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높임 표현의 개념과 주체 높임법
2. 주체 높임법
2. 1. 직접 높임법
2. 2. 간접 높임법
2. 주체 높임법
2. 1. 직접 높임법
2. 2. 간접 높임법
본문내용
대상일 경우에는 객체 높임법을 적용한다. 그런데 이 높임법은 말하는 이와 듣는 이, 상대, 주체, 객체의 관계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되는 특징이 있으며, 신분상의 높낮이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친밀도, 상황 등에 의해서 결정되기도 한다. 여기서는 15세기 국어의 주체 높임법을 허웅과 고영근의 견해를 중심으로 알아본다.
먼저 허웅(1975:655~656)에서 15세기 국어의 높임법 체계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그림 1> 허웅의 15세기 국어 높임법 체계
높임
들을이를 높임 상대 높임
안높임
높임법 직접 높임
주체를 높임- 주체 높임
말에 등장된 사람을 높임
간접 높임
객체를 높임- 객체 높임
이에 비해 고영근은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으로 구분하고 상대 높임에는 ‘라체, 야써체, 쇼
먼저 허웅(1975:655~656)에서 15세기 국어의 높임법 체계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그림 1> 허웅의 15세기 국어 높임법 체계
높임
들을이를 높임 상대 높임
안높임
높임법 직접 높임
주체를 높임- 주체 높임
말에 등장된 사람을 높임
간접 높임
객체를 높임- 객체 높임
이에 비해 고영근은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으로 구분하고 상대 높임에는 ‘라체, 야써체, 쇼
추천자료
대학에서 나타나는 상황별 경어법 양상 연구
교육과정과 평가 1차 과정 - 제 7회 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술답사 계획안
국어의 보조용언을 모아 본용언과 구별되는 특징, 동사, 형용사, 서술격조사, 이른바 존재사...
제5차 교육과정 정리와논의
매체 문식성교육과 국어교육
국어교육과 그의 목표
조선 후기의 문화 고찰(17~18세기)
[올바른 글쓰기][올바른 글씨쓰기][올바른 독서습관][올바른 역사교육][올바른 역사기록][역...
17세기 소설의 발전
최낙복 국어사 과제
현대국어사 - 우리말 연구
[국어과교육론] 국어교육 관련 개념어 20개에 대해 정리하기
‘1910’ 년대 문학 (1910년대 문학, 근대문학의 출발점, 1910년대 문학의 양상, 시의 양상, 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