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론 <음운의 변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운론 <음운의 변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초분절 음소 및 음절
 1. 초분절 음소(suprasegmental phoneme)
 2. 음절

Ⅱ. 교체의 유형
 1. 중화
 2. 경음화(된소리화)
 3. 자음군 단순화
 4. 동화
 5. 첨가
 6. 탈락
 7. 축약
 8. 도치

본문내용

근 자음과 모음의 상대적 위치가 동일하며, 다만 전체적인 운율 형태에 따라 형태론적 범주가 결정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ex) 표준구조 CVCVC daras에서 사역형(causative)은 CVCCVC darras, 행위자형(agentive)은 CVCCVVC darraas, 분사형은 CVVCVC daaras).
2. 음절
1)음절의 실재
가. 문자의 역사 - 각 음절에 하나의 기호를 부여하여 그것을 단위로 글을 쓰는 문자체계 - 음절문자 체계 - 가 적지 않게 나타난다.
나. 발화실수
a. ad hoc --> odd hack
b. fish and tackle --> fash and tickle
c. magazine --> mazagine
분절음들이 서로 아무렇게나 바뀌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위치 - 음절초, 음절말, 음절중간 - 에 있는 음들이 서로 바뀌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음절구조 속에서 파악할 때 보다 간결하고 일반성 있게 설명이 가능하다.
다. 실어증 환자들은 일정한 단어들은 발음할 수 없어도 음절의 수는 기억하고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어린이들이 종알거릴 때 [ma ma ba ba]처럼 CV형태로 음절을 배우는 것처럼 보인다.
2) 訓民正音에 반영된 음절 인식
㉠ 凡字必合而成音(例義)
㉡ 盖字韻之要 在於中聲 初終合而成音(合字解)
㉢ 終聲復用初聲(例義)
㉠, ㉡을 현대의 음절 음운론적 관점에서 다시 구조화 하여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음절(syllable)
/|\\
초성 중성 종성
(onset) (nucleus) (coda)
- 초성과 종성의 순환적인 관계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음절구조의 인식. 그리고 중성은 단순히 모음에 대당되는 것이 아니라 음절의 봉우리(syllable peak)에 대당되는 개념.
- 초성과 종성의 구조적 관점에서의 유사와 차이에 대한 명백한 인식이 드러난다.
□ 교체의 유형
※ 교체(alternation)와 변화(change) : 통시적인 변화와 구분하여 공시적인 변화를 따로 교체라 하여 구분한다.
※ 공시와 통시
※ 음운 과정을 고찰하는 절차
1. 표면형을 통해서 기저형을 찾아낸다.
2. 이후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음운 과정을 분석한다.
㉠ 무엇이 바뀌었는가?
㉡ 그것이 어떻게 바뀌었는가?
㉢ 어떤 조건 또는 어떤 환경에서 바뀌었는가?
X → Y / ____Z
/ Z____
/ A____B
㉣ 그러한 교체가 필수적인가 아니면 수의적인가?
※ 완전 교체 / 부분 교체
- 부분 교체 : xy → yy\'
ex) 낮말 → [난말], 아기 → [애기]
- 완전 교체 : xy → yy
ex) 낮말 → [남말], 신라 → [실라]
※ 역행동화 / 순행동화
- 역행동화 : xy → yy
- 순행동화 : xy → xx
1. 중화 :
두 음소의 대립이 어떤 위치에서는 유지되나, 다른 위치에서는 유지되지 못할 때 이를 중화라 한다. 모든 환경에서 대립이 유지되지 못할 때 이를 절대 중화라고 하고, 특정 위치에서만 대립이 유지되지 못할 때 이를 조건 중화 또는 문맥 중화라 한다.
예1) 조건 중화
낟, 낱, 낫, 낮, 낯 → [낟]
집, 짚 → [집]
부엌, 기억 → [부억], [기억]
- 중화의 환경 : 자음 앞이나 단어의 끝
- 중화의 원인 : 음절말 자음의 불파화
예2) 절대 중화
: →
e : → E
2. 경음화(된소리화)
가. 불파화에 이은 경음화
/ㅂ, ㄷ, ㅅ, ㅈ, ㄱ/ → /ㅃ, ㄸ, ㅆ,ㅉ, ㄲ/ /{ㅂ, ㄷ, ㄱ}_____
[+cons, -s.g., -voiced] → [+c.g.] /[+cons, -son]____
ex)
목소리 → [목쏘리], 밭갈이 → [받까리]
잡다 → [잡따], 익다 → [익따]
집도 → [찝또], 낯도 → [낟또]
◆ 원인
a. 음성학적인 설명 : 음절말 자음의 불파화의 결과 기류가 한꺼번에 방출되면서 경음화가 일어남.
b. 음운론적인 설명 : 종성의 공명도는 후행음절 초성의 공명도보다 높아야 한다.(또는 종성의 강도는 후행 음절 초성의 강도보다 낮아야 한다.)
※ 공명도와 개구도, 강도
- 소쉬르(Saussure)의 개구도(aperture)(0 ~ 6)
폐쇄음 > 마찰음, 파찰음 > 비음 > 유음 > 고모음 > 중모음 > 저모음
- Jespersem의 공명도(sonority)(1 ~ 8)
무성폐쇄음, 무성마찰음 > 유성 폐쇄음 > 유성 마찰음 > 비음, l > ㄱ > 고모음 > 중모음 > 저모음
- 강도는 공명도의 역순
나. 관형형 어미 뒤에서의 경음화
먹을 것 → [머글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10.09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50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