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움라우트 현상의 연구사적 고찰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움라우트 현상의 연구사적 고찰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硏究史 개관과 문제 제기
2-1 연구사 개관
2-1-1 음운론적 제약
가. 同化主의 음운론적 성격
나. 피동화주의 음운론적 성격
다. 介在子音의 음운론적 성격
라. 움라우트와 운소와의 관계
2-1-2 형태론적 제약

Ⅲ. 움라우트와 관련된 문제와 해결
3-1 동화주의 음운론적 성격
3-2 피동화주의 음운론적 요소
3-3 개재자음의 음운론적 성격
3-4 움라우트와 관련된 그 밖의 문제들
3-4-1 움라우트와 운소와의 관계
3-4-2 움라우트의 예외들에 대한 설명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어 움라우트 현상의 연구사적 고찰
Ⅰ. 서론
국어 음운론의 여러 主題 중에서 움라우트만큼 연구의 역사가 길고 또 폭넓게 다루어진 것은 없을 것이다. 1930년대에 이숭녕(1935)과 정인승(1938)에서 이 현상에 대한 중요한 음운론적 기제가 대체로 거론되었으며 그 후로 기왕의 결과가 수정정제되고 소홀하게 취급되었던 여러 문제들이 치밀하고 정밀하게 관찰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 현상은 1960년대 말까지 構造言語學의 이론과 방법에서 주로 통시적으로 연구되었으며 1970년대로 들어서면서는 生成音韻論의 이론과 방법에서 주로 공시적으로 연구되었다. 특히 70년대 이후에는 연구 대상 언어가 지역적으로 확대되면서 국어의 여러 下位方言들 상호간에 이 현상에 대한 비교 검토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 결과 각 방언들이 이 현상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음운론적, 형태론적, 제 層位에서의 제약조건들이 밝혀지게 되었다. 그러나 언어 자료를 有機的으로 정밀하게 관찰하고 우리의 사고를 기존의 지식에 의한 偏見에서 해방시킨다면, 우리는 지금까지 움라우트와 관련된 의심할 수 없는 여러 사실이 잘못이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국어의 움라우트 현상의 機制究明에 기여한 업적들을 연구사적으로 개관하면서 문제를 부각시키고 浮刻된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결안을 제시함으로써 움라우트 현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도달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Ⅱ. 硏究史 개관과 문제 제기
2-1 연구사 개관
일반적으로 국어의 움라우트 규칙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c - consonantal
v [-back] / [ -coronal ] + high
- back
이 규칙은 i나 j 앞에 치경음과 경구개음 이외의 자음이 있을 때, 그 앞의 후설모음은 i나 j의 전설성([-back])에 동화되어 그에 대립되는 전설모음으로 바뀐다고 말한다. 이 규칙에서 움라우트의 가능 환경과 영역은
v c - consonantal
+back - coronal + high
- back
이 되며 i나 j는 同化主, 후설모음은 被同化主, 그리고 그 사이에 있는 자음은 介在자음으로 명명된다. 국어 움라우트의 기제 구명은 이 영역내에 가해지는 음운론적, 형태론적 제약과 구성 음소들의 상호작용 방식을 밝히는 것이다. 여기에 시간을 결부시키면 이 현상이 통시적 현상인가 공시적 현상인가가 문제로 제기된다.
2-1-1 음운론적 제약
움라우트 가능 영역 내의 각 음소들에 대한 음운론적(또는 형태음소론적) 제약은 同化主, 被同化主, 介在자음에 대한 제약으로 나누어진다.
가. 同化主의 음운론적 성격
동화주에 대한 제약으로 맨 먼저 이 현상을 다룬 이숭녕(1935:108)은 움라우트의 동화주가 i와 j임을 밝혔다. 그리고 이 때의 동화주 i는 어원적으로 純正 i라야 한다는 주장이 김완진에 의해 제기되었다. 단순히 i가 동화주가 된다고 할 경우에는, ‘도미, 아기’ 등이 ‘되미, 애기’ 등으로 되는 사실과는 달리, ‘호미, 나비’ 등이 ‘회미, 내비’ 등으로 되지 않는 사실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호미, 나비’ 등이 가지고 있는 同化主 위치의 i는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j >i)에 의해 생성된 것이라는 점에서 그 예외성이 설명되는데 (예 호>호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8.17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55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