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성
Ⅰ. 스키마
Ⅱ. DBMS(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Ⅲ. 데이터베이스 언어
1. 데이터 정의어(DDL)
2. 데이터 조작어(DML)
3. 질의어
Ⅳ. DB 사용자
1. 단말 사용자
2. 응용 프로그래머
3.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
Ⅴ. 데이터베이스
Ⅵ. 데이터베이스 컴퓨터
Ⅰ. 스키마
Ⅱ. DBMS(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Ⅲ. 데이터베이스 언어
1. 데이터 정의어(DDL)
2. 데이터 조작어(DML)
3. 질의어
Ⅳ. DB 사용자
1. 단말 사용자
2. 응용 프로그래머
3.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
Ⅴ. 데이터베이스
Ⅵ. 데이터베이스 컴퓨터
본문내용
고장에 대한 복구 기능, 데이터베이스의 성능 평가, 그리고 데이터의 보안 등을 담당한다. DBA의 관리 임무는 다음과 같다.
데이터베이스 표준화, 데이터의 검색, 갱신 및 수정 작업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의 파괴 시 복구 작업을 수립한다.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들의 교육과 문서화를 담당한다.
데이터 사전(data dictionary)을 유지 관리한다. 데이터 사전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각 데이터 항목들의 의미를 정의한 것으로서 각 데이터 항목간의 상호관련성도 기술한다.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를 결정하고 유지한다.
V.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집합체로서 기억 공간 및 자료처리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설계하는데, 논리적 관점에서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어느 정도 중복성을 가질 수 있지만 물리적 관점에서는 중복성을 가능하면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는 방대한 기억 용량을 필요로 하는데, 효율성의 측면에서 자주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는 속도가 느리고 저장 비용이 적게 드는 자기 테이프 같은 기억 장치에 저장하고 자주 사용되는 자료는 보다 빠른 기억 장치에 저장한다.
VI. 데이터베이스 컴퓨터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는 호스트 컴퓨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업무를 처리하였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가 방대해지고 데이터를 요구하는 사용자들이 증가되면서 호스트 컴퓨터는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고, 데이터베이스 업무만을 처리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데이터베이스 컴퓨터이다.
데이터베이스 컴퓨터(DBC : Data Base Computer)는 데이터베이스를 전용으로 처리하는 특수 목적용 컴퓨터이다. 데이터베이스 컴퓨터에는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기 위한 하드웨어와 검색, 정렬, 갱신 등 데이터베이스 관련 기능들이 내장되어 있다.
기존의 DBMS 구조
위의 그림은 호스트 컴퓨터 내에 DBMS를 저장하여 사용하고 있는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아래의 그림(데이터베이스 컴퓨터를 이용한 DBMS구조)에서는 DBMS 기능을 저장하고 있는 DBC를 호스트 컴퓨터에 부착하여 사용됨을 보여준다. DBC를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컴퓨터 시스템을 호스트 컴퓨터, DBC,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저장 장치로 구성된다.
DBC를 이용한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호스트 컴퓨터를 통하여 데이터를 요구하면,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의 요구를 DBC에 넘겨준다. DBC는 넘겨받은 사용자의 요구를 처리해 그 결과를 호스트 컴퓨터에게 넘겨준다.
데이터베이스 컴퓨터의 장점으로 첫째, 데이터베이스의 공유와 접근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둘째,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 유리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수 있으며 셋째, 호스트 컴퓨터의 업무 절감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에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 컴퓨터의 단점으로 데이터베이스 컴퓨터의 구입과 기타 하드 디스크 등 하드웨어 추가 구입비용이 필요하다.
데이터베이스 컴퓨터를 이용한 DBMS구조
데이터베이스 표준화, 데이터의 검색, 갱신 및 수정 작업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의 파괴 시 복구 작업을 수립한다.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들의 교육과 문서화를 담당한다.
데이터 사전(data dictionary)을 유지 관리한다. 데이터 사전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각 데이터 항목들의 의미를 정의한 것으로서 각 데이터 항목간의 상호관련성도 기술한다.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를 결정하고 유지한다.
V.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집합체로서 기억 공간 및 자료처리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설계하는데, 논리적 관점에서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어느 정도 중복성을 가질 수 있지만 물리적 관점에서는 중복성을 가능하면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는 방대한 기억 용량을 필요로 하는데, 효율성의 측면에서 자주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는 속도가 느리고 저장 비용이 적게 드는 자기 테이프 같은 기억 장치에 저장하고 자주 사용되는 자료는 보다 빠른 기억 장치에 저장한다.
VI. 데이터베이스 컴퓨터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는 호스트 컴퓨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업무를 처리하였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가 방대해지고 데이터를 요구하는 사용자들이 증가되면서 호스트 컴퓨터는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고, 데이터베이스 업무만을 처리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데이터베이스 컴퓨터이다.
데이터베이스 컴퓨터(DBC : Data Base Computer)는 데이터베이스를 전용으로 처리하는 특수 목적용 컴퓨터이다. 데이터베이스 컴퓨터에는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기 위한 하드웨어와 검색, 정렬, 갱신 등 데이터베이스 관련 기능들이 내장되어 있다.
기존의 DBMS 구조
위의 그림은 호스트 컴퓨터 내에 DBMS를 저장하여 사용하고 있는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아래의 그림(데이터베이스 컴퓨터를 이용한 DBMS구조)에서는 DBMS 기능을 저장하고 있는 DBC를 호스트 컴퓨터에 부착하여 사용됨을 보여준다. DBC를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컴퓨터 시스템을 호스트 컴퓨터, DBC,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저장 장치로 구성된다.
DBC를 이용한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호스트 컴퓨터를 통하여 데이터를 요구하면,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의 요구를 DBC에 넘겨준다. DBC는 넘겨받은 사용자의 요구를 처리해 그 결과를 호스트 컴퓨터에게 넘겨준다.
데이터베이스 컴퓨터의 장점으로 첫째, 데이터베이스의 공유와 접근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둘째,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 유리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수 있으며 셋째, 호스트 컴퓨터의 업무 절감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에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 컴퓨터의 단점으로 데이터베이스 컴퓨터의 구입과 기타 하드 디스크 등 하드웨어 추가 구입비용이 필요하다.
데이터베이스 컴퓨터를 이용한 DBMS구조
추천자료
[마케팅관리] 마케팅관리의 의의와 과정
[재무관리] 재무관리의 의의(개념, 기능, 중요성)와 체계
국제인적자원관리의 의의(유형, 중요성)
[해외파견자관리] 문화환경과 해외파견자의 관리
아동 및 청소년복지 정책의 과제와 전망
[다문화가정] 다문화 가정의 개념과 유형 및 지원의 개선방안,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의 문제...
[고용보장정책] 고령사회와 노인고용의 필요성, 노인고용 현황과 문제점 및 활성화방안
지역사회복지실천분야(지역사회복지관과 재가복지센터, 사회복지협의회, 공동모금회, 지역자...
[노인 여가활동] 여가의 개념과 유형, 여가정책의 문제점과 과제, 우리나라(한국) 노인의 여...
[고용보험제도] 고용보험제도의 목표, 적용대상, 급여, 전달체계, 재원, 문제점 및 향후과제
[국민건강보험제도] 국민건강보험제도의 목표, 적용대상, 급여, 전달체계, 재원, 문제점 및 ...
[중소기업과 경영전략] 경영전략의 의의와 중요성, 기본요소와 기능, 수립과정과 유형
[기술혁신] 기술혁신의 의의, 기업규모 및 시장구조와 기술혁신, 특허제도와 사회후생
[소비자교육] 소비자교육의 의의와 목표 및 유형(종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