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시론- 향가 배경설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시론- 향가 배경설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동요(薯童謠)
2. 혜성가(彗星歌)
3. 풍요(風謠)
4. 원왕생가(願往生歌)
5.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6. 헌화가(獻花歌)
7. 원가(怨歌)
8. 제망매가(祭亡妹歌)
9. 도솔가(兜率歌)
10.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11. 안민가(安民歌)
12. 도천수대비가(禱千手大悲歌)
13. 우적가(遇賊歌)
14. 처용가(處容歌)
15. 보현시원가(普賢十願歌)
16. 도이장가(悼二將歌)

본문내용

웠다.
②이때에 대왕이 개운포에서 놀다가(제사를 지내고) 돌아오려 하고 낮에 물가에 쉬고 있는데, 갑자기 구름과 안개가 자욱해서 길을 잃었다.
③왕이 괴이히 여겨 좌우 신하들에게 물으니 일관이 아뢰기를 “이것은 동해용의 조화이니 마땅히 좋을 일을 해주어서 풀어야 할 것입니다.”라 했다.
④이에 왕은 일을 맡은 관원에게 명하여 용을 위하여 근처에 절을 세우도록 했다.
⑤왕의 명령이 내려지자 구름이 개이고 안개가 흩어졌으므로 이로 말미암아 지명을 개운포라 하였다.
⑥동해용이 기뻐해서 아들 일곱을 거느리고 왕의 앞에 나타나 덕을 찬양하여 춤을 추고 음악을 연주하였다.
⑦그 중의 한 아들이 왕을 따라 서울에 들어가서 왕의 정사를 보좌하였는데 그의 이름을 처용이라 하였다.
⑧왕은 아름다운 여자를 그에게 아내로 주고 그 뜻을 잡아두고자 또 급간이란 관직을 주었다.
⑨그의 아내가 무척 아름다웠기 때문에 역신이 흠모해서 사람으로 변하여 밤에 그 집에 가서 몰래 동침하였다.
⑩처용이 밖에서 집에 돌아와 잠자리에 두 사람이 있는 것을 보고 이에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고 물러났다.
⑪그 때 역신이 형체를 나타내어 처용의 앞에 꿇어 앉아 “내가 공의 아내를 사모하여 지금 범하였는데도 공은 노여움을 나타내지 않으니 감동하여 아름답게 여기는 바입니다. 맹세코 지금 이후부터는 공의 형용을 그린 것만 보아도 그 문에 들어가지 않겠습니다.”고 하였다.
⑫이로 인하여 나라 사람들은 처용의 형상을 문에 그려 붙이어서 사귀를 물리치고 경사스러움을 맞아들이었다.
15. 보현시원가(普賢十願歌)
①이 향가는 균여가 불교의 대중화를 위하여 《화염경》의 보현십행원의 하나 하나에 향기 한 수씩을 짓고, 11장은 그 결론으로 된 사뇌가이다.
②고려 제4대 광종 연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이 작품은 경남 합천 해인사 장판으로 전하는 《균여전》에 향찰로 기록되어 있다.
③이 노래는 병든 자가 암송하여 병이 나았고 사람들의 입으로 전파되어 담벼락에 종종 쓰였다는 <균여전>의 기록으로 보아 주력과 신이한 영험을 지녔던 작품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그러나 불서의 내용을 그대로 옮긴 것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④균여와 같은 시대 사람이며 그의 <원왕가>를 한문으로 번역한 최행귀는 균여의 향기를 중국의 사부를 능가하는 작품으로 평가하였다.
⑤송나라의 군신들에게까지 전파되어 호평을 받았으며, 그들은 균여를 일컬어 “진실로 한 부처가 세상에 오신 것”이라고 칭송하였다고 한다.
16. 도이장가(悼二將歌)
①예종이 1120년(예종15) 왕이 서경(西京:平壤)에 행차하여 팔관회(八關會)가 열렸을 때, 그 자리에 개국공신 김락(金樂)과 신숭겸(申崇謙)의 가상희(假像戱: 가면극)를 보고, 왕이 두 장군에 대한 추모의 정을 이기지 못하여 지은 노래이다.
②신숭겸과 김낙은 태조 왕건이 견훤과 싸우다가 궁지에 몰렸을 때 왕건을 대신해서 죽은 공신이다.
③그 공을 높이 치하해서 태조 때부터 추모하는 행사를 벌였다.
④태조가 팔관회를 열고 여러 신하와 함께 즐기다가 두 공신이 그 자리에 없는 것을 애석하게 여겨, 풀로 두 공신의 허수아비를 만들어 복식을 갖추고 자리에 앉게 했다고 한다.
⑤그랬더니 두 공신이 술을 받아 마시기도 하고, 생시와 같이 일어나서 춤을 추었다고 한다.
⑥이러한 설명을 듣고 예종이 감격해서 한시와 함께 이 작품을 지었다고 한다.
⑦이러한 서술은 누가 두 공신의 가면을 쓰고 허수아비춤을 추는 놀이를 했음을 알려 준다.
⑧그런 풍속은 신라 이래로 오랜 유래를 가진 것이었는데, 두 공신의 일을 연유로 해서 팔관회의 절차에 편입된 다음에 예종 때에도 되풀이되었다고 보면 쉽게 이해가 간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10.28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05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