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수업에 앞서 1
Ⅱ. 단원의 안내 2
1. 단원명 2
2. 단원의 개관 2
3. 단원의 목표 2
4. 학습의 흐름 3
5. 학습의 계열 3
6. 단원의 전개 계획 4
Ⅲ. 이론적 배경 5
1. 초등학교 5학년의 인지발달 특성 5
2. 도형의 넓이 지도 방법 6
3. 평행사변형의 넓이 7
4. 원리 탐구 수업 모형 7
Ⅳ. 학습자 실태 분석 10
1. 일반적인 학급 실태 10
2. 교과 및 본시 학습 관련 실태 10
3. 실태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 14
Ⅴ. 본시 교수·학습 계획 15
1.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15
2. 판서 계획 21
3. 본시 평가 계획 21
첨부자료 21
Ⅱ. 단원의 안내 2
1. 단원명 2
2. 단원의 개관 2
3. 단원의 목표 2
4. 학습의 흐름 3
5. 학습의 계열 3
6. 단원의 전개 계획 4
Ⅲ. 이론적 배경 5
1. 초등학교 5학년의 인지발달 특성 5
2. 도형의 넓이 지도 방법 6
3. 평행사변형의 넓이 7
4. 원리 탐구 수업 모형 7
Ⅳ. 학습자 실태 분석 10
1. 일반적인 학급 실태 10
2. 교과 및 본시 학습 관련 실태 10
3. 실태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 14
Ⅴ. 본시 교수·학습 계획 15
1.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15
2. 판서 계획 21
3. 본시 평가 계획 21
첨부자료 21
본문내용
행사변형의 공통점은 무엇입니까?
T: 4개의 평행사변형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T: 이를 바탕으로 알게 된 점은 무엇입니까?
T: 자 그럼, 아까 형제들의 고민을 해결해 줍시다. 형제들의 고민이 무엇이었지요?
T: 그렇다면 이젠 5학년 2반 여러분들이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나요?
T: 그렇다면 해결해 봅시다. 어느 땅이 더 넓은 땅인가요?
T: 그렇다면 형제는 고민하지 않고 두 땅을 사이좋게 나누어 가지면 되겠군요. 형제의 고민을 해결해 준 5학년 2반 학생들 잘했습니다.
S1: 직사각형 넓이 구하는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S2: 정사각형 넓이 구하는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S: 모둠별로 나누어준 평행사변형을 한번 혹은 두 번 잘라서 모양을 변형시킨다.
S1: 학생들은 모둠원들에게 자신이 구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S2:평행사변형을 직사각형으로 변형시켜 넓이를 구하였습니다.
S3:평행사변형을 삼각형 2개로 나누어서 넓이를 구하였습니다.
S: 넓이를 확인한다.
S1: 교사와 함께 평행사변형이 직사각형으로 변형되는 과정을 직사각형으로 설명한다.
S: 밑변과 같습니다.
S: 높이와 같습니다.
S: 가로x 세로입니다.
S1: 네. 구할 수 있습니다.
S2: 밑변 x 높이입니다.
S: 3×3=9(cm2)입니다.
S1: 넓이가 같습니다.
S2: 모두 평행 사변형입니다.
S3: 밑변과 높이가 모두 같습니다.
S1: 모양이 다릅니다.
S2: 색이 모두 다릅니다.
S: 평행사변형의 모양은 달라도 밑변의 길이와 높이가 같으면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같다.
S1: 아버지가 물져주신 땅을 공평하게 나누는 고민입니다.
S2: 아버지가 물려지신 땅의 모양이 평행사변형과 직사각형의 넓이여서 어느 땅이 더 넓은지를 모르는 것입니다.
S1: 네. 해결해 줄 수 있습니다.
S2: 평행사변형 넓이를 구하는 방법으로 두 사각형의 넓이를 구해보면 됩니다.
S1: 두 땅의 크기는 같습니다.
S2: 두 땅의 크기는 12cm²로 같습니다.
적용 및 발전
적용
하기
▣활동3
평행사변형 주사위 게임
T: 지금부터는 평행사변형 주사위 게임을 하겠습니다.
T: 여러분, TV화면을 봐 주세요. 선생님이 준비한 마지막 활동은 평행사변형 주사위 게임입니다.
T: 활동 순서 다 같이 읽어 볼까요?
T: 그럼 이 방법대로 활동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S: 놀이 방법을 눈으로 읽는다.
S: 활동을 시작한다.
12‘
(37‘)
○평행사변형
주사위
게임판, 주사위, 자석, 포스트 잇
※활동 시간은 10분으로 지정하며, 활동을 하면서 건전한 경쟁을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게임규칙
1.말은 자석을 이용한다.
2.활동 순서는 선생님과의 가위,바위,보로 정한다.
3.주사위를 던진 후 나온 숫자 만큼 말을 움직이고,
문제를 해결한다.
4.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다.
5.문제를 해결하면 해당 칸의 밑면과 높이를 푼 모둠에서 다시 정한다.
5.한 바퀴 돌아 도착점에 들어오는 순서로 승리 모둠을 정한다.
6.승리 모둠은 3등까지로 정한다.
T: 모두 재미있게 게임했나요?
T: 승리한 모둠은 어느 모둠인가요?
T: 이 친구들에게 큰 박수를 보내줍시다.
S1: 네!
S2: 재미있었습니다.
S3: 아쉽습니다. 한번 더 했으면 좋겠습니다.
S: (승리한 모둠은 손을 든다.)
정리 및 평가
학습
정리 및 확인
차시
예고
▣학습 내용 정리
T: 우리의 생활에서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어떤 경우에 이용될까요?
T: 이번 시간 공부를 통해 알게 된 점은 무엇입니까?
▣다음 차시 예고
T: 다음 시간에는 삼각형의 넓이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S1: 땅의 넓이를 구할 때 필요합니다.
S2: 과학을 공부할 때 필요합니다.
S1: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직사각형으로 변형시켜 구할 수 있다.
S2: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밑변의 길이) × (높이)이다.
3‘
(40‘)
※ 학생들이 알아야 하는 개념에 대하여 학생들 스스로 대답할 수 있는 발문을 준비한다.
3
판서 계획
7. 평면도형의 넓이
♣ 평면도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넓이를 구할 수 있다.
【활동1】 평행사변형 밑변과 높이를 찾아라!
【활동2】 평행사변형을 바꿔라.
【활동2】 평행사변형 주시위 게임
평행사변형의 넓이 = 직사각형의 넓이
= 가로 × 세로 = 밑변 × 높이
4
본시 평가 계획
영역
성취기준
척도
평가방법
지식
이해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구할 수 있다.
상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관찰법
교과서 확인
중
-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이해하나, 구하는데 정확하지 않다.
하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이해하지 못하여 구하는데 서툴다.
태도
- 모둠원들과 협동하여 놀이에 잘 참여하는가?
상
- 활동 3에서 모둠원과 협동하며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관찰법
중
- 활동 3에서 참여하기는 하지만 협동하지 못한다.
하
- 활동 3에서 참여하려하지도 않고 협동하지도 않는다.
※ 평가 후 개별, 상호, 교사의 피드백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밑변이 cm이고
높이가 cm인
평행사변형의 넓이
1
PPT 자료
밑변이 cm이고
높이가 cm인
평행사변형의 넓이
2
동기유발 이야기 내용
<“아버지의 유산”>
인천 천청동에는 김용마라는 사람이 살고있었습니다.
김용마라는 사람은 아들을 둘을 두고 행복하게 살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김용마씨는 몸이 아프게 되었습니다.
자신이 죽을 날이 얼마남지 않았다는 생각이 든 김용마씨는 아들 둘에게 유언을 남겼습니다.
“얘들아, 아버지가 죽거든 남은 땅을 사이좋게 나누어 가지거라”
얼마 후 김용마씨는 죽게되었습니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아들 둘은 고민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아버지가 남기신 땅의 모양이 달랐기 때문입니다.
두 아들은 어느 땅이 더 넓은지 잘 모르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이라면 이 고민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1
평행사변형의 넓이 공식은?
( ) 곱하기
( )
교사와 묵찌빠! 지면
두 칸 뒤로!
-2
코끼리코 세 바퀴 돌고
모둠 친구와 하이파이브
실패시 세칸 뒤로!
시작 ↑
→(도착점)
T: 4개의 평행사변형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T: 이를 바탕으로 알게 된 점은 무엇입니까?
T: 자 그럼, 아까 형제들의 고민을 해결해 줍시다. 형제들의 고민이 무엇이었지요?
T: 그렇다면 이젠 5학년 2반 여러분들이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나요?
T: 그렇다면 해결해 봅시다. 어느 땅이 더 넓은 땅인가요?
T: 그렇다면 형제는 고민하지 않고 두 땅을 사이좋게 나누어 가지면 되겠군요. 형제의 고민을 해결해 준 5학년 2반 학생들 잘했습니다.
S1: 직사각형 넓이 구하는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S2: 정사각형 넓이 구하는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S: 모둠별로 나누어준 평행사변형을 한번 혹은 두 번 잘라서 모양을 변형시킨다.
S1: 학생들은 모둠원들에게 자신이 구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S2:평행사변형을 직사각형으로 변형시켜 넓이를 구하였습니다.
S3:평행사변형을 삼각형 2개로 나누어서 넓이를 구하였습니다.
S: 넓이를 확인한다.
S1: 교사와 함께 평행사변형이 직사각형으로 변형되는 과정을 직사각형으로 설명한다.
S: 밑변과 같습니다.
S: 높이와 같습니다.
S: 가로x 세로입니다.
S1: 네. 구할 수 있습니다.
S2: 밑변 x 높이입니다.
S: 3×3=9(cm2)입니다.
S1: 넓이가 같습니다.
S2: 모두 평행 사변형입니다.
S3: 밑변과 높이가 모두 같습니다.
S1: 모양이 다릅니다.
S2: 색이 모두 다릅니다.
S: 평행사변형의 모양은 달라도 밑변의 길이와 높이가 같으면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같다.
S1: 아버지가 물져주신 땅을 공평하게 나누는 고민입니다.
S2: 아버지가 물려지신 땅의 모양이 평행사변형과 직사각형의 넓이여서 어느 땅이 더 넓은지를 모르는 것입니다.
S1: 네. 해결해 줄 수 있습니다.
S2: 평행사변형 넓이를 구하는 방법으로 두 사각형의 넓이를 구해보면 됩니다.
S1: 두 땅의 크기는 같습니다.
S2: 두 땅의 크기는 12cm²로 같습니다.
적용 및 발전
적용
하기
▣활동3
평행사변형 주사위 게임
T: 지금부터는 평행사변형 주사위 게임을 하겠습니다.
T: 여러분, TV화면을 봐 주세요. 선생님이 준비한 마지막 활동은 평행사변형 주사위 게임입니다.
T: 활동 순서 다 같이 읽어 볼까요?
T: 그럼 이 방법대로 활동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S: 놀이 방법을 눈으로 읽는다.
S: 활동을 시작한다.
12‘
(37‘)
○평행사변형
주사위
게임판, 주사위, 자석, 포스트 잇
※활동 시간은 10분으로 지정하며, 활동을 하면서 건전한 경쟁을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게임규칙
1.말은 자석을 이용한다.
2.활동 순서는 선생님과의 가위,바위,보로 정한다.
3.주사위를 던진 후 나온 숫자 만큼 말을 움직이고,
문제를 해결한다.
4.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다.
5.문제를 해결하면 해당 칸의 밑면과 높이를 푼 모둠에서 다시 정한다.
5.한 바퀴 돌아 도착점에 들어오는 순서로 승리 모둠을 정한다.
6.승리 모둠은 3등까지로 정한다.
T: 모두 재미있게 게임했나요?
T: 승리한 모둠은 어느 모둠인가요?
T: 이 친구들에게 큰 박수를 보내줍시다.
S1: 네!
S2: 재미있었습니다.
S3: 아쉽습니다. 한번 더 했으면 좋겠습니다.
S: (승리한 모둠은 손을 든다.)
정리 및 평가
학습
정리 및 확인
차시
예고
▣학습 내용 정리
T: 우리의 생활에서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어떤 경우에 이용될까요?
T: 이번 시간 공부를 통해 알게 된 점은 무엇입니까?
▣다음 차시 예고
T: 다음 시간에는 삼각형의 넓이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S1: 땅의 넓이를 구할 때 필요합니다.
S2: 과학을 공부할 때 필요합니다.
S1: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직사각형으로 변형시켜 구할 수 있다.
S2: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밑변의 길이) × (높이)이다.
3‘
(40‘)
※ 학생들이 알아야 하는 개념에 대하여 학생들 스스로 대답할 수 있는 발문을 준비한다.
3
판서 계획
7. 평면도형의 넓이
♣ 평면도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넓이를 구할 수 있다.
【활동1】 평행사변형 밑변과 높이를 찾아라!
【활동2】 평행사변형을 바꿔라.
【활동2】 평행사변형 주시위 게임
평행사변형의 넓이 = 직사각형의 넓이
= 가로 × 세로 = 밑변 × 높이
4
본시 평가 계획
영역
성취기준
척도
평가방법
지식
이해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구할 수 있다.
상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관찰법
교과서 확인
중
-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이해하나, 구하는데 정확하지 않다.
하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이해하지 못하여 구하는데 서툴다.
태도
- 모둠원들과 협동하여 놀이에 잘 참여하는가?
상
- 활동 3에서 모둠원과 협동하며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관찰법
중
- 활동 3에서 참여하기는 하지만 협동하지 못한다.
하
- 활동 3에서 참여하려하지도 않고 협동하지도 않는다.
※ 평가 후 개별, 상호, 교사의 피드백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밑변이 cm이고
높이가 cm인
평행사변형의 넓이
1
PPT 자료
밑변이 cm이고
높이가 cm인
평행사변형의 넓이
2
동기유발 이야기 내용
<“아버지의 유산”>
인천 천청동에는 김용마라는 사람이 살고있었습니다.
김용마라는 사람은 아들을 둘을 두고 행복하게 살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김용마씨는 몸이 아프게 되었습니다.
자신이 죽을 날이 얼마남지 않았다는 생각이 든 김용마씨는 아들 둘에게 유언을 남겼습니다.
“얘들아, 아버지가 죽거든 남은 땅을 사이좋게 나누어 가지거라”
얼마 후 김용마씨는 죽게되었습니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아들 둘은 고민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아버지가 남기신 땅의 모양이 달랐기 때문입니다.
두 아들은 어느 땅이 더 넓은지 잘 모르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이라면 이 고민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1
평행사변형의 넓이 공식은?
( ) 곱하기
( )
교사와 묵찌빠! 지면
두 칸 뒤로!
-2
코끼리코 세 바퀴 돌고
모둠 친구와 하이파이브
실패시 세칸 뒤로!
시작 ↑
→(도착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