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교육학 - 정일웅 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회교육학 - 정일웅 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머리말...
* 교회 방법론을 설명... 교회 교육학, 교회 목회학으로 명명...

제1부 교회와 교회교육 p23.

제2부 일반교육과 교회교육의 기본이해 p66

제3부 교회교육의 신학과 인간학 P.110

제4부 교회교육의 목적과 신앙교육의 근본과제 p210

제5부 교회의 신앙교육방법론 (1) p242

제6부 교회의 신앙교육 방법론 (2)

제7부 교회 신앙교육의 실제 영역 p358

제8부 교회의 신앙교육의 역사 P426

본문내용

의 아버지... 교회안에서 한정된 것이 아니라, 가정, 학교, 타문화 영역까지...(선교)
- 모든 지혜로 가르친다. (골1:28)
- 모든 지혜의 원천은 자연, 정신, 성경의 3가지 요소가 있다.
* 교회 방법론을 설명... 교회 교육학, 교회 목회학으로 명명...
1. 기독교 교육... 교회의 실재, 교육적 과제를 생각하였고...
- Homiletic(설교학) → Katechetik(신앙교육) → 교회교육학 (Gemende padagogik) 발전하였다.
2. 종교교육학...종교(기독교)를 가르칠 목적으로 가르치지 시작하였으나 인간학과 사회학과 학교교육(교수)이론에 의존하여 독자적인 학문이론을 발전시키다보니, 교회와 성경과 신학의 고유한 영역에서 점점 멀어진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 한국교회와 신학교육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문제... : 서구에서 공부하고 오는 분들이 종교교육적인 부분이 일반교육방법으로 변화되었던 것을 배우고 한국상황에 적용하기에 문제가 있다. → 교회교육학
3. 기독교교육학... : 1940년대 기독교 교육이란 이름으로 명명되었던 것이 정체성의 불분명하게 사용되어졌던 명칭을 교회교육으로 바꾸어야 정당할 것인 아닌가? → 여러 학자들의 의견.(머p8)
4. 교회 교육학 개념...신앙교육학을 대체하는 개념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다. 성장세대 → 기성세대
영역으로 확대 되어야 한다.
- 교회 교육학은 실천신학의 과목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5. 교회를 통한 하나님의 전 인류구원의 교육 ...내적인 교육과제와 자녀신앙교육, 선교교육, 기독교 교육까지 포괄하는 교육개념으로 인지되기 때문이다.
- 교회교육학 : 그리스도 복음의 책임 속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전 인류를 위한 하나님의 구원교육의 실천론적인 셈이다.
- 교회 교육학은 교회 내적인 한정한 것이 아니라, 교회 밖의 다양한 장을 향한 선교차원의 교육이론을 포괄하는 교육신학의 가장 근본적인 원리인 것이다.
교회의 목회사역과 관련하여 ‘하나님의 인류구원의 교육, 왜, 무엇을, 어떻게...’라는 것으로 8부로 교재 구성
p23. 제1부 . 교회와 교회교육 --------------------------------------------------
1. 교회란 어떤 곳인가? - 구약의 카할과 신약의 에클레시아에서 역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으며, 이는 2인 이상의 공동체적, 집단적인 부분이 있어야 한다.
1) 지역과 장소로서의 교회
2) 가족공동체로서의 교회
3) 언약과 신앙과 구원공동체로서의 교회 : 교회의 설립자는 삼위일체 하나님이시다.
4) 예배와 섬김의 공동체로서의 교회 : 하나님을 섬기는 공동체, 성도와 이웃을 섬기는 공동체...
5) 교육(학습) 공동체로서의 교회 : 敎會 - 신학적인 의미에서 부족함이 있다.
2. 교회의 본질적 의미는 무엇인가?
1) 하나님의 백성으로 교회 (공동체)
- 한스 큉 : 카톨릭 신학자로 교회론에서 교회와 관련된 하나님의 백성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깊이 있게 이해하도록 도움을 준다.
(1) 모든 믿는 자들은 하나님의 백성임을 전제한다. 그것은 한 직분으로서의 교회의 성직화가 제외되었음 을 의미한다. - 계급이나 배타적인 집단이 아니다. 교회는 여러 직분을 두게 되지만 그렇다고 여러 직분들은 결코 교회안에 있는 하나의 직분을 섬기기 위한 것이 아니라 한 분 하나님을 섬기기 위하여 존재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을 강조한다.
(2) 모든 믿는 사람들은 하나님의 부름을 통하여 온 백성들이다. 교회의 사유화는 제외되었다.
(3) 모든 신자는 개인의 결단을 통하여 온 백성들이다. 교회의 유전학적 발생론은 여기서 제외된다.
- 부르심에 의하여 자유로이 스스로 결단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4) 하나님의 백성은 역사적인 백성들이다. 그것은 교회의 이상화를 반대한 뜻이다.
2)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교회 : 지체의 관계 - 세례, 성찬(행위-하나님께 속한 것을 확인시켜주는 작업),
- 설교는 후퇴하고 찬송이 전면에 나섰다.
→ 복음의 전파와 말씀의 전파로만 이해했던 부분인데, 신학적으로 볼 때 설교와 성례가 필요하다.
(들었던 말씀을 성찬을 통해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한국교회가 점차 잊어가고 있다)
3) 성령의 피조물로서의 교회 :
3. 교회의 사명과 과제는 무엇인가? → 4가지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1) 복음증거와 복음교육 (설교, 성경공부....) : 말씀 증거, 봉사, 예전,교제
2) 예배와 예전을 통한 하나님 섬김
3) 성령의 은혜와 성도의 교제
4) 세상의 섬김과 봉사
4. 교회교육과 교육목회
1) 교회의 교육적 사명
2) 한국교회의 미래와 교육목회
설명)
: 한국교회가 구도자 예배, 90년대 초부터 경배와 찬양으로, 열린예배 등으로 한국교회가 흐른 지금
- 신천지, 알파코스, 다양한 은사, D12, G12 등이 한국교회에 도입되면서 성장주도의 교회개혁을 이루고 있지만, 오히려 성장은 감소하고 있다. (2006년 6월 정부 통계청의 발표)
- 목회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식 (그것은 숫적 성장보다는 질적성장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 목회자들의 교육의 마인드를 많이 가지는 일이어야 한다.
- 교회의 지도자는 사회학의 통찰을 요구한다.
- 하나님의 형상의 성숙한 인간성을 견지해 가도록 돕는 일이 교육이요, 목회사역이 될 것이다.
* 한국교회가 사회적 가치관의 영향으로 복음과 교회의 본질에서 왜곡되고 있는 두가지 문제점
1) 교회(교파)의 분열과 지나친 개 교회주의의 모습
2) 이원론적인 시각에 사로잡힌 신앙적 태도에 대한 문제성
* 디아코니아 신학 : 가난한 자들과 소외된 자들의 대변인 역할을 하는 교회가 되도록 모든 목회자들은
‘디아코니아 신학’을 배워야 할 것이다.
- 교회는 복음전파(케리그마)와 섬김과 봉사 (디아코니아)의 사역을 쟁
- 평양대 부흥운동 → 목표 (전도운동) →(전도), 사경회
* 성숙한 한국교회를 만들어가려면...
- 신학교육체계가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 신학교육은 혼탁한 사회적 가치관에 그리스도의 복음의 진리가 변질되거나 매몰되지 않도록 신학사상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그것을 견지하는 일에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11.13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39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