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의 다문화교육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국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외국의 실태
1) 각국의 이민자 문제
2) 선진국의 이민정책 유형
3)다문화사회 진행과정과 사회적 갈등 비용의 관계
2. 각 나라별 다문화 교육 사례
1)미국
2)캐나다
3) 프랑스
4)영국
5)독일
6) 일본
7)호주
8)스웨덴
9)싱가포르

-첨 부-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지자체는 이주노동자의 수에 따라 중앙정부로부터 보조금을 지원받았다. 이 프로그램은 실패하게 되었는데, 그 원인으로는 지자체의 일자리 창출 미비, 스웨덴 실업률 증가 및 이주노동자의 사회복지체계 의존도 등이 있다. 또한 보조금은 이주노동자가 특정 지자체에 머물러야 지자체가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지자체로의 이동에도 제약이 따랐다.
1990년대에는 이주노동자가 자신의 거주 지역을 결정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변화하였지만 이는 상대적으로 일자리가 많은 대도시에 집중되어 또 다른 압력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2001년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이주노동자에 대한 위원회를 설치하였고, 2003년에 구조적 차별과 관계된 통합문제를 연구하는 새로운 위원회를 설치하여 이민 배경이 있는 사람들로 구성된 연구자들을 참여시켰다.
참고문헌
황범주 (2008),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정책 분석’, 안양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장미혜 외(2008),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Ⅱ):다문화 역량 증진을 위한 정책·사회적 실천 현황과 발전 방향(총괄보고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이선 외(2008),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문화정책 현황과 발전방향,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장인실 (2006),
미국 다문화 교육과 교육과정,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006, Vol 24, No. 4, pp. 27~53
제7회 경기다문화교육포럼 자료(2008)
국민고충처리위원회. (2004)
옴부즈만제도 연구자료집 -외국 전문옴부즈만 운영사례연구-
설동훈 (2006)
선진 외국의 다인종 다문화 정책사례. 월간 지방의 국제화 6월호.
윤인진 (2008)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 으로. 한국사회학 42(2):72-103.
이용승 (2004)
호주의 다문화주의. 동아시아연구 8호:177-205
장미혜 외(2008),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Ⅱ):다문화 역량 증진을 위한 정책·사회적 실천 현황과 발전 방향(총괄보고서),한국여성정책연구원.
Joy de leo (2003)
\"호주 국제이해교육의 동향“,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편. 국제이해교육의 동향-미국, 일본, 호주, 한국. 정민사
Kivisto, Peter (2002)
Multiculturalism in a Global Society. Blackwell publishing.
SCB. (2009)
Immigrants and emigrants by country of citizenship and sex. Year 2000-2008.
스웨덴 통계청(www.ssd.scb.se)
Tilbury, D. and Henderson, K. (2006)
Education for Intercultural Understanding in Australia,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편.
국제이해교육의 동향-미국, 일본, 호주, 한국. 정민사
<표> 나라별 교육정책 비교·분석표
프랑스
미국
캐나다
독일
일본
영국
호주
싱가포르
스웨덴
추세
-1980년대 이후 상호문화교육의 확대와 학교시스템에 강조
-1620년대 이민자들이 들어오면서 많은 갈등 속에 시작됨
-1971년 ‘다문화주의의 선언’ 이래 기조 정책으로 자리 잡음
-20세기 후반부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으로 시작
-1990년대에 재일외국인의 급속한 증대와 정주화 경향을 배경으로 ‘다문화공생 교육’이 태동
-2차대전 이후 식민지 국민의 대규모 영국이주로 다문화교육 인식제
-1970년대 중반부터 급증하는 이민인구의 압력이 주요인
-식민지시대부터 독립국가 형성까지 중국계,말레이계,인도네시아,기타 민족의 혼성국가로 출발
-스웨덴은 대규모 정착 이민을 받아들임.
(호주·캐나다와 아주 흡사한 다문화주의 정책을 채택)
담당 기구
-교육부 차원에서 강조
-국립이민문화 진흥청
-연방정부의 법적근거가 며련된 후에 주정부가 실제적인 실행
-국가수준에서 정책적 지원 제공
-각 자치주가 직접적 책임
-이주난민 연방청은 통합프로그램으로 23개 사무소 통해 시행
-행정, 지역사회 등 다양한 주체들과 협력하여 이에 대응
-각종 이민자 단체와 백인 주류사회 간 교류를 정부가 적극 지원
-국가행정기구를 독립적으로 운영
-애보리지널 업무부
-정부는 민족적 다양성의 증대에 따라 문화적 권리를 인정
-사회적 배제를 예방하는 ‘다문화주의 원칙’을 견지하고 있음.
교육정책방향
-관용, 비인종차별주의, 학문을 초월하는 접근 방법에 역점
-네티비즘, 동화주의, 용광로 이론으로 변화해 왔으며 다민족주의 지행
-인종적, 문화적 정체성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함
-독일사회의 기본적 가치를 이해시키며 생활 능력을 배양시키는데 초점
-편견과 차이를 허용하지 않는 어린이 육성 목표
-일본어 지도를 필요로 하는 외국인 어린이들을 위한 고교 수험과목 및 입학 정원 배려 등의 조치
-다문화교육과 학업성취도 개선에 초점이 맞춰짐.
-다양성 속에서 통합
-문화적, 언어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조정
-이민에 의해 인종별 분화가 이미 이루어진 싱가포르에서 영어를 제외한 모국어 교육은 해당 민족들의 사재로 운영됨.
-이민자에게 스웨덴어를 가르치기 위한 단계적 통합교육도 실시하고 있음.
교육
기관 및 프로
그램
-즉각적 교육법 훈련
-민족적 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강연
-이중언어 ESL 프로그램과 모국어 교수 병행
-사스캐체완 다문화법
-민족 언어 학습 프로그램
-상호문화 교육 프로그램
-가족 프로젝트
언어교육
-가와사키시 총합교육센터에는 일본어 지도와 심리 상담을 해주는 일본어 지도 협력자, 입시를 앞둔 외국인 어린이의 학습을 지원하는 강사가 있음.
-이는 주로 외국인에게 일본 사회에 적응할 것만을 요구하지 말고 일본인들도 그들의 문화를 이해해야 한다는 기본적인 정신이 깔려 있음.
-코리밀라
(Corrymeela)에 평화교육센타를 마련하여 세계분쟁지역의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남아공, 세르비아 등) 청소년지도자들을 한때 분쟁지구였었던 북아일랜드를 불러 모아 평화교육 갈등해소교육에 관한 워크

키워드

외국,   다문화,   교육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1.10.09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72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