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목차
1장. 서론 ·································································· p. 5
1. 선정동기 ······························································ p. 5
2. 서론 ····································································· p. 5
2장. 식품산업폐수 ···················································· p. 6
1. 식품산업폐수의 특성 ·············································· p. 6
1.1. 식품산업폐수 ·························································· p. 6
1.2. 식품산업의 용수 사용 현황 ········································ p. 7
2. 식품산업의 폐수 발생 현황 및 경로 ························· p. 8
2.1. 식품산업폐수의 발생 ················································ p. 8
2.2. 수질오염 ······························································ p.10
2.2.1. 수질오염의 원인 과 종류 ······································ p.10
2.2.2. 수질오염의 결과 ················································ p.11
3. 산업폐수배출 ························································· p.12
3.1. 산업폐수배출현황 ···················································· p.12
3.1.1. 업종별 폐수배출현황 ············································ p.12
(1). 낙농제품 및 아이스크림 제조시설 ······························ p.12
(2). 곡물가공품 제조시설 ············································· p.13
(3). 전분 및 당류 제조시설 ··········································· p.13
(4). 수생동물가공품 제조시설 ········································ p.14
(5). 조미료 및 식품첨가물 제조시설 ································ p.18
(6). 비알콜성 음료품 제조시설 ······································· p.22
3.2. 산업폐수의 배출관리 ··············································· p.26
3.2.1 국내 산업폐수배출허용기준 현황 ······························ p.30
3.2.2 국외 산업폐수배출허용기준 현황 ······························ p.31
(1) 미국의 배출허용기준 ·············································· p.31
(2) 일본의 배출허용기준 ·············································· p.32
3.3. 산업폐수배출허용기준 설정 체계 ································· p.34
3.4. 산업폐수배출기준[생태독성관리제도] 시행 ······················ p.35
3.5. 산업폐수배출허용기준 개선 방안 ································· p.36
3.5.1. 산업폐수배출허용기준 운영상의 문제점 ······················ p.36
3.5.2. 산업폐수배출허용기준 운영 개선방안 ························· p.36
3장. 식품산업의 폐수처리기술 ································· p.38
1. 업종별 발생 폐수
1. 선정동기 ······························································ p. 5
2. 서론 ····································································· p. 5
2장. 식품산업폐수 ···················································· p. 6
1. 식품산업폐수의 특성 ·············································· p. 6
1.1. 식품산업폐수 ·························································· p. 6
1.2. 식품산업의 용수 사용 현황 ········································ p. 7
2. 식품산업의 폐수 발생 현황 및 경로 ························· p. 8
2.1. 식품산업폐수의 발생 ················································ p. 8
2.2. 수질오염 ······························································ p.10
2.2.1. 수질오염의 원인 과 종류 ······································ p.10
2.2.2. 수질오염의 결과 ················································ p.11
3. 산업폐수배출 ························································· p.12
3.1. 산업폐수배출현황 ···················································· p.12
3.1.1. 업종별 폐수배출현황 ············································ p.12
(1). 낙농제품 및 아이스크림 제조시설 ······························ p.12
(2). 곡물가공품 제조시설 ············································· p.13
(3). 전분 및 당류 제조시설 ··········································· p.13
(4). 수생동물가공품 제조시설 ········································ p.14
(5). 조미료 및 식품첨가물 제조시설 ································ p.18
(6). 비알콜성 음료품 제조시설 ······································· p.22
3.2. 산업폐수의 배출관리 ··············································· p.26
3.2.1 국내 산업폐수배출허용기준 현황 ······························ p.30
3.2.2 국외 산업폐수배출허용기준 현황 ······························ p.31
(1) 미국의 배출허용기준 ·············································· p.31
(2) 일본의 배출허용기준 ·············································· p.32
3.3. 산업폐수배출허용기준 설정 체계 ································· p.34
3.4. 산업폐수배출기준[생태독성관리제도] 시행 ······················ p.35
3.5. 산업폐수배출허용기준 개선 방안 ································· p.36
3.5.1. 산업폐수배출허용기준 운영상의 문제점 ······················ p.36
3.5.2. 산업폐수배출허용기준 운영 개선방안 ························· p.36
3장. 식품산업의 폐수처리기술 ································· p.38
1. 업종별 발생 폐수
본문내용
····· p.66
1.1.5. 유수의 T-P 농도 증가 ········································ p.67
1.2. 활성슬러지 공법 ···················································· p.67
1.2.1. 포기불량 ························································· p.67
1.2.2. 부유물 유출 ····················································· p.68
1.2.3. 슬러지 벌킹 현상 ·············································· p.69
2. 처리기술의 대한 효율적인 대책 ······························ p.71
2.1. 유기물 및 질소, 인의 제거율 향상 ······························ p.71
2.1.1. F/M 비 및 FN/M 비 변화에 따른 제거율 ················· p.71
2.1.2. 내부반송비 변화 따른 제거율 ································ p.72
2.1.3. Anoxic/Oxic 반응조 부피비 변화에 따른 제거율 ········ p.73
5장. 결론 ································································ p.75
참고문헌 ···························································· p.76
1장. 서론
1. 선정동기
M공원 앞을 지나다 보면 하수도에서 악취가 코를 찌른다. 이는 뭐라 말 할 수 없는 역겨운 냄새이다. 그 악취를 맡으며, 과연 이 폐수들은 어떻게 발생되고, 어떻게 처리 되며, 재이용 될까? 라는 의문점을 가졌고, 그중에서도 평소 음식에는 까다로운 나는 식품공정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수는 처리 후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고, 처리방법에는 문제점이 없는지 보완점이 필요한지에 대해서 심도있게 다루어 보려고 한다.
또 얼마 전에는 전 세계를 뒤흔들었던 일본대지진·후쿠시마 원전사고가 있었다. 정말이지 인류의 종말론을 떠오르게끔 하는 사건중의 사건이라 할 수 있었다. 물론 전세계가 관심을 가지고 집중하고 있었지만, 난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능 냉각수가 바다로 유입 됐다는 소식이었다. 난 그 소식을 접하면서 “과연 우리나라의 산업공정에서 나오는 폐수들은 어떻게 처리되고 있을까?” 라는 의문점 또한 가지게 되었다.
2. 서론
산업폐수는 생활하수·축산폐수와 함께 수질오염을 일으키는 3대 점오염원 가운데 하나이다. 보통 공장폐수만을 말하기도 하는데, 그것은 제조업 시설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오염농도가 다른 업종보다 높고 오염부하량이 절대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산업이 다양화·고도화·대형화함에 따라 각 분야에서 새로운 형태의 오염원이 생겨날 뿐 아니라 배출량이 적고 오염도가 낮았던 기존의 산업 분야에서도 점차 심각한 상태로 확산되는 추세이다.
산업폐수는 생활하수에 비하여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처리율이 높지만 오염농도가 높고 오염 부하량의 절대량도 많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국내에서 산업폐수는 수질환경보전법에 의하여 관리된다. 산업단지의 경우 개별처리보다는 효율성이 높은 종말처리를 유도하기 위하여 설치비의 50%를 국고에서 지원하고 있다. 산업폐수에 포함되는 물질은 유기화합물질·유류·영양염류·병원성미생물·수은·용존 및 부유물질·색도·중금속·무기오염물·산·알칼리·세제류 등이다. 다양한 오염물질을 대상으로 하므로 안전한 처리를 위해서는 대상 오염물에 적합한 여러 가지 방법이 동원되어야 한다.
=> 산업폐수는 농업·임업·어업·광공업 등의 산업 활동에 사용된 뒤 배출되는 물을 일컫는데, 그 중에서도 최근 경제발전과 더불어 생활방식의 변화로 인해 식생활 습관이 간편화되고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가공식품들이 생산되고 있으며 그 생상규모도 급격히 중가하고 있다.
지금부터 이러한 가공식품을 생산하는 산업에서 나오는 식품산업폐수에 대해서 “식품산업폐수는 어떤 과정으로 발생하게 되며”, “또 어떤 처리기술로 폐수처리가 이루어지는지...”, “그 처리기술에 문제점이나, 필요한 보완점은 없는지...” 심도있게 다루어 보도록 하겠다.
2장. 식품산업폐수
1. 식품산업폐수의 특성
1.1. 식품산업폐수
식품산업폐수는 제품을 찜질, 해동, 약품처리 등으로 처리한 폐수와 원료 용기의 세척폐수가 주로 배출된다. 전자의 수량은 비교적 많지 않지만 유기물 농도가 높고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이 수천 ppm인 것도 많은 것이 그 특징이다.
식품산업은 원료 또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곡류가공업(도정 ·제분 ·제빵 ·제과 ·제면), 과일채소가공업(과일통조림 ·과일주스 ·잼 ·야채통조림 등), 우유가공업(액상우유 ·아이스크림 ·치즈 ·요구르트 등), 육가공업(햄 ·소시지 ·베이컨 ·고기통조림 등), 수산가공업(생선통조림 ·수산연제품 ·젓갈류 등), 유지가공업(식용유 ·쇼트닝 ·마가린 ·버터 등), 조미료제조업(장류 마요네즈소스 ·설탕 ·MSG ·핵산계 조미료 등), 음료제조업(주류 ·청량음료 ·젖산균음료 ·다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식품산업은 한 나라의 경제발전과 식생활 변화에 따라 많은 변천을 거쳐 현재에 이른다. 간장 ·된장 ·약주 ·탁주 ·청주 ·과자 ·국수와 같이 근대적 공업으로 출발하기 이전부터 가내공업적인 재래산업으로 나타난 것이 많이 있다. 이것은 식품이 소비재의 가장 기초적인 것으로서 사회구조나 기술이 다르더라도 어느 정도의 생산과 소비는 필수적이라는 사정에 기인한다. 따라서 식품공업에는 오늘날에도 다수의 영세기업이 모여 있다. 또한 식품공업의 원료를 공급하는 농업이나 수산업도 아직은 대규모의 경영이 적으므로 이들 산물을 가공하는 식품공업의 규모도 제약되게 마련이다. 대규모의 식품제조중에서 청량음료의 제조로 인해 발생하는 고농도의 유기성폐수는 현재 활성슬러지법 또는 접촉산화법등으로 처리하고 있으나 제조의 특성상 액성상태의 폐수가 방출되고 상당히 고농도이기
1.1.5. 유수의 T-P 농도 증가 ········································ p.67
1.2. 활성슬러지 공법 ···················································· p.67
1.2.1. 포기불량 ························································· p.67
1.2.2. 부유물 유출 ····················································· p.68
1.2.3. 슬러지 벌킹 현상 ·············································· p.69
2. 처리기술의 대한 효율적인 대책 ······························ p.71
2.1. 유기물 및 질소, 인의 제거율 향상 ······························ p.71
2.1.1. F/M 비 및 FN/M 비 변화에 따른 제거율 ················· p.71
2.1.2. 내부반송비 변화 따른 제거율 ································ p.72
2.1.3. Anoxic/Oxic 반응조 부피비 변화에 따른 제거율 ········ p.73
5장. 결론 ································································ p.75
참고문헌 ···························································· p.76
1장. 서론
1. 선정동기
M공원 앞을 지나다 보면 하수도에서 악취가 코를 찌른다. 이는 뭐라 말 할 수 없는 역겨운 냄새이다. 그 악취를 맡으며, 과연 이 폐수들은 어떻게 발생되고, 어떻게 처리 되며, 재이용 될까? 라는 의문점을 가졌고, 그중에서도 평소 음식에는 까다로운 나는 식품공정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수는 처리 후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고, 처리방법에는 문제점이 없는지 보완점이 필요한지에 대해서 심도있게 다루어 보려고 한다.
또 얼마 전에는 전 세계를 뒤흔들었던 일본대지진·후쿠시마 원전사고가 있었다. 정말이지 인류의 종말론을 떠오르게끔 하는 사건중의 사건이라 할 수 있었다. 물론 전세계가 관심을 가지고 집중하고 있었지만, 난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능 냉각수가 바다로 유입 됐다는 소식이었다. 난 그 소식을 접하면서 “과연 우리나라의 산업공정에서 나오는 폐수들은 어떻게 처리되고 있을까?” 라는 의문점 또한 가지게 되었다.
2. 서론
산업폐수는 생활하수·축산폐수와 함께 수질오염을 일으키는 3대 점오염원 가운데 하나이다. 보통 공장폐수만을 말하기도 하는데, 그것은 제조업 시설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오염농도가 다른 업종보다 높고 오염부하량이 절대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산업이 다양화·고도화·대형화함에 따라 각 분야에서 새로운 형태의 오염원이 생겨날 뿐 아니라 배출량이 적고 오염도가 낮았던 기존의 산업 분야에서도 점차 심각한 상태로 확산되는 추세이다.
산업폐수는 생활하수에 비하여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처리율이 높지만 오염농도가 높고 오염 부하량의 절대량도 많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국내에서 산업폐수는 수질환경보전법에 의하여 관리된다. 산업단지의 경우 개별처리보다는 효율성이 높은 종말처리를 유도하기 위하여 설치비의 50%를 국고에서 지원하고 있다. 산업폐수에 포함되는 물질은 유기화합물질·유류·영양염류·병원성미생물·수은·용존 및 부유물질·색도·중금속·무기오염물·산·알칼리·세제류 등이다. 다양한 오염물질을 대상으로 하므로 안전한 처리를 위해서는 대상 오염물에 적합한 여러 가지 방법이 동원되어야 한다.
=> 산업폐수는 농업·임업·어업·광공업 등의 산업 활동에 사용된 뒤 배출되는 물을 일컫는데, 그 중에서도 최근 경제발전과 더불어 생활방식의 변화로 인해 식생활 습관이 간편화되고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가공식품들이 생산되고 있으며 그 생상규모도 급격히 중가하고 있다.
지금부터 이러한 가공식품을 생산하는 산업에서 나오는 식품산업폐수에 대해서 “식품산업폐수는 어떤 과정으로 발생하게 되며”, “또 어떤 처리기술로 폐수처리가 이루어지는지...”, “그 처리기술에 문제점이나, 필요한 보완점은 없는지...” 심도있게 다루어 보도록 하겠다.
2장. 식품산업폐수
1. 식품산업폐수의 특성
1.1. 식품산업폐수
식품산업폐수는 제품을 찜질, 해동, 약품처리 등으로 처리한 폐수와 원료 용기의 세척폐수가 주로 배출된다. 전자의 수량은 비교적 많지 않지만 유기물 농도가 높고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이 수천 ppm인 것도 많은 것이 그 특징이다.
식품산업은 원료 또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곡류가공업(도정 ·제분 ·제빵 ·제과 ·제면), 과일채소가공업(과일통조림 ·과일주스 ·잼 ·야채통조림 등), 우유가공업(액상우유 ·아이스크림 ·치즈 ·요구르트 등), 육가공업(햄 ·소시지 ·베이컨 ·고기통조림 등), 수산가공업(생선통조림 ·수산연제품 ·젓갈류 등), 유지가공업(식용유 ·쇼트닝 ·마가린 ·버터 등), 조미료제조업(장류 마요네즈소스 ·설탕 ·MSG ·핵산계 조미료 등), 음료제조업(주류 ·청량음료 ·젖산균음료 ·다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식품산업은 한 나라의 경제발전과 식생활 변화에 따라 많은 변천을 거쳐 현재에 이른다. 간장 ·된장 ·약주 ·탁주 ·청주 ·과자 ·국수와 같이 근대적 공업으로 출발하기 이전부터 가내공업적인 재래산업으로 나타난 것이 많이 있다. 이것은 식품이 소비재의 가장 기초적인 것으로서 사회구조나 기술이 다르더라도 어느 정도의 생산과 소비는 필수적이라는 사정에 기인한다. 따라서 식품공업에는 오늘날에도 다수의 영세기업이 모여 있다. 또한 식품공업의 원료를 공급하는 농업이나 수산업도 아직은 대규모의 경영이 적으므로 이들 산물을 가공하는 식품공업의 규모도 제약되게 마련이다. 대규모의 식품제조중에서 청량음료의 제조로 인해 발생하는 고농도의 유기성폐수는 현재 활성슬러지법 또는 접촉산화법등으로 처리하고 있으나 제조의 특성상 액성상태의 폐수가 방출되고 상당히 고농도이기
추천자료
수질 오염의 복구 방법
환경오염의 실태와 해결책
[교양 환경과 오염] 수질오염의 원인과 대책
[환경오염][대기오염][수질오염][토양오염][환경오염 방지 정책][환경보존][환경보전][환경문...
오존 / 과산화수소 (Peroxone AOP)에 관하여..
[해양오염][바다오염][해양환경오염]해양오염(바다오염)의 오염원, 영향과 문제점 및 해양오...
수질오염과 해결방안 제안
수질오염과 해결방안 제안
COD망간 결과 보고서
안양천 오염의 현황 및 개선 대책
[퇴비화][퇴비][퇴비화 목적][퇴비화 특성][퇴비화 과정][퇴비화 조건][퇴비화 기술][퇴비화 ...
수질오염의 원인 및 수질오염 방지 기술 조사 연구
[환경기기분석][PBL 과제] [강우시 중랑천 물고기들의 집단 폐사 원인]
(환경미생물학 B형) ‘생물학적 질소 제거’에 대해서 서론 본론 및 결론으로 나누어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