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Bruner의 발견식 수업이론
2. Ausubel의 설명식 수업이론
3. Gagne의 목표별 수업이론
4. Reigeluth의 정교화 수업이론
2. Ausubel의 설명식 수업이론
3. Gagne의 목표별 수업이론
4. Reigeluth의 정교화 수업이론
본문내용
다시 반복적으로 검토할 수 있고 그 이상의 단계로 줌인하고 줌아웃의 반복적 활동을 진행 할 수 있다.
② 전략 요소
정교화 이론은 세 가지의 정교화 조직모형과 이 모형을 통합하려는 하나의 체제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모형은 7가지 기본 전략을 포함하고 잇는데, 그 성격은 수업내용의 형태에 따라 모형마다 달리 제시된다.
- 단순 ~ 복잡의 정교적 계열화
가장 중요한 원리로, 사진기의 줌 렌즈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전체 요소간의 관계를 보고 난 뒤 각각의 구성 요소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각 요소의 상세한 내용을 살펴보며, 반복적으로 줌 아웃을 할 수 있는 전략을 말한다.
- 선수학습 요소의 계열화
학습구조 혹은 학습위계에 기초를 두고 있다. 학습구조는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기 전에 먼저 학습하여야만 되는 지식이나 정보를 나타내는 구조이다.
- 요약자
요약자란 학습한 것을 망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체계적으로 정리해서 복습하는데 사용되는 전략적 요소이다.
- 종합자
아이디어를 서로 연결시키고 통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략적 요소를 의미하며,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다.
- 비유
새로운 정보를 친숙한 아이디어들과 연결시켜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략적 요소이다.
- 인지전략 활성자
학습이란 학습자가 어떻게 학습내용을 인지하고 머릿속에서 처리하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에 인지전략과 그 전략을 활용하는 과정을 자극하고 도와주는 활성자는 학습의 필수적 요소이다.
- 학습자 통제
학습자가 학습할 내용, 학습속도, 학습자가 선택하는 특정의 교수전략 요소와 그 전략요소가 사용되는 순서, 학습자가 수업을 받을 때 사용하는 특성의 인지 전략 등을 선택하고 계열화 할 수 있는 자유를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③ 정교화 과정
- 정수제시
정수란 학습할 내용을 대표할 만한 몇 개의 가장 쉽고, 기본이 되는 내용으로 차후 학습에 추가될 상세한 내용들의 출발점이다. 학습내용의 유형인 개념, 절차, 원리 중 하나를 선택해 제시하게 된다. 아울러 동기부여 전략도 제시될 수 있다. 정수가 제시된 후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면 비유를 제시하고 조직 내용을 차례로 제시한다.
- 제 1수준 정교화 제시
보통 4~8개로 구성되는데, 정수의 조직 내용 1~2개를 좀 더 상세하고 복잡하게 제시하는 것을 말한다. 각 레슨은 동기부여 전략, 비유, 선수학습요소, 요약자, 종합자 등 정수를 제시할 대 사용된 모든 요소를 포함한다.
- 제 2수준 정교화 제시
1수준 도달 후 2수준 레슨이 제공된다. 1수준과는 다르게 정수를 기반으로 정교화하는 것이 아니고 제 1수준 레슨을 기반으로 정교화 해나간다.
- 추가적 정교화 제시
정교화라는 것은 결국 어떤 레슨이 숙달학습이 이루어질 수 잇도록 목표로 한 상세성과 복잡성에 도달할 때까지 더 높은 수준의 정교화 된 레슨을 계속적으로 제시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3) Reigeluth 수업이론 - 정교화 이론 구성
⇒ 정교화 이론은 세 가지의 정교화 조직 모델들과 이 모델들을 통합하려는 하나의 체제 또는 일반화 모델로 구성되어 있다. 세 가지의 모델들은 교수내용의 형태에 따라 개념적 조직모델, 절차적 조직모델 그리고 이론적 조직모델로 나눠진다.
이 각각의 모델들은 위에서 언급했던 일곱 가지의 기본 전략을 포함하고 있다. 이 전략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생겼는데, 즉, 교수가 “무엇”이라고 하는 개념을 달고 있는가, 또는 “어떻게”라고 하는 절차를 다루고 있는가, 혹은 “왜”라고 하는 원리를 다루고 있는가에 따라 정교화의 양상은 달라진다.
정교화의 양상
내 용
개념적 정교화
개념적 정교화는 가르쳐야 할 개념을 어떻게 유의미하게 인지구조에 동화시키는가 하는 과정과 관련된다.
① 개념을 상위, 동위, 하위개념 등으로 분류한다.
② 가장 중요하고 포괄적이고 근원적인 개념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보다 상세하고 포 괄성이 적은 개념의 순서로 계열화한다.
절차적 정교화
절차적 정교화에서는 목표로 하고 있는 절차적 기술, 즉 ‘어떻게’라고 하는 기술을 획득하는 최적의 과정을 계열화한다.
① 해당과제의 가장 단순한 형태, 최단코스를 모색하고 단순 절차로 명세화 한다.
② 가장 중요하고 근본적인 것을 처음에 도입하고, 이어서 복잡한 것을 포함한다.
③ 기타개념은 선수학습요소를 작성된 교수 계열 상에서 적절히 배치한다.
이론적 정교화
교수내용이 사회, 경제교과와 같이 “왜”라고 하는 이론적인 것에 기초하고 있는 경우 사용되는 것이 이론적 정교화 전략이다.
① 가르쳐야 할 원리들의 폭과 깊이를 명세화 한다.
② 가장 먼저 가르쳐야 할 원리를 확인하고, 다음에 제시될 원리를 확인한다.
③ 원리나 이론이 발견되었던 그때의 과정을 따라 교수계열 고안한다.
4) Reigeluth 수업이론 - 수업원리
① 학습내용 중 가장 단순하면서 기본적인 아이디어인 정수를 제시한다.
② 제시된 정수에 추가적으로 상세함과 복잡성을 제시한다.
③ 이를 다시 검토해 전에 제시된 아이디어와 최근 아이디어 간의 관계를 파악하게 한다.
④ 요약과 종합으로 이어지는 정교화 패턴을 학습내용에 있어서 만족할 만한 수준의 복잡성을 성취할 때까지 계속한다.
** Reference
- 교육심리학/ 문은식 박선환 정미경 공저/ p 266~ 290
- 교육학개론/ 김달효저/ 시그마프레스/ p 176~ 182
- 교육심리학/ Tan Oon Seng저/ 구광현 역/ p 299~ 315
- http://blog.naver.com/vrlogy?Redirect=Log&logNo=60036969763
- http://blog.naver.com/irahel?Redirect=Log&logNo=60105626870
- http://blog.naver.com/ddangkong486?Redirect=Log&logNo=120017128945
- http://en.wikipedia.org/wiki/David_Ausubel
- http://horec.tistory.com/140
- http://profile.educ.indiana.edu/Default.aspx?alias=profile.educ.indiana.edu/reigelut
② 전략 요소
정교화 이론은 세 가지의 정교화 조직모형과 이 모형을 통합하려는 하나의 체제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모형은 7가지 기본 전략을 포함하고 잇는데, 그 성격은 수업내용의 형태에 따라 모형마다 달리 제시된다.
- 단순 ~ 복잡의 정교적 계열화
가장 중요한 원리로, 사진기의 줌 렌즈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전체 요소간의 관계를 보고 난 뒤 각각의 구성 요소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각 요소의 상세한 내용을 살펴보며, 반복적으로 줌 아웃을 할 수 있는 전략을 말한다.
- 선수학습 요소의 계열화
학습구조 혹은 학습위계에 기초를 두고 있다. 학습구조는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기 전에 먼저 학습하여야만 되는 지식이나 정보를 나타내는 구조이다.
- 요약자
요약자란 학습한 것을 망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체계적으로 정리해서 복습하는데 사용되는 전략적 요소이다.
- 종합자
아이디어를 서로 연결시키고 통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략적 요소를 의미하며,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다.
- 비유
새로운 정보를 친숙한 아이디어들과 연결시켜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략적 요소이다.
- 인지전략 활성자
학습이란 학습자가 어떻게 학습내용을 인지하고 머릿속에서 처리하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에 인지전략과 그 전략을 활용하는 과정을 자극하고 도와주는 활성자는 학습의 필수적 요소이다.
- 학습자 통제
학습자가 학습할 내용, 학습속도, 학습자가 선택하는 특정의 교수전략 요소와 그 전략요소가 사용되는 순서, 학습자가 수업을 받을 때 사용하는 특성의 인지 전략 등을 선택하고 계열화 할 수 있는 자유를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③ 정교화 과정
- 정수제시
정수란 학습할 내용을 대표할 만한 몇 개의 가장 쉽고, 기본이 되는 내용으로 차후 학습에 추가될 상세한 내용들의 출발점이다. 학습내용의 유형인 개념, 절차, 원리 중 하나를 선택해 제시하게 된다. 아울러 동기부여 전략도 제시될 수 있다. 정수가 제시된 후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면 비유를 제시하고 조직 내용을 차례로 제시한다.
- 제 1수준 정교화 제시
보통 4~8개로 구성되는데, 정수의 조직 내용 1~2개를 좀 더 상세하고 복잡하게 제시하는 것을 말한다. 각 레슨은 동기부여 전략, 비유, 선수학습요소, 요약자, 종합자 등 정수를 제시할 대 사용된 모든 요소를 포함한다.
- 제 2수준 정교화 제시
1수준 도달 후 2수준 레슨이 제공된다. 1수준과는 다르게 정수를 기반으로 정교화하는 것이 아니고 제 1수준 레슨을 기반으로 정교화 해나간다.
- 추가적 정교화 제시
정교화라는 것은 결국 어떤 레슨이 숙달학습이 이루어질 수 잇도록 목표로 한 상세성과 복잡성에 도달할 때까지 더 높은 수준의 정교화 된 레슨을 계속적으로 제시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3) Reigeluth 수업이론 - 정교화 이론 구성
⇒ 정교화 이론은 세 가지의 정교화 조직 모델들과 이 모델들을 통합하려는 하나의 체제 또는 일반화 모델로 구성되어 있다. 세 가지의 모델들은 교수내용의 형태에 따라 개념적 조직모델, 절차적 조직모델 그리고 이론적 조직모델로 나눠진다.
이 각각의 모델들은 위에서 언급했던 일곱 가지의 기본 전략을 포함하고 있다. 이 전략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생겼는데, 즉, 교수가 “무엇”이라고 하는 개념을 달고 있는가, 또는 “어떻게”라고 하는 절차를 다루고 있는가, 혹은 “왜”라고 하는 원리를 다루고 있는가에 따라 정교화의 양상은 달라진다.
정교화의 양상
내 용
개념적 정교화
개념적 정교화는 가르쳐야 할 개념을 어떻게 유의미하게 인지구조에 동화시키는가 하는 과정과 관련된다.
① 개념을 상위, 동위, 하위개념 등으로 분류한다.
② 가장 중요하고 포괄적이고 근원적인 개념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보다 상세하고 포 괄성이 적은 개념의 순서로 계열화한다.
절차적 정교화
절차적 정교화에서는 목표로 하고 있는 절차적 기술, 즉 ‘어떻게’라고 하는 기술을 획득하는 최적의 과정을 계열화한다.
① 해당과제의 가장 단순한 형태, 최단코스를 모색하고 단순 절차로 명세화 한다.
② 가장 중요하고 근본적인 것을 처음에 도입하고, 이어서 복잡한 것을 포함한다.
③ 기타개념은 선수학습요소를 작성된 교수 계열 상에서 적절히 배치한다.
이론적 정교화
교수내용이 사회, 경제교과와 같이 “왜”라고 하는 이론적인 것에 기초하고 있는 경우 사용되는 것이 이론적 정교화 전략이다.
① 가르쳐야 할 원리들의 폭과 깊이를 명세화 한다.
② 가장 먼저 가르쳐야 할 원리를 확인하고, 다음에 제시될 원리를 확인한다.
③ 원리나 이론이 발견되었던 그때의 과정을 따라 교수계열 고안한다.
4) Reigeluth 수업이론 - 수업원리
① 학습내용 중 가장 단순하면서 기본적인 아이디어인 정수를 제시한다.
② 제시된 정수에 추가적으로 상세함과 복잡성을 제시한다.
③ 이를 다시 검토해 전에 제시된 아이디어와 최근 아이디어 간의 관계를 파악하게 한다.
④ 요약과 종합으로 이어지는 정교화 패턴을 학습내용에 있어서 만족할 만한 수준의 복잡성을 성취할 때까지 계속한다.
** Reference
- 교육심리학/ 문은식 박선환 정미경 공저/ p 266~ 290
- 교육학개론/ 김달효저/ 시그마프레스/ p 176~ 182
- 교육심리학/ Tan Oon Seng저/ 구광현 역/ p 299~ 315
- http://blog.naver.com/vrlogy?Redirect=Log&logNo=60036969763
- http://blog.naver.com/irahel?Redirect=Log&logNo=60105626870
- http://blog.naver.com/ddangkong486?Redirect=Log&logNo=120017128945
- http://en.wikipedia.org/wiki/David_Ausubel
- http://horec.tistory.com/140
- http://profile.educ.indiana.edu/Default.aspx?alias=profile.educ.indiana.edu/reigelu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