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1
3. 선행연구의 검토 2
Ⅱ. 평택・당진항 현황 및 산업구조 3
1. 평택・당진항 시설현황 및 개발계획 3
2. 평택・당진항 화물처리실적 및 전망 4
3. 평택・당진항 주변지역의 산업구조 4
Ⅲ. 북중국 주요 항만 현황 및 산업구조 6
1. 북중국 주요항만 현황 6
2. 북중국 지역의 산업구조 7
Ⅳ. 평택・당진항의 SWOT분석 7
Ⅴ. 한・중 산업연계를 통한 평택・당진항 발전전략 10
1. 항만시설의 확보 11
2. 항만 서비스의 개선 12
3. 동북아 물류로서의 부가가치 창출 12
4. 북중국항만과의 평택・당진항 주변산업 연계 13
제6장 결론 14
<참고 문헌> 16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1
3. 선행연구의 검토 2
Ⅱ. 평택・당진항 현황 및 산업구조 3
1. 평택・당진항 시설현황 및 개발계획 3
2. 평택・당진항 화물처리실적 및 전망 4
3. 평택・당진항 주변지역의 산업구조 4
Ⅲ. 북중국 주요 항만 현황 및 산업구조 6
1. 북중국 주요항만 현황 6
2. 북중국 지역의 산업구조 7
Ⅳ. 평택・당진항의 SWOT분석 7
Ⅴ. 한・중 산업연계를 통한 평택・당진항 발전전략 10
1. 항만시설의 확보 11
2. 항만 서비스의 개선 12
3. 동북아 물류로서의 부가가치 창출 12
4. 북중국항만과의 평택・당진항 주변산업 연계 13
제6장 결론 14
<참고 문헌> 16
본문내용
상회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자동차와 컨테이너 물동량은 2004년 기준 전년대비 각각 125%, 129%의 급격한 신장세를 보이고 있다(<표 2-2>참조).
평택당진항은 최근에 컨테이너 전용부두가 개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개항이후 컨테이너 물동량의 지속적인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 것은 경기도와 중부권이라는 직접배후세력권의 수요 잠재력과 중국교역의 편리성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최근 해양수산부에서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2011년 121만TEU, 2020년 418만 TEU이상을 처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표 2-2> 평택당진항 물동량 처리추이
구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전년
대비율
수출입계
20,948,247
27,721,928
31,262,303
31,340,201
33500691
23578044
3.2%
수입
18,993,371
21,979,812
24,201,922
22,758,858
23008565
24101802
4.8%
수출
1,954,876
5,742,116
7,060,381
858,341
10492126
10476242
-0.2%
연안
10,173,687
11,888,008
11,161,011
12,593,762
7246848
7796287
7.6%
환적
0/0
72,653/0
45,742
/45,182
22,652
/22,325
30224/
30673
70621/
69701
129.4%
합계
31,121,934
39,682,589
42,514,238
43,978,940
40808436
42514023
4.2%
(단위 : R/T)
주 : 환적은 2001년부터 발생. 구분선은 수입/수출을 의미함.
자료 : 해양수산부, SP-IDC, 각년도 자료
3. 평택당진항 주변지역의 산업구조
평택당진항 배후산업단지로는 평택시와 경기도, 충청남도 일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배후권역에는 국가산업단지 7개소(경기도 4, 충남 3), 지방산업단지 81개소(경기도 53, 평택시 7, 충남 21), 농공단지 72개소(경기도 1, 충남 71) 등이 있다.
<표 2-3> 산업단지 현황
지역본부별
산업단지
지정년도
총면적(m²)
입주기업(개사)
근로자(명)
비고
경인
한국수출
1964
3728
4392
72791
-서울디지털
1964
1982
3756
54853
-부평
1965
610
235
7212
-주안
1969
1136
401
10926
남동
1986
9574
4048
64237
북평국가
1975
1872
14
235
분양중
북평지방
1975
715
82
703
분양중
파주출판
1997
1507
191
1450
조정중
파주탄현
1998
77
49
376
소계
17473
8776
139769
서부
반월
1977
15374
2638
88600
시화
1986
16443
4723
80676
아산
1979
11528
253
6391
분양중
석문
1991
10872
-
-
미조정
소계
54217
7614
175667
중부
구미
1969
21531
791
78750
분양중
천안외국인
1994
714
40
2510
구미외국인
2002
751
7
296
임대중
오창외국인
2002
496
6
378
임대중
민주외국인
2004
165
2
-
임대중
오송생명과학
1997
3963
-
-
조정중
소계
27620
846
81934
자료 : 한국산업단지공단, http://www.kicox.or.kr/kix_board_news_r01.jsp
2004년 현재 총 160개 지역이며 이들 지역에 고용된 근로자는 총 244,703명이며 생산액은 504,422억원, 수출액은 373,809백만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평택시, “평택항 경쟁력 강화전략과 최적기능 배치방안 연구”, pp.104~105, 2005
평택당진항의 직배후지에 있는 아산국가산업단지(포승지구, 부곡지구, 고대지구)의 경우 분양율과 가동율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아산국가산업단지의 주요업종은 기계, 석유화학, 철강 등 중화학공업이며, 평택당진항과 아주 인접해 있다.
<표 2-4> 아산국가산업단지 주요 산업 현황(2005년 6월 기준)
포승지구(184개사 입주)
부곡지구(68개사 입주)
고대지구(5개사 입주)
기계 49사 26.7%
전지전자 10사 5.4%
음식료 6사 3.3%
석유화학 40사 21.7%
운송장비 22사 12.09%
철강 21사 11.4%
목재종이 3사 1.6%
비금속 2사 1.1%
기타 31사 16.9%
기계 38사 55.9%
전기전자 1사 1.5%
운송장비 7사 10.3%
철강 15사 22.1%
비금속 2사 2.9%
기타 5사 7.3%
철강2사 40.0%
비금속 1사 20.0%
기타 2사 40.0%
자료 : 평택시, “평택항 경쟁력 강화전략과 최적기능 배치방안 연구”, p.106, 2005 수정인용
Ⅲ. 북중국 주요 항만 현황 및 산업구조
1. 북중국 주요항만 현황
북중국 대련, 천진, 청도항은 환발해 항구군으로서 중국이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대 항구군중의 하나이다. 특히 평택당진항과 이들 지역은 지리적으로 가까워 수도권 화물의 직접처리가 가능하다.
북중국 주요 항만의 일반 현황, 물동량처리실적 및 주요 취급화물을 살펴보면 <표 3-1>과 같다.
<표 3-1> 북중국 주요항만 비교
구분
일반현황
물동량 처리실적 및 전망
취급화물
대련
항
동북3성관문
철도 및 도로 내륙 연계용이
2005년 화물량 약 1억7천만톤 컨 테이너 물동량은 약 269만 TEU
2010년까지 총 2억톤 화물과 600 만 TEU 처리전망
컨테이너부두의 적극적인 개발
석유, 철광석, 철강, 곡물, 자동차 등 처리능력 확충
천
진
항
북경의 관문
북경시와 천진시의 수출입화물 을 북미 또는유럽지역과 연결
TCR의 확적항
처리화물 대부분은 중국의 중앙 과 서부지역 등 내륙지역에서 발생
2004년 억600만톤 컨테이너 화물 량 381만TEU
2005년 2억4000만톤으로 세계10위 권 컨테이너화물은 532만TEU
북항 : 컨테이너화물과 일반화물
남항 : 석탄, 코크스, 유류, 석유 화학
내항 : 주로 일반화물
청
도
항
항만과 내륙지점간 연계수송 유 리
산동반도와 헤난, 허베이, 샨시, 간수, 내몽고, 신장, 시
평택당진항은 최근에 컨테이너 전용부두가 개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개항이후 컨테이너 물동량의 지속적인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 것은 경기도와 중부권이라는 직접배후세력권의 수요 잠재력과 중국교역의 편리성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최근 해양수산부에서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2011년 121만TEU, 2020년 418만 TEU이상을 처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표 2-2> 평택당진항 물동량 처리추이
구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전년
대비율
수출입계
20,948,247
27,721,928
31,262,303
31,340,201
33500691
23578044
3.2%
수입
18,993,371
21,979,812
24,201,922
22,758,858
23008565
24101802
4.8%
수출
1,954,876
5,742,116
7,060,381
858,341
10492126
10476242
-0.2%
연안
10,173,687
11,888,008
11,161,011
12,593,762
7246848
7796287
7.6%
환적
0/0
72,653/0
45,742
/45,182
22,652
/22,325
30224/
30673
70621/
69701
129.4%
합계
31,121,934
39,682,589
42,514,238
43,978,940
40808436
42514023
4.2%
(단위 : R/T)
주 : 환적은 2001년부터 발생. 구분선은 수입/수출을 의미함.
자료 : 해양수산부, SP-IDC, 각년도 자료
3. 평택당진항 주변지역의 산업구조
평택당진항 배후산업단지로는 평택시와 경기도, 충청남도 일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배후권역에는 국가산업단지 7개소(경기도 4, 충남 3), 지방산업단지 81개소(경기도 53, 평택시 7, 충남 21), 농공단지 72개소(경기도 1, 충남 71) 등이 있다.
<표 2-3> 산업단지 현황
지역본부별
산업단지
지정년도
총면적(m²)
입주기업(개사)
근로자(명)
비고
경인
한국수출
1964
3728
4392
72791
-서울디지털
1964
1982
3756
54853
-부평
1965
610
235
7212
-주안
1969
1136
401
10926
남동
1986
9574
4048
64237
북평국가
1975
1872
14
235
분양중
북평지방
1975
715
82
703
분양중
파주출판
1997
1507
191
1450
조정중
파주탄현
1998
77
49
376
소계
17473
8776
139769
서부
반월
1977
15374
2638
88600
시화
1986
16443
4723
80676
아산
1979
11528
253
6391
분양중
석문
1991
10872
-
-
미조정
소계
54217
7614
175667
중부
구미
1969
21531
791
78750
분양중
천안외국인
1994
714
40
2510
구미외국인
2002
751
7
296
임대중
오창외국인
2002
496
6
378
임대중
민주외국인
2004
165
2
-
임대중
오송생명과학
1997
3963
-
-
조정중
소계
27620
846
81934
자료 : 한국산업단지공단, http://www.kicox.or.kr/kix_board_news_r01.jsp
2004년 현재 총 160개 지역이며 이들 지역에 고용된 근로자는 총 244,703명이며 생산액은 504,422억원, 수출액은 373,809백만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평택시, “평택항 경쟁력 강화전략과 최적기능 배치방안 연구”, pp.104~105, 2005
평택당진항의 직배후지에 있는 아산국가산업단지(포승지구, 부곡지구, 고대지구)의 경우 분양율과 가동율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아산국가산업단지의 주요업종은 기계, 석유화학, 철강 등 중화학공업이며, 평택당진항과 아주 인접해 있다.
<표 2-4> 아산국가산업단지 주요 산업 현황(2005년 6월 기준)
포승지구(184개사 입주)
부곡지구(68개사 입주)
고대지구(5개사 입주)
기계 49사 26.7%
전지전자 10사 5.4%
음식료 6사 3.3%
석유화학 40사 21.7%
운송장비 22사 12.09%
철강 21사 11.4%
목재종이 3사 1.6%
비금속 2사 1.1%
기타 31사 16.9%
기계 38사 55.9%
전기전자 1사 1.5%
운송장비 7사 10.3%
철강 15사 22.1%
비금속 2사 2.9%
기타 5사 7.3%
철강2사 40.0%
비금속 1사 20.0%
기타 2사 40.0%
자료 : 평택시, “평택항 경쟁력 강화전략과 최적기능 배치방안 연구”, p.106, 2005 수정인용
Ⅲ. 북중국 주요 항만 현황 및 산업구조
1. 북중국 주요항만 현황
북중국 대련, 천진, 청도항은 환발해 항구군으로서 중국이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대 항구군중의 하나이다. 특히 평택당진항과 이들 지역은 지리적으로 가까워 수도권 화물의 직접처리가 가능하다.
북중국 주요 항만의 일반 현황, 물동량처리실적 및 주요 취급화물을 살펴보면 <표 3-1>과 같다.
<표 3-1> 북중국 주요항만 비교
구분
일반현황
물동량 처리실적 및 전망
취급화물
대련
항
동북3성관문
철도 및 도로 내륙 연계용이
2005년 화물량 약 1억7천만톤 컨 테이너 물동량은 약 269만 TEU
2010년까지 총 2억톤 화물과 600 만 TEU 처리전망
컨테이너부두의 적극적인 개발
석유, 철광석, 철강, 곡물, 자동차 등 처리능력 확충
천
진
항
북경의 관문
북경시와 천진시의 수출입화물 을 북미 또는유럽지역과 연결
TCR의 확적항
처리화물 대부분은 중국의 중앙 과 서부지역 등 내륙지역에서 발생
2004년 억600만톤 컨테이너 화물 량 381만TEU
2005년 2억4000만톤으로 세계10위 권 컨테이너화물은 532만TEU
북항 : 컨테이너화물과 일반화물
남항 : 석탄, 코크스, 유류, 석유 화학
내항 : 주로 일반화물
청
도
항
항만과 내륙지점간 연계수송 유 리
산동반도와 헤난, 허베이, 샨시, 간수, 내몽고, 신장, 시
추천자료
중국의 정치적 변화와 전망
중국의 공산주의와 공산당
신해혁명부터 중국의 건국까지의 중국의 경제
중국의 영웅 덩샤오핑 (등소평)의 생애와 개혁정책 및 천안문 사태
(중국 무역) 한중 무역의 현황, 특성, 한중교역의 문제점, 전망, 발전 방향 - 무역수지 불균...
중국과 무역시 문제점과 해결책 & FTA , 중국과 무역시 문제점과 해결책 & FTA
중국 여성의 지위변화 - 개혁,개방 전후와 도시,농촌비교를 중심으로
문화대혁명 (한글2007)
영화 '인생' 을 통해 본 중국 현대사 논의(중어중문학과 중국현대사)
중국의 전통, 경제발전, 그리고 민주화 내용 요약정리
HONG KONG (홍콩) - ASIA’s WORLD CITY
레저스포츠 중 탁구에 대한 것
롯데리아 기업분석과 성공요인분석* 롯데리아 SWOT분석과 마케팅전략 사례분석* 롯데리아 향...
[아시아선교학] 중국 선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