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랜드 경영 사례 분석(4P, SWOT, 한국 마케팅 및 중국 진출 사례 등)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랜드 경영 사례 분석(4P, SWOT, 한국 마케팅 및 중국 진출 사례 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홍콩 등 3개 도시가 대표적으로 의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가격별 의류 현황을 보면 고급의류가 10%, 중고가가 20%, 중가 40%, 저가 의류가 30%의 판매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중고가 이상의 경우 수입브랜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수입브랜드는 고급 이미지로 싼 가격을 무기로 한 중국산 브랜드와 차별화하여 포지셔닝하였다.
따라서 중국 시장에 진출하는 이랜드의 입장에서는 국내에서의 중저가 이미지로는 중국에서 성공을 하기가 쉽지 않다고 판단했다. 그리하여 고가의 브랜드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고급화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게 되었다. 고급화 전략의 일환으로 두드러진 것이 유통경로의 차별화이다. 국내에서의 독립거리매장 형태를 탈피하여 부유층 소비자가 즐겨 찾는 백화점에 매장을 두고 기존과는 차별화된 인테리어로 매장을 꾸몄다.
또한 94년 중국 진출 시부터 공항에 카트(Cart) 광고를 4년 정도 지속적으로 하여 고급 이미지를 심기 위해 노력하였다. 공항 광고의 경우 이용자들이 주로 부유층이라는 점에서 유효했다고 볼 수 있다.
또 하나 중요한 이랜드의 성공요인은 철저한 현지화 전략이다. 중국의 이랜드 매장을 보면 유독 다르게 보이는 한가지가 매장의 로고 색상이다. 다름아니라 매장의 로고 바탕색이 모두 빨간색인 점이다. 이것은 중국인들이 빨간색을 선호하는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브랜드 이미지에 적용한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점은 무작정 현지화에 따르는 것이 아니다라는 것이다. 중국문화 및 소비자의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패션과 디자인을 중국 소비자에게 제시한 것이다. 중국에는 없던 아이비리그 스타일과 오리털 파카 등을 통해 차별화된 디자인과 제품을 제공하였다. 개성있고 자신에게 어울리는 디자인과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Needs를 잘 파악하고 이에 부합하는 브랜드 전략으로 소비자의 마음을 파고 든 것이다. 이는 결국 중국 소비자가 다름이 아닌 일반 소비자와 똑 같은 사람이며 중국 시장 또한 글로벌 시장과 별 다를 게 없다는 사실을 말해 준다.
이러한 고급화와 현지화로 성공한 이랜드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브랜드 네임이다. 이랜드의 중국어 네임은 衣戀[이리엔]이다. 한마디로 옷을 사랑한다는 뜻으로 쉬운 중국어를 활용하여 영문 E-LAND에는 없는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였으며 발음 및 기억이 용이한 네임이다. 중국 소비자들에게는 친근한 이미지로 다가가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심어 주었다.
국내와는 다른 브랜드 이미지로 중국에서 차별화에 성공한 이랜드의 사례는 가격 경쟁이 아닌 브랜드 이미지의 차별화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중국 진출을 꾀하고 있는 우리 기업들에게 보여주고 있다.
2. 약점
-다른 국제적인 브랜드, 예를 들어, 구찌샤넬 등과 같은 브랜드는, 이랜드와 같은 고품질 고가격의 고급 이미지를 주창하고 있지만, 이러한 브랜드 등은 중국 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도 브랜드의 인지도가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이랜드의 중국 현지화 전략 중의 하나인 고품격, 고가격 고급 이미지주의는 다른 인터내셔널 브랜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기 때문에 상품 광고에 더 치중할 수 밖에 없는 현실에 직면하기에, 수익률 면에서 그만큼 뒤쳐질 수 밖에 없다고 보여진다.
3. 기회
-지금 중국은 최근 조성된 한류 열풍으로, 한국 제품을 선호하고 있다.
한류 열풍은 단순한 취향의 유행이 아니라 문화 상품 자체 수익과 함께 광고를 통해 상당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가능성을 가졌음을 강조한다. 실제 수출 기업 중에는 무선전화와 컴퓨터 등 제 품 광고에 한류 열풍의 주인공들을 등장시켜 수익을 크게 높인 경우들을 소개하면서 대중문화 붐을 시장의 유통망과 연결시키면 적지 않은 경제적 효과를 낼 거대한 잠재 시장이자 국가 이미지를 높여줄 사안이라는 것이다.
한류 열풍은 의상, 헤어스타일, 일상용품 등 다방면에서 각 국 젊은이의 의식구조와 생활 문화를 바꿔놓고 있습니다. 한류에 대한 호감도가 세대를 나누는 기준이 될 정도로 열기가 뜨겁습니다. 이 같은 한류 열풍은 타이완, 베트남, 싱가포르 등 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되는 추세입니다. 이는 아시아 지역에서 일본, 미국문화가 차지하던 독점적 지위를 우리 문화가 서서히 무너뜨리면서 아시아인들의 문화적 유사성과 우리 문화에 대한 친근감을 바탕으로 반만년 역사 속에 농축된 한국 문화의 저력이 세계를 무대로 활발히 뻗어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런 한류는 경제에도 좋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은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세계 최대의 의류 생산국이자 의류 소비국이다. 의류의 연간 수요량은 약 49억 벌이며 2001년 소매총액인 37,595억 위안 중 의류 소비액이 약 10%를 차지했다고 한다. 의류 소비액도 1997년에 비해 약 26.5%나 상승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로 말미암아 중국의 내수시장이 확대되고, 중국인의 소득 수준의 향상으로 중국의 신흥 부유계층이 당연히 증가할 것이다. 이로서, 이랜드의 고가격 전략 또한 매출 증대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의 한가정 한아이 정책으로 소위 “소황제(小皇帝)”시대가 열렸다. 중국의 부모들은 당연히 아이가 둘인 가정에 비해, 소황제에 대한 관심은 유별날 것이다. 12月에 이랜드의 또 다른 계열사인 톰키드가 open할 예정이어서, 또 다른 매출 증대가 예상된다.
2004年 중국의 WTO 가입으로, 더욱 발빠르게 전개될 중국의 시장 개방으로 이랜드사의 對 중국 진출 또한 가속화 될 것이다.
4. 위협
- 중국의 급속한 시장 개방에 따라 수반 되어야 할 중국의 상품에 대한 법제화가 이에 상응하여 따라 오지 못하여, 외국 브랜드에 대한 수많은 모조품(이미테이션)이 난무하고 있으며, 이랜드사의 브랜드 역시 많은 이미테이션이 중국 내에서 성행하고 있다.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국 내수 의류 시장의 확대로, 세계 유수의 의류 업체들 또한 중국에 진입하고 있으며, 또한 한국의 이랜드사의 경쟁 업체인 ONG 등의 업체도, 중국 내수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어, 이에 대응하는 전략 또한 필요하리라 보여진다.

키워드

이랜드,   경영,   분석,   성공,   신화,   전략,   역사,   경영사례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12.13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00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