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중국어란?
A. 중국어의 정의
B. 중국어의 내력과 그 역사
II. 중국어의 구성과 언어상의 특징
A. 중국어의 구성
1. 성모(聲母)
2. 운모(韻母)
3. 성조(聲調)
B. 중국어의 언어상 특징
1. 단음절적(單音節的, monosyllabic language)적 특징
2. 성조(聲調, tone language)가 존재
3. 고립적 언어 (孤立語, isolating language)적 특징
4. 양사(量詞, measure word)가 존재
5.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어순적 특징
6. 주어, 동사, 목적어의 어순적 특징
7. 서면어(書面語)와 구두어(口頭語)가 존재
III. 중국어의 분류
A. 북경어(官话)와 중국 내에 존재하는 지방 방언의 분류
B. 북경어와 지방 방언의 공통점 차이점
C. 중국 내 소수민족의 언어 간략하게 소개
IV. 한국어와의 비교
- 한국어와 비교 시 중국어의 장점과 단점
V. 중국어의 중요성 (결론 부분)
- 세상사적, 선교사적 입장에서 본 중국의 중요성과 그에 따른 언어의 중요성.
A. 중국어의 정의
B. 중국어의 내력과 그 역사
II. 중국어의 구성과 언어상의 특징
A. 중국어의 구성
1. 성모(聲母)
2. 운모(韻母)
3. 성조(聲調)
B. 중국어의 언어상 특징
1. 단음절적(單音節的, monosyllabic language)적 특징
2. 성조(聲調, tone language)가 존재
3. 고립적 언어 (孤立語, isolating language)적 특징
4. 양사(量詞, measure word)가 존재
5.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어순적 특징
6. 주어, 동사, 목적어의 어순적 특징
7. 서면어(書面語)와 구두어(口頭語)가 존재
III. 중국어의 분류
A. 북경어(官话)와 중국 내에 존재하는 지방 방언의 분류
B. 북경어와 지방 방언의 공통점 차이점
C. 중국 내 소수민족의 언어 간략하게 소개
IV. 한국어와의 비교
- 한국어와 비교 시 중국어의 장점과 단점
V. 중국어의 중요성 (결론 부분)
- 세상사적, 선교사적 입장에서 본 중국의 중요성과 그에 따른 언어의 중요성.
본문내용
I. 중국어란?
A. 중국어의 정의
중국어는 해외에 있는 화교를 포함하여, 한족의 문화에 동화된 국내의 이민족들도 모어로 삼고 있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세계인구의 1/5이상)이 사용하는 언어로, 언어학상으로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한다. 중국의 문자는 한자(漢字)이며, 그 수는 6만여 자에 달한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서는 상용한자를 3,500자 정도로 제한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1964년에는 한자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간체자(簡體子)를 개발•보급하여 사용하고 있다. 민족자치구에서는 소수민족의 언어도 함께 사용하고 있다.
중국어는 예로부터 우리에게 아주 친숙한 외국어이다. 한국과 중국은 지정학적으로 역사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우리는 오래 전부터 한자라는 중국의 문자를 차용해왔다. 또한 이 한자를 매개로 중국문명을 받아들여 왔기 때문에 중국어와는 다른 어족에 속하는 언어인 한국어를 구사하고 있으나 중국어가 그리 낯설지 않은 외국어였다. 그러나 19세기말부터 20세기 말까지 1세기 동안의 현대사를 거치면서 한국과 중국의 관계는 소원해졌고 중국어는 우리에게 머나먼 과거의 역사 속으로 숨어버렸다. 그리고 중국어의 독특한 음성적 특징은 희화되어 우리의 청각 속으로 전달되어 왔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왜곡된 느낌은 80년대 이후 양국 관계가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옅어져서 중국어는 이제 영어, 독어, 불어 등의 서구언어와 대등한 위치로 올라서고 있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이것은 지난 몇 십 년간 우리가 중국어에 대하여 지녔던 편파적 느낌이야말로 정치적 갈등의 산물이었음을 확연히 드러내는 것이라고 하겠다.
중국인들이 하는 말을 우리는 중국어라고 부른다. 그러나 이 중국어라는 명칭은 일본인들이 "츄우고쿠고"라고 한데서 유래한다. 중국인들은 자기네 말을 "中國話"라고 부르며 지금은 "漢語"라고 통일하여 부른다. 그런데 이 한어라는 명칭은 대단히 포괄적인 것이어서 3000여 년 전의 갑골문으로부터 현대 중국어까지, 북쪽 끝 시베리아 접경 흑룡강성에서 말하는 북방방언에서 남쪽 끝 해남도(海南島)에서 말하는 남방방언까지, 동쪽 끝 상해에서 말하는 오(吳)방언에서 서남쪽 끝 곤명(昆明)에서 서남관화(西南官話)방언까지, 이렇게 광대한 지역에서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사용해 왔고 또 사용하고 있는 고금남북의 언어를 이른다. 물론 정확하게 의미를 제한할 경우, 고대한어, 현대한어, 한어방언 등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A. 중국어의 정의
중국어는 해외에 있는 화교를 포함하여, 한족의 문화에 동화된 국내의 이민족들도 모어로 삼고 있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세계인구의 1/5이상)이 사용하는 언어로, 언어학상으로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한다. 중국의 문자는 한자(漢字)이며, 그 수는 6만여 자에 달한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서는 상용한자를 3,500자 정도로 제한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1964년에는 한자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간체자(簡體子)를 개발•보급하여 사용하고 있다. 민족자치구에서는 소수민족의 언어도 함께 사용하고 있다.
중국어는 예로부터 우리에게 아주 친숙한 외국어이다. 한국과 중국은 지정학적으로 역사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우리는 오래 전부터 한자라는 중국의 문자를 차용해왔다. 또한 이 한자를 매개로 중국문명을 받아들여 왔기 때문에 중국어와는 다른 어족에 속하는 언어인 한국어를 구사하고 있으나 중국어가 그리 낯설지 않은 외국어였다. 그러나 19세기말부터 20세기 말까지 1세기 동안의 현대사를 거치면서 한국과 중국의 관계는 소원해졌고 중국어는 우리에게 머나먼 과거의 역사 속으로 숨어버렸다. 그리고 중국어의 독특한 음성적 특징은 희화되어 우리의 청각 속으로 전달되어 왔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왜곡된 느낌은 80년대 이후 양국 관계가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옅어져서 중국어는 이제 영어, 독어, 불어 등의 서구언어와 대등한 위치로 올라서고 있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이것은 지난 몇 십 년간 우리가 중국어에 대하여 지녔던 편파적 느낌이야말로 정치적 갈등의 산물이었음을 확연히 드러내는 것이라고 하겠다.
중국인들이 하는 말을 우리는 중국어라고 부른다. 그러나 이 중국어라는 명칭은 일본인들이 "츄우고쿠고"라고 한데서 유래한다. 중국인들은 자기네 말을 "中國話"라고 부르며 지금은 "漢語"라고 통일하여 부른다. 그런데 이 한어라는 명칭은 대단히 포괄적인 것이어서 3000여 년 전의 갑골문으로부터 현대 중국어까지, 북쪽 끝 시베리아 접경 흑룡강성에서 말하는 북방방언에서 남쪽 끝 해남도(海南島)에서 말하는 남방방언까지, 동쪽 끝 상해에서 말하는 오(吳)방언에서 서남쪽 끝 곤명(昆明)에서 서남관화(西南官話)방언까지, 이렇게 광대한 지역에서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사용해 왔고 또 사용하고 있는 고금남북의 언어를 이른다. 물론 정확하게 의미를 제한할 경우, 고대한어, 현대한어, 한어방언 등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추천자료
- 중국 향진기업과 농촌경제
- 중국 소수 민족에 대한 중국의 정책 레로트
- 사회주의체제 토지공유제를 바탕으로 한 중국 부동산 시장의 현황과 문제점
- 중국의 음식문화(한국과 비교)
- 중국의 개혁개방
- 라이프니츠와 중국
- 중국어 작문 지도 방법
- [중국문학][민간문학][소수민족문학][육유][몽롱시]중국문학의 변천, 중국문학과 되돌아보기...
- 중국경제발전의 역사적 전개와 현황에 대한 분석
-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영국의 대중국 경제·종교적 팽창의 군사적 결정성 - 아편전쟁기를 ...
- 티베트와 중국: 티베트의 역사와 현재 중국과의 관계
- 중국문화산책 A형)중국문화를 설명할 때 남방 문화와 북방 문화를 나누어 설명하기도 합니다....
- [언어의 이해 B형] 내적 언어학의 분야를 제시하고 각 분야에서 무엇을 어떻게 연구하는지를 ...
- [인간관계론]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예를 2가지와 각 나라마다 다른 신체언어의 사례 1가지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