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발달-중간교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발달-중간교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발달의 개요
1주 1강 ~ 3강

제2장 아동연구의 역사와 발달단계
2주 1강 ~ 3강

제3장 태아기의 발달
3주 1강 ~ 3강

4주 신생아기의 발달
4주 1강

제3장 신생아기의 발달
4주 2강 ~ 3강

제4장 영아기의 발달
5주 1강 ~ 3강

제5장 영아의 정서발달
6주 1강 ~ 3강

제6장 영아의 인지발달
7주 1강 ~ 3강

본문내용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임신부의 연령
-정상자녀를 출산활확률:20-30세 사이
-10대 임신부 저체중 지체아 출산시 태아의 결함가능성
-임신부의 연령이 많을 경우 기형아와 사산율증가
-다운증후군 자녀를 낳을 확률: 30세 이전 1/1000 40세이는 1/100
-모친의 임신횟수 태내환경은 첫아이가 불리
*첫임신 자궁과 태반의 순환이 느림
*둘째아이는 첫아이보다 신체가 크다. 출생결함/기형의비율낮다_
2)임신부의 영양상태
3)임신부질병
4)임신부의 정서상태
아동발달론
3주 3강
제 3장 태아기의 발달
담당교수 박대근
학습목표
-태아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말할 수있다
-출산과 신생아 발달을 말할 수있다
학습내용
-태아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출산과 신생아 발달
1. 태아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유전적요소
태아의발달
임산부영향
1.성장률
2.개인적특징
:신체적 특징& 성격
3. 비정상발달 유전적요소
:다운증후군
9개월의발달기간
l.임신초기(수정-3개월)
2.임신중기(4-6개월)
3.임신말기(7개월-출산)
1.임신연령
2. 건강상태
3.약물복용/중독
4.정서적상태
최근의 변화 정자수의 감소와 환경의 영향
남성의 정자수: 지난 10여년동안 1/3이나 줄어들었다는 연구결과
-영국 Dr 바타차이라
-1989-2002년까지 남성 7500명의 정액샘플을 분석비교
-영국남성들의 평균정자수가 29%감소(스코틀랜드 애버딘생식연구소)
-정액의 표준농도는 정액 1ml당 정자 2000만마리 이상으로 규정
-그러나 10여년 사이에 1400만마리수준으로 줄었음
-원인:환경호르몬의 영향, 약물, 음주, 흡연, 비만등 살충제등 환경에 잔존하는 화학물질의 영향
-정자수가 줄었다고 해서 남성의 생식력이 저하됐다고 결론내릴수는 없다
2.출산과 신생아발달
1)출산
(1)출산준비
임신말기-임신부는 척추가 뒤로 굽어져 등에통증
위,간,폐가 윌 올라가며 대장과 결장도 가슴까지 올라감
의학이 발달해도 아기가 10cm 안팎의 산도로 나오는 과정은 온갖위험
출산과정
준비기(진통기간)-배출기(20-90분)-산후기
2)출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
제왕절개:약 95%는 태아의 머리가 먼저나온다
그러나 엉덩이 부분이 먼저 나오는 경우가 4%
산소겨립증:분만시 가장 위험한 문제중 하나 산소결핍증
탯줄이 꼬였거나 태반이 출산전에 떨어지는 경우등
미숙아:37주 이전에 태어나거나 체중이 2.5kg 미만인 신생아
*조산아,, 미숙아 원인:혈액부적합 임신부당뇨 연령 흡연 약물복용등
조산아:신경반응이 완전하지 않고 근육약하고 혈관좁고 저항력낮다
미숙아:체온조절이 잘 안됨
온도와 습도가 적절하고 산소가 공급되는 보육기에서 자람
3)신생아검사
<표>Apgar척도의 기준 및 점수
영역
점수
0
1
2
심장박동
호흡
근육운동
피부색깔
반사기능
없음
없음
이완되고축처짐
청백또는창백
무반응
느림(1분당100회미만)
느림또는 불규칙
약함 약간의 움직임
몸통은 분홍 사지는청색
찌푸림또는약한울음
1분당 100회이상
좋음:정상울음
강함:능동적움직임
완전분홍
강한울음,기침,재채기
shaffer(1993)
아동발달론
4주 1강
4주 신생아기의 발달
담당교수 박대근
보조자료:학습내용 생각해보기 문제풀이(객관식3, 주관식2),정리하기 용어정리 중간기말시험문제등)제출
학습목표
신생아의 특징을 말할수있다
학습내용
신생아의 특징:성장
신생아의특징:뼈와근육
신생아의 특징:수면과 신경발달
1.신생아의 특징 성장
신체성장 <신생아> 12개월> 24개월>
키 약 50cm -약 70cm -약 88cm
몸무게 약 3kg 약 10kg- 약 13kg
(1)신체비율의 변화 신생아의 머리비율 전신의 1/4
성인머리크기는 전신의 1/6-1/8
2.신생아의 특징 뼈와 근육
(2)태아기 골격:부드러운 연골-석회질화
뼈의 성장-성장점“(epiphysis)-성장점과 뼈 본체사이에 성장판
신생아의 머리뼈
신생아의 머리뼈는 여러개의 뼈가 모여서 있다 신생아때는 뼈들이 완전히 결합되지 않아 머리에는 6개의 구멍(천문)이 있다 이중 확인할 수 있는 천문은 머리위 정수리 앞쪽의 대천문과 뒷부분의 소천문이다 소천문은 생후 6-8주정도가 되면닫힌다 그리고 12개월정도가 되면 대천문자리가 경화되면서 생후24개월내에 모두닫힌다
(3)근육발달 약 4개월 목가눔, 등배근육발달하여 뒤집기
출생시 신생아의 근육의 35%가 수분 근육섬유는 근육조직속의 세포질용액에 단백질과 염분이 첨가되면서 성장하기 시작한다. 약 4개월이되면 머리를 지탱하는 목의 근육이 먼저발달하고 몸통과 팔다리의 근육이 차례로 발달한다
3. 신생아의 특징: 치아 수면
(4)치아발달: 출생 6개월 =이가남
젖니: 아랫니-일정한 순서, 젖니는 20개
(5)수면의 변화
먹고-자고-배설(하루에 70%(16-18시간)을 잠)
수면주기 45분-2시간정도로 짧고
‘선잠(naps)’\'잠자기-깨어있기-울기\'
선잠을 자는이유: 신경계발달때문
신생아검사(복슴)-Apgar검사
심장박동 호흡 근육운동력 파부색깔 반사기능
신생아의 뇌무개 400g(성인뇌 25-30%)만2세경 성인의 75%까지증가
출생전 3개월-생후2년 두뇌 성장급증(brain growth spurt)시기 신경교(glia)의 발달로 급등됨
아동발달론
4주 2강
제3장 신생아기의 발달
담당교수 박대근
학습목표
신생아의 반사를 말할 수 있다
신생아의 뇌발달과 건강을 위한 처방을 말할 수있다.
학습내용
신생아의 반사
신생아의 뇌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소
캥거루케어와 피부접촉
1. 신생아의반사
신생아는 20가지 이상의 반사를 지니고
태어난다
반사운동은 뇌간(brainstem)에 의해 통제
되는데 아기의 신경학적 정상성을 평가, 반사
운동에는 생존반사와 원시반사가있다
생존반사는 눈깜박임 반사 젖찾기 반사
빨기반사 삼키기반사호흡반사등이며 신생아의
생존에 관계된다
원시반사는 모로반사 바빈스키반사 잡기반사
수영반사 걷기반사등이며 대부분 생후
1년내에 대뇌피질이발달하면서점차사라진다
생존반사, 원시반사
반사
반응과 의미
사라짐
생존반사
눈깜박임반사
눈에 강한빛이 비치거나 물체가급히다가오면눈을감거나 깜박여 눈을보호한다
지속
호흡반사
들숨과날숨으로 체내에 산소를 공급하고이산화탄소를 방출한다
지속
젖찾기반사

키워드

  • 가격3,500
  • 페이지수85페이지
  • 등록일2011.10.16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86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