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절제수술(hystrectomy) 환자의 수술 전. 후 간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궁절제수술(hystrectomy) 환자의 수술 전. 후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생식기관의 구조와 기능

1) 해부학적 구조

2) 부위별 기능

2. 자궁절제술

1) 정의

2) 자궁절제술 유형

3) 자궁절제술의 적응증

4) 수술방법(수술절차 포함)
(1) 복식 전자궁 절제술(total abdominal hystrectomy, TAH)
(2) 질식 전자궁 절제술(Vaginal total hystrectomy, VTH)
(3) 복강경을 이용한 자궁절제술(laparoscopic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LAVH)

5) 수술 전. 후 간호

(1) 수술전 간호

(2) 수술후 간호

(3) 퇴원교육과 추후 간호

참고문헌

본문내용

hystrectomy, VTH), 복강경을 이용한 자궁절제술(laparoscopic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LAVH)등이 있다.
2) 자궁절제술 유형
(1) 부분자궁 절제술(subtotal hystrectomy)
자궁 경부는 남겨두고 체부만 제거하는 수술
(2) 전자궁절제술(total hystrectomy)
자궁위 체부와 경부 전체를 제거하는 수술
(3) 난소난관절제술을 동반한 전자궁절제술
(total hystrectomy with salpingooophorectomyectomy)
난소, 난관과 자궁 전체를 제거하는 수술
* 전 자궁절제술+한쪽 난소절제술
* 전 자궁절제술+양쪽 난소절제술
(4) 근치자궁절제술(radical hystrectomy)
자궁전체, 양쪽 난소, 난관, 질의 일부, 자궁주위의 임파선, 인대까지 모두 제거하는 수술
3) 자궁절제술의 적응증
(1) 자궁근종
자궁근종은 가장 흔한 골반내 종양으로 더 이상 생식능력을 보존할 필요가 없을 경우 전자궁적출술이 적용된다. 비정상 자궁출혈, 골반통, 골반 압박감 등의 증상이 심각할 경우나 요도 압박 증상이 있으면서 임신 12주 이상의 크기로 자궁이 급속히 커질 때, 폐경 후에 커질 때 시행한다. 수술 전에 GnRH-a를 사용하여 근종의 크기를 줄이면 질식 전자궁적출술을 적용할 수 있다.
(2) 기능성 자궁출혈
대부분 무배란이 원인이기 때문에 에스크로겐, 프로제스틴, 경구용 피임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등으로 조절이 되나 빈혈이 있거나과다한 출혈이 있을 경우에는 전자궁적출술의 적응증이 된다. 이 경우에는 전자궁적출술에 대한 대안으로 자궁내막 제거술이나 절제술도 고려해보아야 하며 35세 이상의 환자에서는 전자궁적출술 시행 전에 반드시 자궁내막 조직 검사가 필요하다.
(3) 불응성 월경통
성인 여성의 10% 정도는 평균 한 달에 3일 정도는 월경통으로 생활에 지장을 받고 있다. 일차성 월경통으로 인하여 전자궁적출술을 시행하는 경우는 드믈고 대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나 경구용 피임제로 조절이 된다. 이차성 월경통의 경우는 자궁근종, 자궁내막증과 같은 원인을 먼저 제거해야 한다.
(4) 골반통
만성적인 골반통이 자궁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비수술적 치료에 반응이 없을 경우에는 전자궁적출술을 고려한다.
(5) 자궁경부 상피내종양
평편원추 경계부에서 이형성증의 최대 깊이는 5.2mm 정도로 대부분의 이형성증은 4mm 이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자궁적출술 보다는 냉동치료, 환상투열요법 등으로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더 이상 생식능력을 보존할 필요가 없는 여성에서 이형성증이 재발한 경우 또는 상이한 부인과적 문제가 동반된 경우에는 전자궁적출술의 적응증이 된다.
(6) 자궁탈출(Uterine prolapse)
복부 절개가 요구되는 동반된 문제가 없을 경우에는 질식 전자궁적출술을 시행한다. 골반 지지력의 결손(pelvic support defects)이 동반된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대한 치료도 필요하다.
(7) 산과적 응급상황
자궁 이완으로 인한 분만후 출혈이나 자궁파열, 골반 농양, 태반이상(placenta accreta/increta/percreta)의 경우에도 전자궁적출술이 적용된다.
(8) 골반염
가능하면 초음파나 CT 유도하에 경피루를 설치하여 배액을 시도하고 경정맥 항생제를 투여하고, 이런 치료에 반응이 없을 경우에 장기 제거를 고려 할 수 있다. 또한 난소-난관 농양이 파열된 상태에서 복막염 또는 패혈증의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이때 가임력 보존을 원하는 환자의 수술중에는 편측 또는 부분적인 자궁부속기 절제술을 고려한다. 양측 자궁부속기 절제술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향후 난자공여와 체외수정 시술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자궁은 보존하도록 노력한다.
(9) 자궁내막증
약물치료나 보존적인 수술로 대부분 치유가 가능하나 실패한 경우에는 자궁부속기 절제술 단독 또는 전자궁적출술을 포함한 수술을 고려한다. 자궁내막증 환자 중에서 불응성 골반통이나 월경통이 있고 요관이나 대장에 자궁내막증 병변이 있을 때 전자궁적출술이 시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10) 암
대장 또는 직장암 환자에서는 일차적으로 전자궁적출술과 자궁부속기 절제술이 필요하다.
(11) 양성 난소종양
가임력 보존을 원치 않거나 폐경기 전후의 여성에서는 전자궁적출술을 고려할수 있다.
4) 수술방법
(1) 복식 전자궁 절제술(total abdominal hystrectomy, TAH)
복식 전자궁 절제술(total abdominal hystrectomy, TAH)은 복부절개를 통해 실시되는데 만성 골반내 염증(chronic pelvic inflammatory disease), 자궁근종(myoma uteri), 악성난소종양(malignant ovarian tumor), 자궁내막증(endometriosis)등이 있을 때 자궁체 및 자궁경관(corpus and cervious uteri)를 모두 절제해내는 수술이다.
■ 수술절차
① 복부절개(incision of the abdomen)
20번 blade로 하복부 logitudinal insion 또는 Transverse incision을 한 후 10번 blade로 subcutaneous tissue를 incision하며 mosqito나 kelly로 bleeding point를 잡은 후 bovie로 지혈하고 silk로 kelly tie하여 bleeding control 한다.
② 근막절개(incision of the fascia)
20번 blade로 fascia에 약간 incision을 넣은 후 kelly 나 kocher로 절개된 fascia 양쪽을 잡아 벌린 후 mayo scissor로 길게 절개하여 이때 army navy retractor로 견인한다.
③ 복막절개(incision of the peritoneum)
Toothed forcep 2개로 peritoneum을 살짝 들어올린 후 10번 blade로 incision을 조금 넣어 kelly로 복막을 잡고 mayo scissor로 계속 복막을 절개한다. 절개된 복막은 모두 kelly로 잡아두고 소방 2개
  • 가격3,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9.25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42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