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정맥정체성궤양
1) 정의
2) 원인
3) 뱡태생리
4) 진단
5) 입상증상
6) 치료
7) 간호
8) 합병증
2. 폐색전증
1) 정의
2) 원인
3) 뱡태생리
4) 진단
5) 입상증상
6) 치료
7) 간호
8) 합병증
3.림프질환
림프부종
림즈질환
* 참고문헌
* 국가고시문제
* 의학용어정리
1) 정의
2) 원인
3) 뱡태생리
4) 진단
5) 입상증상
6) 치료
7) 간호
8) 합병증
2. 폐색전증
1) 정의
2) 원인
3) 뱡태생리
4) 진단
5) 입상증상
6) 치료
7) 간호
8) 합병증
3.림프질환
림프부종
림즈질환
* 참고문헌
* 국가고시문제
* 의학용어정리
본문내용
있는데, 이때는 양측의 다리를 비교해 보는 것이 very nice!
- 정맥에 부종을 만질 수 있는지를 보고, 한쪽 다리에 정맥염이 있는 듯한 임상적 징후가 반드시 색전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검사에 정상처럼 보이는 반대편의 다리가 색전증의 부위가 될 수 있음.
- 간호사의 주요 역할은 모든 환자에게 폐색전증의 발생을 예방하고 위험 가능성이 있는 환자를 확인하는 것. 특히 정맥귀환이 느린 환자, 즉 골반에 외상(수술)이 있고, 하지의 외상(골반골절)이 있는 경우, 비만, 혈전성 색전증의 병력이 있는 사람, 정맥류, 임신, 울혈성 심부전, 심근경색증, 경구용 피임약 복용자, 악성 질환이 있는 사람, 수술 후 환자 및 노인 등을 고려.
- 폐음의 청진으로 호흡음이 감소됨을 알 수 있고, 이환된 부위에 천식음(wheezing)을 들을 수 있음. 심장의 청진시 폐동맥의 제2음이 커지게 되며, 제3음도 들리게 되는데 이는 폐동맥압 상승과 우심부전을 의미.
- 흉부 X-선 검사는 특별한 변화가 없고, EKG는 특성을 나타내지만 특이한 변화가 아니므로 이전의 EKG 결과와 비교하여 확인한다.
- 폐혈관 조영술은 폐색전증을 확진할 수 있고, 정맥관 조영술은 다리에 소리없이 존재하는 혈전을 찾기 위해 할 수 있음. 초음파는 확진의 비율을 상당히 높여 줌.
- 동맥혈 가스분석은 저산소혈증을 나타내고, 폐기능검사는 비정상일 수 있으나 페색전증에 대한 특징적인 소견은 아님.
6) 예방
- 충분한 양의 수분 섭취를 권장.(이는 탈수가 혈전을 형성하는 유발인자이기 때문)
- 혈소판 기능을 억압시키는 아스피린이나 dipyridamole과 같은 약물은 혈소판 응집을 예방하기 위하여 투여.
- 미국 심장 협회에서는 40세 이상인 사람이 복부나 흉부에 큰 수술을 받게 되면 수술 후 혈전형성이나 폐색전증을 예방하기 위해 소량의 헤파린을 투여하도록 권장. 헤파린은 수술 2시간 전에 피하로 주사한 후 환자가 퇴원할 때까지 매 12시간마다 투여. 응급처치
응급 치료의 목적 - 심폐계의 안정.
폐색전증으로 사망하는 대부분의 환자는 색전이 일어난 지 2시간 이내로 이때 응급처치가 필요하다.
저산소혈증과 호흡곤란, 청색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즉시 비강내로 산소를 투여.
약물이나 수분을 투여하기 위해 IV선을 확보.
폐혈관조영술과 혈액검사, 동맥혈 가스검사 등을 실시. (갑자기 폐혈관 저항이 증가하게 되면 우심실 부담이 증가하고 이는 급성 우심부전과 함께 심장성 쇼크를 일으킴.)
광범위한 색전증과 저혈압이 있으면 유치도뇨관을 삽입하여 소변 배설량을 모니터.
저혈압은 isoproterenol(폐혈관과 기관지를 확장시키는 역할)이나 dopamin을 서서히 주입하여 치료.
우심부전이 급하게 진행될 수 있으므로 EKG를 계속적으로 모니터.
대사성 산혈증을 교정하기 위하여 중조 중조 : 탄산수소나트륨.
를 투여. (필요에 따라 정맥내로 digitalis, 이뇨제, 항부정맥제를 투여.)
혈액을 채혈하여 전해질, 혈액요소질소, CBC, Hct 등을 검사.
임상적 징후 및 동맥혈 가스 검사 결과 필요에 따라 호흡기를 연결한
환자의 불안감과 흉부 불편감을 완화시키고, 기관내 삽관을 잘 할 수 있도록 하며, 호흡기에 쉽게 적응하게 하기 위하여 소량의 진통제(morphine)를 정맥내로 투여.
7) 치료
호흡기계 기능의 변화는 폐색전증에 의해 폐혈관의 크기가 감소되었기 때문에 올 수 있음.
그래서, 이 변화를 완화시키기 위해 혈전 제거를 위한 약물요법을 시도하자!
- 항응고 용법(헤파린, warfarin sodium) - 전통적으로 급성 심부 정맥 혈전증과 폐색전증의 일차적 치료로 사용되었지만, 이제는 혈전 용해요법(urokinase, streptokinase)이 심부정맥 혈전을 녹이거나 폐순환을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
- 혈전용해 요법은 혈전이나 색전을 더 빨리 용해시켜 폐순환의 혈액 역동성 기능을 회복. 장기적으로 보면 혈전용해 요법은 폐혈관에 영구적인손상을 막아 줌. 그러나 출혈이 중요한 합병증이 될 수 있음.
┗ 그러므로, 혈전용해제는 오금정맥에 이환된 혈전, 대퇴부나 골반의 심부정맥에 이환된 경우 또는 폐로 가는 혈류에 상당한 지장을 주는 광범위한 폐색전증시에만 권장할 수 있음.
┗ 혈전용해제를 주입하기 전에 thrombin time(TT)과 active partial thromboplastin time(APTT), prothrombin time(PT), Hct 및 혈소판 수치를 검사.
┗ 이 요법을 하는 동안에는 꼭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침습적 요법은 피하지만 치료적 모니터를 하기 위해 22-23게이지 바늘로 주의 깊게 정맥천자를 할 수 있음. 필요시 신선한 전혈, 적혈구 추출물, 냉동혈장 들을 투여하여 혈액 손실을 대체하고 출혈성 경향을 완화.
- 혈전용해제 투여 후 항응고요법을 시도. 헤파린을 투여한 후 절차대로 warfarin sodium을 투여.
- 호흡과 혈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그 밖에 방법을 시도. 산소요법은 저산소증의 교정, 폐혈관 수축의 완화 및 폐동맥 고혈압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시행.
- 탄력 스타킹은 표피 정맥계를 압박하고 심부 정맥에 흐르는 혈류를 증가시키기 위해 신음. 그러면 정맥 정체는 감소. 그러나 무릎을 구부리고 심장 높이 이상으로 다리를 올리는 것도 정맥 혈류를 증가시킴.
외과적 치료
색전제거술(embolectomy) 시도.
┗ 계속적인 저혈압과 쇼크 및 호흡 곤란이 있는 경우는, 폐동맥압이 상당히 높을 때와 혈관조영술에서 폐혈관의 큰 부분이 막힌 것으로 나타났을 때 등.
하대정맥의 혈류를 제대로 들어오게 하면서 통로를 잘게 나누어 혈전이 심장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게 해 주는 방법.
보청 기구인 우산형 여과기를 하대정맥에 삽입하여 폐색전증을 예방하는 방법.
8) 간호
간호사는 폐색전증의 결과로 오는 쇼크, 우심실부전, 심혈관계 합병증 가능성에 대해 민감하게 대처해야 한다.
- 다리의 수동적 및 능동적 운동을 격려 ; 혈전 형성의 예방은 간호사의 주요 책임이므로 안정하고 있는 환자 에게 정맥정체를 예방하기 위함. 다리의 근육 수
- 정맥에 부종을 만질 수 있는지를 보고, 한쪽 다리에 정맥염이 있는 듯한 임상적 징후가 반드시 색전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검사에 정상처럼 보이는 반대편의 다리가 색전증의 부위가 될 수 있음.
- 간호사의 주요 역할은 모든 환자에게 폐색전증의 발생을 예방하고 위험 가능성이 있는 환자를 확인하는 것. 특히 정맥귀환이 느린 환자, 즉 골반에 외상(수술)이 있고, 하지의 외상(골반골절)이 있는 경우, 비만, 혈전성 색전증의 병력이 있는 사람, 정맥류, 임신, 울혈성 심부전, 심근경색증, 경구용 피임약 복용자, 악성 질환이 있는 사람, 수술 후 환자 및 노인 등을 고려.
- 폐음의 청진으로 호흡음이 감소됨을 알 수 있고, 이환된 부위에 천식음(wheezing)을 들을 수 있음. 심장의 청진시 폐동맥의 제2음이 커지게 되며, 제3음도 들리게 되는데 이는 폐동맥압 상승과 우심부전을 의미.
- 흉부 X-선 검사는 특별한 변화가 없고, EKG는 특성을 나타내지만 특이한 변화가 아니므로 이전의 EKG 결과와 비교하여 확인한다.
- 폐혈관 조영술은 폐색전증을 확진할 수 있고, 정맥관 조영술은 다리에 소리없이 존재하는 혈전을 찾기 위해 할 수 있음. 초음파는 확진의 비율을 상당히 높여 줌.
- 동맥혈 가스분석은 저산소혈증을 나타내고, 폐기능검사는 비정상일 수 있으나 페색전증에 대한 특징적인 소견은 아님.
6) 예방
- 충분한 양의 수분 섭취를 권장.(이는 탈수가 혈전을 형성하는 유발인자이기 때문)
- 혈소판 기능을 억압시키는 아스피린이나 dipyridamole과 같은 약물은 혈소판 응집을 예방하기 위하여 투여.
- 미국 심장 협회에서는 40세 이상인 사람이 복부나 흉부에 큰 수술을 받게 되면 수술 후 혈전형성이나 폐색전증을 예방하기 위해 소량의 헤파린을 투여하도록 권장. 헤파린은 수술 2시간 전에 피하로 주사한 후 환자가 퇴원할 때까지 매 12시간마다 투여. 응급처치
응급 치료의 목적 - 심폐계의 안정.
폐색전증으로 사망하는 대부분의 환자는 색전이 일어난 지 2시간 이내로 이때 응급처치가 필요하다.
저산소혈증과 호흡곤란, 청색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즉시 비강내로 산소를 투여.
약물이나 수분을 투여하기 위해 IV선을 확보.
폐혈관조영술과 혈액검사, 동맥혈 가스검사 등을 실시. (갑자기 폐혈관 저항이 증가하게 되면 우심실 부담이 증가하고 이는 급성 우심부전과 함께 심장성 쇼크를 일으킴.)
광범위한 색전증과 저혈압이 있으면 유치도뇨관을 삽입하여 소변 배설량을 모니터.
저혈압은 isoproterenol(폐혈관과 기관지를 확장시키는 역할)이나 dopamin을 서서히 주입하여 치료.
우심부전이 급하게 진행될 수 있으므로 EKG를 계속적으로 모니터.
대사성 산혈증을 교정하기 위하여 중조 중조 : 탄산수소나트륨.
를 투여. (필요에 따라 정맥내로 digitalis, 이뇨제, 항부정맥제를 투여.)
혈액을 채혈하여 전해질, 혈액요소질소, CBC, Hct 등을 검사.
임상적 징후 및 동맥혈 가스 검사 결과 필요에 따라 호흡기를 연결한
환자의 불안감과 흉부 불편감을 완화시키고, 기관내 삽관을 잘 할 수 있도록 하며, 호흡기에 쉽게 적응하게 하기 위하여 소량의 진통제(morphine)를 정맥내로 투여.
7) 치료
호흡기계 기능의 변화는 폐색전증에 의해 폐혈관의 크기가 감소되었기 때문에 올 수 있음.
그래서, 이 변화를 완화시키기 위해 혈전 제거를 위한 약물요법을 시도하자!
- 항응고 용법(헤파린, warfarin sodium) - 전통적으로 급성 심부 정맥 혈전증과 폐색전증의 일차적 치료로 사용되었지만, 이제는 혈전 용해요법(urokinase, streptokinase)이 심부정맥 혈전을 녹이거나 폐순환을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
- 혈전용해 요법은 혈전이나 색전을 더 빨리 용해시켜 폐순환의 혈액 역동성 기능을 회복. 장기적으로 보면 혈전용해 요법은 폐혈관에 영구적인손상을 막아 줌. 그러나 출혈이 중요한 합병증이 될 수 있음.
┗ 그러므로, 혈전용해제는 오금정맥에 이환된 혈전, 대퇴부나 골반의 심부정맥에 이환된 경우 또는 폐로 가는 혈류에 상당한 지장을 주는 광범위한 폐색전증시에만 권장할 수 있음.
┗ 혈전용해제를 주입하기 전에 thrombin time(TT)과 active partial thromboplastin time(APTT), prothrombin time(PT), Hct 및 혈소판 수치를 검사.
┗ 이 요법을 하는 동안에는 꼭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침습적 요법은 피하지만 치료적 모니터를 하기 위해 22-23게이지 바늘로 주의 깊게 정맥천자를 할 수 있음. 필요시 신선한 전혈, 적혈구 추출물, 냉동혈장 들을 투여하여 혈액 손실을 대체하고 출혈성 경향을 완화.
- 혈전용해제 투여 후 항응고요법을 시도. 헤파린을 투여한 후 절차대로 warfarin sodium을 투여.
- 호흡과 혈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그 밖에 방법을 시도. 산소요법은 저산소증의 교정, 폐혈관 수축의 완화 및 폐동맥 고혈압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시행.
- 탄력 스타킹은 표피 정맥계를 압박하고 심부 정맥에 흐르는 혈류를 증가시키기 위해 신음. 그러면 정맥 정체는 감소. 그러나 무릎을 구부리고 심장 높이 이상으로 다리를 올리는 것도 정맥 혈류를 증가시킴.
외과적 치료
색전제거술(embolectomy) 시도.
┗ 계속적인 저혈압과 쇼크 및 호흡 곤란이 있는 경우는, 폐동맥압이 상당히 높을 때와 혈관조영술에서 폐혈관의 큰 부분이 막힌 것으로 나타났을 때 등.
하대정맥의 혈류를 제대로 들어오게 하면서 통로를 잘게 나누어 혈전이 심장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게 해 주는 방법.
보청 기구인 우산형 여과기를 하대정맥에 삽입하여 폐색전증을 예방하는 방법.
8) 간호
간호사는 폐색전증의 결과로 오는 쇼크, 우심실부전, 심혈관계 합병증 가능성에 대해 민감하게 대처해야 한다.
- 다리의 수동적 및 능동적 운동을 격려 ; 혈전 형성의 예방은 간호사의 주요 책임이므로 안정하고 있는 환자 에게 정맥정체를 예방하기 위함. 다리의 근육 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