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 방향
2. 국어사 시대 구분
3. 자음 체계의 시대별 고찰
3-1. 고대 국어의 자음 체계( 통일 신라까지)
3-2. 전기 중세 국어의 자음 체계(10세기 ~ 14세기)
3-3. 후기 중세 국어의 자음 체계(15세기 ~ 16세기)
〈참고문헌〉
2. 국어사 시대 구분
3. 자음 체계의 시대별 고찰
3-1. 고대 국어의 자음 체계( 통일 신라까지)
3-2. 전기 중세 국어의 자음 체계(10세기 ~ 14세기)
3-3. 후기 중세 국어의 자음 체계(15세기 ~ 16세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어에서는 한 독립된 음운으로 보는데, 이 당시에는 이 소리들을 전탁(全濁)이라 하고, 이것을 표기하는 방법은 전청(全淸)의 글자(후음만 차청)를 나란히 쓴 것이라 했다. 그리고 주로 한자음 표기(東國正韻)에 사용되었다.
훈민정음 체계는 당시의 국어에 대한 훌륭한 음운분석의 소산이었으므로 당시의 음운 체계를 잘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당시의 동국정운(東國正韻)의 한자음 표기도 아울러 고려하여 만들어진 것인데, 동국정운(東國正韻)이 한자음의 현실음이 아니기에, 사실상 국어 표기에는 필요 없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다음에서 그 특징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 특징 1 : 평음(平音)과 유기음(有氣音)의 불균형
후기 중세어에 있어서의 평음 ‘ㅂ ㄷ ㅈ ㄱ’과 유기음 ‘ㅍ ㅌ ㅊ ㅋ’의 양계열의 존재는 쉽게 확인된다. 그런데 어휘에 있어서의 유기음의 출현은, 특히 어두(語頭)에 있어서는, 평음의 그것과는 비교도 안 될 만큼 적었다. (가장 적은 것이 ‘ㅋ’이요 다음이 ‘ㅍ’이었다)
▶ 특징 2 : 어중(語中)에 있어서 ‘ㅎ’과 평음(平音)이 합하면 유기음이 되는 것은 현대어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다. ‘다’가 ‘타’로, ‘긔, 게, 고’ 등이 ‘
훈민정음 체계는 당시의 국어에 대한 훌륭한 음운분석의 소산이었으므로 당시의 음운 체계를 잘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당시의 동국정운(東國正韻)의 한자음 표기도 아울러 고려하여 만들어진 것인데, 동국정운(東國正韻)이 한자음의 현실음이 아니기에, 사실상 국어 표기에는 필요 없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다음에서 그 특징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 특징 1 : 평음(平音)과 유기음(有氣音)의 불균형
후기 중세어에 있어서의 평음 ‘ㅂ ㄷ ㅈ ㄱ’과 유기음 ‘ㅍ ㅌ ㅊ ㅋ’의 양계열의 존재는 쉽게 확인된다. 그런데 어휘에 있어서의 유기음의 출현은, 특히 어두(語頭)에 있어서는, 평음의 그것과는 비교도 안 될 만큼 적었다. (가장 적은 것이 ‘ㅋ’이요 다음이 ‘ㅍ’이었다)
▶ 특징 2 : 어중(語中)에 있어서 ‘ㅎ’과 평음(平音)이 합하면 유기음이 되는 것은 현대어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다. ‘다’가 ‘타’로, ‘긔, 게, 고’ 등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