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인화 계보와 근대 영남문인화 형성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중국 문인화와 한국 문인화의 차이
1)중국과 한국의 산수화
2)중국과 한국의 사군자
2.묵죽화
3. 근대 한국 영남의 문인화
1)서병오
2)서동균

본문내용

• 문인 : 유가로서 인문적 교양을 지닌 지배적 ㆍ 지도적 위치에 있는 사람

• 문인층의 형성 : 당 중엽- 송대에 과거 제도를 기반.

• 문인의 특징 : 정신적으로 ‘反俗性 ’의 ‘隠逸 ’ 지향
시문ㆍ서화의 문예에 문학성과 反俗的 분위기 농후

• 문인화 : 문인에 의해 그려진 그림.
1. 탈속대상인 수묵 산수화
2. 지조와 절개의 상징인 사군자화

중국 산수화
북송, 곽희『林泉高致』〈山水訓〉

문인이 산수를 그리는 목적
① 임금과 어버이에 대한 충성심과 효심
② 임천을 그리워하는 마음과 운무와 노을을
벗 삼으려는 갈망

곽희 <조춘도>
특징 : 山紫水明 ㆍ反俗性ㆍ隠逸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1.08.30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6986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