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심리학] 비행청소년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 심리학] 비행청소년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Ⅰ. 청소년비행의 정의

Ⅱ. 학교폭력
1. 개념 및 정의
2. 실태 및 유형
3. 원인 및 배경
4. 개선 및 지도방안

Ⅲ. 청소년 성비행
1. 청소년 성비행과 성매매의 정의 및 개념
2. 청소년 성매매의 유형
3. 청소년 성매매의 실태
4. 청소년 성매매의 원인
5. 개선 및 지도방안

Ⅳ. 청소년 가출
1. 가출청소년에 대한 정의와 유형
2. 가출청소년의 원인
3. 가출청소년의 현황
4. 가출청소년의 문제점
5. 가출청소년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Ⅴ. 청소년 자살
1. 정의
2. 청소년 자살의 실태
3. 청소년 자살의 다양한 요인
4. 청소년 자살 예방

Ⅵ. 청소년 인터넷 중독
1. 인터넷 중독의 정의
2. 인터넷 중독의 증상과 원인
3. 인터넷 사용 환경의 실태와 문제점
4. 개선 및 지도방안

결론
부록 (인터뷰 전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976)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자신에 대한 부정적 혹은 긍정적 평가와 관련된 것으로서 자기존경의정도와 자신을 가치 있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자기 자신의 모든 상황을 가치 있고 보람 있다고 생각하며 자신 있게 행동한다. 높은 자아존중감은 긍정적인 사회생활과 아울러 진취적이고 활력 있는 생활을 하며 반면에 자아존중감이 낮은 사람은 자신을 쓸모없고 무가치하며 약하다고 생각하여 스스로 학대하게 되고 열등감을 가지게 되기 때문에 부정적인 자기평가를 한다. 낮은 자아존중감은 무망감, 우울, 자살생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3) 자살 시도 경험
자살 행동으로 인한 죽음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단일 요일은 과거의 자살 시도 경험일 것이다. 자살을 시도한 남자청소년의 1/5과 여자 청소년의 1/3이 과거 자살 시도 경험이 있었으며, 또 다른 연구에서는 청소년 자살 시도자들 중 10%가 3개월 내에 다시 자살을 시도하거나, 자살 시도 경험과 관련하여 이전에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는 경우 자살로 사망할 가능성이 현저히 높으며, 과거 자살을 시도할 당시에 사용한 방법이 치명적일 수록 다시 자살을 시도할 가증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4) 자살사이트 방문 경험
최근 인터넷의 보급에 따른 부정적 영향의 하나로 ‘자살사이트’ 등장을 들 수 있다. 문성원(2002)의 조사보고에 의하면, 첫 사망자가 발생한지 6개월만에 총 25명이 자살사이트를 통해 자살하였다고 하였다. 그리고 자살사이트에 접속한 청소년의 34%가 실제 자살을 계획했음이 나타났다.
(3) 가족환경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환경에 관한 요인들을 보면 부모 및 가족애착이나 역기능과 같은 가족환경 요인, 가정문제 요인, 감독과 통제 요인, 의사소통 요인, 훈육의 정당성 요인, 부모의 반응적 또는 요구적 양육태도 요인, 정서적지지 요인, 학대 요인 등이 있다.
1) 부모의 반응적 양육태도
부모의 반응적 양육태도는 자녀에 대한 지원, 지지, 관심, 수용이 자녀에게 자신이 인정받고 사랑받는지를 보여 주는 부모의 칭찬, 격려, 그리고 애정 어린 행동이라고 말한다. (Amato 1990).
부모의 수용은 부모와 자녀 사이의 상호 작용과 긍정적인 행동을 촉진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다. 수용적인 부모의 자녀들은 자아존중감이 높을 뿐만 아니라 자아정체감 발달수준도 높다. 또한 부모의 자녀에 대한 지지와 지원이 자녀의 높은 자아존중감이나 학업성취와 심리적 적응과 상관관계가 있다. (Maccovy와 Martin, 1983)
부모로부터 거부당한다고 지각한 아동들은 부정적인 자기평가와 적개심, 의존심, 부정적 자아존중감, 자아적합성이 수용된다고 지각한 자녀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Rohner,1986)
권위적 양육태도와 지나친 통제, 지나친 보호는 우울과 슬픔, 무망과 깊은 관계성을 보고 했고, 캐나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살에 대해 연구한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와 무망, 우울과 상관이 있으며 이것은 자살생각으로 이어짐을 나타냈다.
부모의 친밀치 못함과 지원의 부족은 우울과 자살생각에 정적인 관계가 있다. 또한 부모의 거부가 청소년의 우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자살자 중 임상적으로 진단될 수 있는 우울증이 발견된 경우가 10% 미만 이었다는 연구는 청소년 자살을 단지 개인의 정신건강 측면으로만 볼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청소년의 경우에는 평소 잘 기능하던 정상청소년들도 심한 스트레스나 어려움을 회피하려는 충동으로 인해, 또는 남을 조종하거나 보복하거나 도움을 요청하는 수단으로써 자살을 택할 수 있다.
부모의 반응적인 양육태도로 인한 온정, 수용성, 관심, 친밀, 지지, 참견 정도에 따라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부정적인 양육경험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무망감, 우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고 수용적인 부모의 태도가 독재적이거나 방임적 양육태도보다 무망감, 우울, 자살생각을 예방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2) 부모의 요구적 양육태도
부모의 요구적 양육태도는 부모의 감시, 주장적 통제, 감동 정도를 통해 자녀의 행동을 부모가 옳다고 인정하는 방식으로 유도해 나가는 부모의 행동이라고 정의했다. (Amato, 1990)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무엇보다도 청소년기가 가지는 변화와 반항, 순응의 시기적 특성과 더불어 부모에 대한 애착과 독립에의 욕구가 상충하여 가족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무망감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청소년대상으로 1996~2000년 사이에 일어났던 자살시도자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 가족의 기능과 무망, 우울과 관계가 있음을 나타냈다.
청소년 우울과 자살생각은 부적절한 모자관계, 부모감독 결여, 남녀모두가 지각된 부모와 가족애착, 부모의 감시, 지나친 통제, 지시와 명령, 부모의 과잉보호, 감독부족, 감독과 통제 및 훈육의 정당성, 부모와의 빈약한 상호관계와 불안정한 가정환경, 체벌, 부모태도, 부정적 양육경험, 부모로부터 지나치게 간섭하거나 무관심할 때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여러 연구들은 부모의 요구적인 양육태도로 인한 부모의 감시, 주장적 통제, 감독 정도에 따라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부정적인 양육경험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무망감, 우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3) 가정 내 폭력
가족환경 중 가정폭력은 청소년의 자살에 매우 강력한 관련성이 있다고 알려져 왔다. 가정폭력은 부모간의 폭력을 목격하는 경우와 청소년 자녀가 부모로부터 폭력을 당하는 학대경험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가정 내에서 부모 폭력이 발생할 때 자녀가 이를 목격하는 내용과 정도는 광범위하다. 자녀는 부모가 폭력을 행사하는 자리에 함께 있으면서 폭력에 직접 관련되거나 폭력을 직접 목격할 수도 있으며 자신의 방에서 단지 소리만을 듣고 있을 수도 있다. 혹은 부모들이 입은 상처나 어질러진 집안을 보며 폭력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도 있을 수도 있다.
부모의 폭력에 노출된 자
  • 가격4,000
  • 페이지수96페이지
  • 등록일2011.10.01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52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