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본론
2. 1 서지적 특징 2. 1. 1 문헌의 종류와 종류 2. 1. 2 서지학적 분류와 명칭
2. 1, 3 간행 연대 2. 1. 4 서명과 권책 2. 1. 5 현전하는 『용비어천가』의 판본
2. 2 국어사적 특징 2. 2. 1 음운과 성조 - 소실 문자를 중심으로
2. 2. 2 형태 (1) 곡용어 (2) 단어의 형성
2. 2. 3 조사
2. 2. 4 문법 요소 (1) 높임법 (2) 시간 표현 (3) 느낌 표현 (4) 특수 선어말 어미
2. 2. 5 표기법과 의미의 변화 (1) 연철과 분철 표기법 (2) 사이시옷 표기 (3) 종성 표기법 (4) 의미의 변화
Ⅲ. 결론
Ⅱ. 본론
2. 1 서지적 특징 2. 1. 1 문헌의 종류와 종류 2. 1. 2 서지학적 분류와 명칭
2. 1, 3 간행 연대 2. 1. 4 서명과 권책 2. 1. 5 현전하는 『용비어천가』의 판본
2. 2 국어사적 특징 2. 2. 1 음운과 성조 - 소실 문자를 중심으로
2. 2. 2 형태 (1) 곡용어 (2) 단어의 형성
2. 2. 3 조사
2. 2. 4 문법 요소 (1) 높임법 (2) 시간 표현 (3) 느낌 표현 (4) 특수 선어말 어미
2. 2. 5 표기법과 의미의 변화 (1) 연철과 분철 표기법 (2) 사이시옷 표기 (3) 종성 표기법 (4) 의미의 변화
Ⅲ. 결론
본문내용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학교문법』, 294쪽, 이관규, 월인, 1996
중세 국어에는 체언과 조사가 결합하는 현상인 곡용이 특수한 형태가 있다. 이것은 ㄱ 곡용어, ㅎ곡용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ㄱ 곡용어는 제1장 ‘남’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이 단어의 기본형은 ‘’또는‘나모’인데, 격조사에 따라 형태를 달리 한다.
환경
단독형
공동부사격
주격
보조사
처소격
목적격
형태
나모
용례
나모와(89장)
남기(84장)
남(2장)
남(48장)
남(86장)
‘ㅎ’곡용 ‘ㅎ’이 다음 조사에 이어지는 현상으로 중세 국어에서는 상당히 발견되는 것인데 비해, 현대 국어에서는 ‘안팎, 살코기, 암탉, 수컷’등 일부 복합어에서만 확인되는 현상이다. ‘ 내ㅎ(2장), 나라(6장), 길헤(10장)’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체언의 특이한 곡용으로 『용비어천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아’이다. 이는 ‘아>아>아우’로 변했는데, 제24장에서 ‘’(아우는)과 같은 형태로 쓰였다. ‘이’와 같이 주격 조사 앞에서는 ‘’의 형태로 나타나지만 공동 부사격 조사 ‘와’ 앞에서는 ‘아와’와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2) 단어의 형성
중세 국어에서 특이한 단어 파생법 중의 하나는 명사화 접미사‘-움’이 결합하는 형식과 형용사 어간에 ‘/의’가 결합하여 명사로 파생되는 현상이 있다. 『용비어천가』에서도 이런 용례가 발견된다. 96장의 ‘우루믈’은 ‘우룸+을’로 분석되는데, 이는 용언의 어간 ‘울+움+을’을 이어적기한 것이다. ‘-움’을 이관규는 의도법 선어말 어미 ‘-우-+ㅁ’의 결합하는 분석하고 있다.
또한 48장의 ‘半길 노’은 현대어로 “반길 높이인들”이라는 의미인데, ‘높(어간)+(명사화 접미사)+ㄴ’의 형태로 분석된다.
2. 2. 3 조사
이 절에서는 『용비어천가』를 통해 알 수 있는 중세 국어의 조사 체계를 격조사를 중심으로 현대 국어와 비교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중세 국어의 격조사 체계는 오늘날과 많이 다르다. 오늘날은 앞말의 받침 유무에 따라 이형태가 결정되지만 중세 국어에서는 받침 유무와 함께 양성과 음성에 의해서도 선택되기에 많은 차이가 있다. 첫째, 주격 조사 체계는 다음과 같다. 현대 국어와 같은 체계는 임진왜란 이후에 발생한다.
<표 2> 『용비어천가』의 주격 조사 체계와 용례
선행 음운
주격 조사
용례
자음
‘ 이’
미 기픈 (제2장)
모음
‘ㅣ’
시조(始祖)ㅣ(제3장)
‘ㅣ’나 ‘이’
생략
불휘(제2장)
둘째, 목적격 조사는 ‘ㄹ’인데 음운 환경에 따라 ‘/을’‘/를’등의 이형태로 나타나는데, 이형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표 3> 『용비어천가』의 목적격 조사 체계
선행 음운
목적격 조사
용례
양성과 자음
남(86장)
음성과 자음
을
帝業을 (제3장)
양성과 모음
션(제80장)
음성과 모음
를
‘번게를’(30장),
셋째, 관형격 조사로 ‘/의’, ‘ㅅ’, ‘ㅣ’ 등이 쓰여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ㅅ’은 유정물의 존칭과 무정물에 사용되어 관형격 조사의 기능을 나타낸다.
<표 4> 『용비어천가』의 관형격 조사 체계
선행 음운
관형격 조사
용례
양성 모음과 자음
사(사+, 88장)
음성 모음과 자음
의
宮監의 다시언마 (17장)
모음
ㅣ
公州ㅣ 江南(15장)
사잇소리
ㅅ
나랏 小民(52장)
넷째, 부사격 조사는 현대 국어와 같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여기서 현대 국어와 다른 것을 중심으로 살펴보자. 먼저 비교의 부사격으로 ‘이’가 쓰였다. ‘고성(古聖)이 동부(同符)하시니’(제1장)
공동격 조사는 현대 국어와 같이 와/과’가 있는데, 선행 체언이 ‘ㄹ’이나 모음이면 ‘와’가 쓰였고, 자음인 경우 ‘과’가 쓰였다는 점이 현대 국어와 다르다.
원인 부사격은 현대 국어에는 ‘에’로만 나타내는데 비해, 여기서는 모음조화 현상에 따라 ‘바라매’(제2장)처럼‘애’로도 나타난다.
처소 부사격도 음운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아래와 갔다.
<표 5> 『용비어천가』의 처소 부사격 조사 체계
환경
처소 부사격
용례
양성 모음 뒤
애
谷애 사샤(3장)
음성 모음 뒤
에
慶興에 사샤(3장)
‘ㅣ’ 모음 뒤
예
적인(狄人)ㅅ 서리예 (4장)
특수
의/
山 미틔 軍馬 두시고 (58장)
나 도니(101장)
현대 국어에서 ‘로’는 받침 없는 체언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붙어 움직임의 방향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인데, 『용비어천가』에서는 ‘바래’(2장)에서 ‘애’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다섯째, 호격 조사도 현대 국어와 달리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부를 때는 ‘하’를 사용했다. ‘님금하 하라쇼셔’(125장)
2. 2. 4 문법 요소
문법 요소에는 사동법과 피동법, 높임법, 시제 표현법 등이 관계되지만 이러한 문법 요소 실현에 관여하는 선어말 어미 등도 여기서 함께 살펴보도록 하자.
(1) 높임법
주체 높임법은 문장 속의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으로 오늘날에는 선어말 어미 ‘-(으)시-’에 의해 실행된다. 중세 국어에도 ‘-시-’는 있었지만 후속 형태가 모음으로 시작되면 ‘-샤-’가 실현되는 것이 오늘날과 다르다. 그 변화는 다음 표와 같다.
<표 6> 『용비어천가』의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형태
변화 유형
용례
-샤-
‘-아/어’에서 모음 탈락 후 축약
샤(1장)
-샤-
‘오/우’에서 모음 탈락
업스샤(80장)
-샴-
‘-옴/움’에서 모음 탈락+ㅁ
가샴 겨샤매 (26장)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는 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나 시상법 어미 ‘-거-’, ‘-더-’에 후행하지만 다른 선어말 어미에는 선행하는 특징이 있다. 오늘날에는 시상법이 후행하는 것과 비교하면 차이가 있으며, ‘-샤-’의 형태도 없다.
객체 높임법은 화자가 문장의 목적어나 부사어를 높이는 방법이으로 중세 국어에서는 상당히 발달했지만 현대국어에서는 활용형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용비어천가』에서는 음운적 환경에 따라 다양한 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가 쓰이는데, 구체적 용례를 통해서 알아보면 아래의 표와 같다.
<표 7>『용비어천가』의 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의 변화
선행 음운 환경
형태
후행 음운 환경
용례
‘ㄷ, ㅌ, ㅈ, ㅊ’ 뒤
‘--’
무성자음 앞
중세 국어에는 체언과 조사가 결합하는 현상인 곡용이 특수한 형태가 있다. 이것은 ㄱ 곡용어, ㅎ곡용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ㄱ 곡용어는 제1장 ‘남’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이 단어의 기본형은 ‘’또는‘나모’인데, 격조사에 따라 형태를 달리 한다.
환경
단독형
공동부사격
주격
보조사
처소격
목적격
형태
나모
용례
나모와(89장)
남기(84장)
남(2장)
남(48장)
남(86장)
‘ㅎ’곡용 ‘ㅎ’이 다음 조사에 이어지는 현상으로 중세 국어에서는 상당히 발견되는 것인데 비해, 현대 국어에서는 ‘안팎, 살코기, 암탉, 수컷’등 일부 복합어에서만 확인되는 현상이다. ‘ 내ㅎ(2장), 나라(6장), 길헤(10장)’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체언의 특이한 곡용으로 『용비어천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아’이다. 이는 ‘아>아>아우’로 변했는데, 제24장에서 ‘’(아우는)과 같은 형태로 쓰였다. ‘이’와 같이 주격 조사 앞에서는 ‘’의 형태로 나타나지만 공동 부사격 조사 ‘와’ 앞에서는 ‘아와’와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2) 단어의 형성
중세 국어에서 특이한 단어 파생법 중의 하나는 명사화 접미사‘-움’이 결합하는 형식과 형용사 어간에 ‘/의’가 결합하여 명사로 파생되는 현상이 있다. 『용비어천가』에서도 이런 용례가 발견된다. 96장의 ‘우루믈’은 ‘우룸+을’로 분석되는데, 이는 용언의 어간 ‘울+움+을’을 이어적기한 것이다. ‘-움’을 이관규는 의도법 선어말 어미 ‘-우-+ㅁ’의 결합하는 분석하고 있다.
또한 48장의 ‘半길 노’은 현대어로 “반길 높이인들”이라는 의미인데, ‘높(어간)+(명사화 접미사)+ㄴ’의 형태로 분석된다.
2. 2. 3 조사
이 절에서는 『용비어천가』를 통해 알 수 있는 중세 국어의 조사 체계를 격조사를 중심으로 현대 국어와 비교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중세 국어의 격조사 체계는 오늘날과 많이 다르다. 오늘날은 앞말의 받침 유무에 따라 이형태가 결정되지만 중세 국어에서는 받침 유무와 함께 양성과 음성에 의해서도 선택되기에 많은 차이가 있다. 첫째, 주격 조사 체계는 다음과 같다. 현대 국어와 같은 체계는 임진왜란 이후에 발생한다.
<표 2> 『용비어천가』의 주격 조사 체계와 용례
선행 음운
주격 조사
용례
자음
‘ 이’
미 기픈 (제2장)
모음
‘ㅣ’
시조(始祖)ㅣ(제3장)
‘ㅣ’나 ‘이’
생략
불휘(제2장)
둘째, 목적격 조사는 ‘ㄹ’인데 음운 환경에 따라 ‘/을’‘/를’등의 이형태로 나타나는데, 이형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표 3> 『용비어천가』의 목적격 조사 체계
선행 음운
목적격 조사
용례
양성과 자음
남(86장)
음성과 자음
을
帝業을 (제3장)
양성과 모음
션(제80장)
음성과 모음
를
‘번게를’(30장),
셋째, 관형격 조사로 ‘/의’, ‘ㅅ’, ‘ㅣ’ 등이 쓰여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ㅅ’은 유정물의 존칭과 무정물에 사용되어 관형격 조사의 기능을 나타낸다.
<표 4> 『용비어천가』의 관형격 조사 체계
선행 음운
관형격 조사
용례
양성 모음과 자음
사(사+, 88장)
음성 모음과 자음
의
宮監의 다시언마 (17장)
모음
ㅣ
公州ㅣ 江南(15장)
사잇소리
ㅅ
나랏 小民(52장)
넷째, 부사격 조사는 현대 국어와 같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여기서 현대 국어와 다른 것을 중심으로 살펴보자. 먼저 비교의 부사격으로 ‘이’가 쓰였다. ‘고성(古聖)이 동부(同符)하시니’(제1장)
공동격 조사는 현대 국어와 같이 와/과’가 있는데, 선행 체언이 ‘ㄹ’이나 모음이면 ‘와’가 쓰였고, 자음인 경우 ‘과’가 쓰였다는 점이 현대 국어와 다르다.
원인 부사격은 현대 국어에는 ‘에’로만 나타내는데 비해, 여기서는 모음조화 현상에 따라 ‘바라매’(제2장)처럼‘애’로도 나타난다.
처소 부사격도 음운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아래와 갔다.
<표 5> 『용비어천가』의 처소 부사격 조사 체계
환경
처소 부사격
용례
양성 모음 뒤
애
谷애 사샤(3장)
음성 모음 뒤
에
慶興에 사샤(3장)
‘ㅣ’ 모음 뒤
예
적인(狄人)ㅅ 서리예 (4장)
특수
의/
山 미틔 軍馬 두시고 (58장)
나 도니(101장)
현대 국어에서 ‘로’는 받침 없는 체언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붙어 움직임의 방향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인데, 『용비어천가』에서는 ‘바래’(2장)에서 ‘애’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다섯째, 호격 조사도 현대 국어와 달리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부를 때는 ‘하’를 사용했다. ‘님금하 하라쇼셔’(125장)
2. 2. 4 문법 요소
문법 요소에는 사동법과 피동법, 높임법, 시제 표현법 등이 관계되지만 이러한 문법 요소 실현에 관여하는 선어말 어미 등도 여기서 함께 살펴보도록 하자.
(1) 높임법
주체 높임법은 문장 속의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으로 오늘날에는 선어말 어미 ‘-(으)시-’에 의해 실행된다. 중세 국어에도 ‘-시-’는 있었지만 후속 형태가 모음으로 시작되면 ‘-샤-’가 실현되는 것이 오늘날과 다르다. 그 변화는 다음 표와 같다.
<표 6> 『용비어천가』의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형태
변화 유형
용례
-샤-
‘-아/어’에서 모음 탈락 후 축약
샤(1장)
-샤-
‘오/우’에서 모음 탈락
업스샤(80장)
-샴-
‘-옴/움’에서 모음 탈락+ㅁ
가샴 겨샤매 (26장)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는 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나 시상법 어미 ‘-거-’, ‘-더-’에 후행하지만 다른 선어말 어미에는 선행하는 특징이 있다. 오늘날에는 시상법이 후행하는 것과 비교하면 차이가 있으며, ‘-샤-’의 형태도 없다.
객체 높임법은 화자가 문장의 목적어나 부사어를 높이는 방법이으로 중세 국어에서는 상당히 발달했지만 현대국어에서는 활용형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용비어천가』에서는 음운적 환경에 따라 다양한 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가 쓰이는데, 구체적 용례를 통해서 알아보면 아래의 표와 같다.
<표 7>『용비어천가』의 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의 변화
선행 음운 환경
형태
후행 음운 환경
용례
‘ㄷ, ㅌ, ㅈ, ㅊ’ 뒤
‘--’
무성자음 앞
추천자료
통신언어에 관한 고찰
PC 통신 언어가 국어 생활에 미치는 영향
로동신문의 언어학적 분석
방언의 특징과 강원도 방언의 특징 및 예문
번역에서의방언
각 나라 별 광고의 특징
[사투리][방언][표준어][지방사투리]사투리(방언)의 사회인식과 사투리(방언)의 활용가치, 표...
화용론에 입각한 텍스트 분석 - 커피프린스1호점 제17화
대중매체 언어의 주관성(비 객관성) - 광고와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통신언어에 대한 고찰
[전통건축][공간창조][자연성][공간][샤머니즘]전통건축 특징, 전통건축 성격, 전통건축 사상...
[자폐성 장애, 자폐증, 전반적 발달장애]자폐성 장애(자폐증, 전반적 발달장애)의 정의, 분류...
가사문학(가사) 원한가, 매화가 작품분석, 가사문학(가사) 월여농가, 노처녀가 작품분석, 가...
통신 언어의 유형별 특징 분석: 운영자, 게시판, 대화방, 전자편지 언어를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