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레임이론
1) 정의
2) 이슈와 프레임
3) 2차의제설정이론과 프레임이론
2. 프레임이론 사례
1) 프레임의 설정
▪ 촛불시위 진압으로 보는 프레임 (미디어의 프레임)
▪ 버지니아 공대 총기사건으로 보는 프레임(동서양의 프레임)
2) 프레임의 강화
▪ 맥도날드 벌레 괴소문
▪ 구제역/조류독감
3) 프레임의 전환(설정-강화-전환)
▪ 연예인 타블로 학력위조 파문
3. 프레임이론이 여론에 미치는 영향
1) 부화뇌동
2) 선거표심
3) 베르테르효과
4. 프레임이론의 특징과 분석
1) 프레임이론 특성
2) SWOT분석
5. 결론(한계와 대안)
1) 정의
2) 이슈와 프레임
3) 2차의제설정이론과 프레임이론
2. 프레임이론 사례
1) 프레임의 설정
▪ 촛불시위 진압으로 보는 프레임 (미디어의 프레임)
▪ 버지니아 공대 총기사건으로 보는 프레임(동서양의 프레임)
2) 프레임의 강화
▪ 맥도날드 벌레 괴소문
▪ 구제역/조류독감
3) 프레임의 전환(설정-강화-전환)
▪ 연예인 타블로 학력위조 파문
3. 프레임이론이 여론에 미치는 영향
1) 부화뇌동
2) 선거표심
3) 베르테르효과
4. 프레임이론의 특징과 분석
1) 프레임이론 특성
2) SWOT분석
5. 결론(한계와 대안)
본문내용
한쪽이 잘했다고 편을 드는 것이 아니라 학력위조 의혹에 문제제기를 통해 거짓된 주장과 자료들를 진실이라는 프레임으로 만들어낸 왓비컴즈와 타진요 회원들, 막강한 파급력을 가진 미디어를 통한 언론의 여론몰이 모두 결국 프레임의 싸움이다. 따라서 부화뇌동 하지 않는 분별력을 갖추는 게 중요하다.
2)선거표심(지방선거와 대선)
흔히 정치권에서는 선거 때만 되면 여야간의 프레임 경쟁이 벌어지기도 한다. 지난 6.2지방선거 때 여당은 천안함 사건과 관련하여 북풍이라는 프레임으로 국민들을 단결시켜 표심을 얻으려 했으며 야당에서는 MB정부 심판론(미디어법, 4대강사업 등 정부정책 심판)이라는 프레임으로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으려고 했다. 각 정당들은 각자의 프레임을 설정하여 표심을 얻으려 한다. 따라서 정치적 승리를 위해서는 프레임을 선점하는게 중요하다.
17대 대선에서 진보진영은 ‘진보대연합’, ‘도덕성’ 등의 프레임으로 이명박 후보를 공격했다. 하지만 이명박 후보는 ‘경제 살리기’라는 프레임으로 대선을 주도함으로써 결국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뉴스/미디어의 프레임
각 뉴스마다 미디어마다 정해진 틀에 따라 보도하고 접근한다. 언론인이 자신의 의도대로 기사를 특정한 방향으로 묘사하는 것으로 기자의 시각에 따라 보수적으로 또는 진보적으로 이끌어가는 것을 말한다.
3) 베르테르효과 (연예인자살로 인한 모방자살)
연예인 자살에 관해 베르테르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방송, 신문 매체 등)프레임으로 사회를 불안에 빠뜨리고 차후 그것을 연관 지어 신뢰 받을 수 있는 매체인양 수용자들을 현혹한다.
미국의 학자 데이비드 필립스가 유명인의 자살보도가 동조자살을 일으킨다며 제시한 효과이론은 자살보도 이론 중 가장 명료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유명인의 자살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모방자살로 자살율이 급증한다. 이는 일종의 언론의 고정화된 보도패턴이자 프레임이다.
언론은 유명인이 죽으면 몇 명쯤 같은 방식으로 따라 죽을 것이다라고 미리 예언하면서 자신들의 역기능(국민 불안)을 순기능(정확한 보도)으로 바꿔치기한다.
4. 프레임이론의 특성과 분석
1) 프레임이론의 특성
주도권을 획득한 프레임은 각종 미디어와 소문 등을 통해 확대 재생산되며 그러한 프레임을 반박하려는 모든 노력은 오히려 기존의 프레임을 강화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프레임 유행이다.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한다.
한번 자리 잡은 프레임은 웬만해서는 내
2)선거표심(지방선거와 대선)
흔히 정치권에서는 선거 때만 되면 여야간의 프레임 경쟁이 벌어지기도 한다. 지난 6.2지방선거 때 여당은 천안함 사건과 관련하여 북풍이라는 프레임으로 국민들을 단결시켜 표심을 얻으려 했으며 야당에서는 MB정부 심판론(미디어법, 4대강사업 등 정부정책 심판)이라는 프레임으로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으려고 했다. 각 정당들은 각자의 프레임을 설정하여 표심을 얻으려 한다. 따라서 정치적 승리를 위해서는 프레임을 선점하는게 중요하다.
17대 대선에서 진보진영은 ‘진보대연합’, ‘도덕성’ 등의 프레임으로 이명박 후보를 공격했다. 하지만 이명박 후보는 ‘경제 살리기’라는 프레임으로 대선을 주도함으로써 결국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뉴스/미디어의 프레임
각 뉴스마다 미디어마다 정해진 틀에 따라 보도하고 접근한다. 언론인이 자신의 의도대로 기사를 특정한 방향으로 묘사하는 것으로 기자의 시각에 따라 보수적으로 또는 진보적으로 이끌어가는 것을 말한다.
3) 베르테르효과 (연예인자살로 인한 모방자살)
연예인 자살에 관해 베르테르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방송, 신문 매체 등)프레임으로 사회를 불안에 빠뜨리고 차후 그것을 연관 지어 신뢰 받을 수 있는 매체인양 수용자들을 현혹한다.
미국의 학자 데이비드 필립스가 유명인의 자살보도가 동조자살을 일으킨다며 제시한 효과이론은 자살보도 이론 중 가장 명료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유명인의 자살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모방자살로 자살율이 급증한다. 이는 일종의 언론의 고정화된 보도패턴이자 프레임이다.
언론은 유명인이 죽으면 몇 명쯤 같은 방식으로 따라 죽을 것이다라고 미리 예언하면서 자신들의 역기능(국민 불안)을 순기능(정확한 보도)으로 바꿔치기한다.
4. 프레임이론의 특성과 분석
1) 프레임이론의 특성
주도권을 획득한 프레임은 각종 미디어와 소문 등을 통해 확대 재생산되며 그러한 프레임을 반박하려는 모든 노력은 오히려 기존의 프레임을 강화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프레임 유행이다.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한다.
한번 자리 잡은 프레임은 웬만해서는 내
추천자료
남한과 북한의 권력구조 비교
여론조작에 관한 총체적 고찰
사이버 민주주의 낙관론과 부정론
[사회과학] 지속가능한 발전
[졸업논문]유비쿼터스시대의 우리나라 선거제도에 적합한 전자투표 모델 연구
청소년 권리와 복지정책
[매스컴과 사회] 매스컴과 사회 요점정리 서브노트
장애인의 이동권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 장애인 콜택시 제도에 관해 알아보시오.
교육(학교교육)의 역사, 교육(학교교육)의 이론적 발달, 교육(학교교육)의 실태와 현안, 교육...
읽기의 재발견 인터넷 토론 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부안 핵폐기장 유치 문제를 둘러싼 ‘신뢰체계’, ‘하위정치’ 그리고 ‘근대성’
중효과 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