆍ토함산 서쪽 중턱의 경사진 곳에 자리한 불국사는 심오한 불교사상과 천재예술가의 혼이 독특한 형태로 표현되어 세계적으로 우수성을 인정받는 기념비적인 예술품이다. 불국사는 신라인이 그린 불국, 이상적인 피안의 세계를 지상에 옮겨 놓은 것으로 법화경에 근거한 석가모니불의 사바세계와 무량수경에 근거한 아미타불의 극락세계 및 화엄경에 근거한 비로자나불의 연화장세계를 형상화한 것이다.
ㆍ불국사의 배치계획 - 크게 두 개의 구역으로 나뉨
ㆍ대웅전 영역- 대웅전을 중심으로 청운교, 백운교, 자하문, 범영루, 자경루, 다보탑과 석가탑, 무설전 등이 있는 구역
ㆍ극락전 영역- 극락전을 중심으로 칠보교, 연화교, 안양문 등이 있는 구역이다.
ㆍ불국사의 대칭적 비대칭성
- 대웅전 영역의 경우 대칭적 비대칭성의 특징
대칭성 : 청운백운교, 자하문, 대웅전, 무설건
비대칭성 : 석가탑과 다보탑(검이불루/화이불치), 범영루와 좌경루(화려함/소박함), 석가탑과 다보탑의 대비, 석가탑과 범영루의 대비, 다보탑과 좌경루의 대비등
ㆍ(참고자료)다보탑과 석가탑
- 다보탑 : 석가탑의 맞은편에 자리한 다보탑은 다보 여래를 상징화한 것이다. 다보 여래는 석가 여래가 설법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