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론-중화현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운론-중화현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머리말
중화란 어떤 음소가 특정한 조건에서 변별 기능을 잃고 구별되지 않게 되는 것을 말한다. 신지영, 차재은, 『우리말 소리의 체계』,한국문화사, p. 185.
우리나라 말에서의 중화현상에는 음절끝소리 규칙(=말음법칙, 대표음화)이 있다. 물론 이 규칙은 음절 말에서는 /ㄱ,ㄴ,ㄷ,ㄹ,ㅁ,ㅂ,ㅇ/만 발음이 실현된다는 뜻이다. 그러나 국어의 기본형에서는 다양한 자음이 올 수 있는데, 그 자리에 일곱 자음만 오는 것은 환경에서의 분포상의 제약이라고 할 수 있다. 이익섭, 『국어학개설』, 학연사, p.88.
그럼 지금부터 국어에서의 중화현상과 이 중화현상이 일어나는 원인과 환경에 대해서 알아보자.
본론
1) 중화현상이 일어나는 환경
(1) 자음 앞에서의 중화
① 장애음(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이 /ㅅ,ㅎ/을 제외한 자음 앞에 있는 경우이다. 양순임, 「음절 끝 닿소리와 된소리 되기」,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p. 23.
예) 앞잡이, 엎지르다, 앞만, 앞문, 같다, 얕보다, 깎다, 부엌만
장애음을 뒤따르는 분절음이 /ㅅ,ㅎ/을 제외한 자음일 때는 항상 중화가 일어난다. 이 경 우 형태론적 조건과 상관없이 음운적 조건만 충족되면 항상 규칙적으로 일어난다. 이때 중 화가 일어나는 환경을 음절 경계 앞이라 할 수 있다.
② 장애음 뒤에 /ㅅ/가 잇는 경우이다. 위의 책, 양순임, p. 24.
예) 앞사람, 꺾쇠, 맡소, 꽃사이
/앞사람, 꺾쇠/의 경우에는 중화가 일어나, 〔압사람〕, 〔꺽쇠〕로 발음된다. 그러나 /ㅅ/ 앞에 혀끝소리가 있는 /맡소, 꽃사이/의 경우 〔맏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5.26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15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