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운율의 개념
2. 운율의 종류
2.1 외형율
1) 운의 종류와 형태
2)율격의 종류와 형태
2.2 내재율
1) 지속적 구조
2) 대립적 구조
3) 전이적 구조
※ 참고 문헌
2. 운율의 종류
2.1 외형율
1) 운의 종류와 형태
2)율격의 종류와 형태
2.2 내재율
1) 지속적 구조
2) 대립적 구조
3) 전이적 구조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은 도막을 지어 운율을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연쇄율에서 도막의 단위는 구, 절, 행, 혹은 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북소리, 염불소리,
염불소리, 물소리,
물 소리, 바라소리,
바라 소리, 물 소리,
물소리 흘러
鐘소리도 흔드노매라.
- 신석정, <바라춤> 부분 인용.
명사들의 나열이 주가 되어 있다. 병렬률과 반복률을 아울러 지니고 있다 하겠다. 한 어절 건너 촉급한 반복이 빠른 템포의 연쇄율을 형성하기도 한다. 산사의 경적을 깨뜨리며 계속 이어지는 소리들의 다양한 울림을 머릿속에 떠올릴 수 있다.
③ 점층률
행이나 연의 분량이 점점 불어나서 의미의 양감을 가중시키거나 내용이 단계적으로 심화되는 점층 구조가 상승적팽창적 리듬을 만들어 낸다.
까마득한 날에
하늘이 처음 열리고
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
모든 山脈들이
바다를 戀慕해 휘달릴 때도
참아 이곳을 犯하던 못하였으리라
끊임없는 光陰을
부지런한 계절이 피여선 지고
큰 江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
지금 눈 나리고
梅花香氣 홀로 아득하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다시 千古의 뒤에
白馬타고 오는 超人이 있어
이 曠野에서 목놓아 부르게 하리라
-李陸史, <曠野> 부분 인용.
전 5연으로 된 3행시인데 각 연의 제 1, 2, 3행이 한결같이 점층적으로 길어지고 있다. 조동일은 제 1행을 2음보, 제2행을 3음보, 제3행을 4음보가 주도하는 혼합음보로 보고 이렇게 점층적으로 늘어나는 형식은 이육사의 주제 의식(민족의 기상은 뻗어나야 한다)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고 지적한다. 점층적으로 불어나는 시행의 양에 의해 각 연의 감정적 진폭도 점층적으로 확장되는 형태를 보인다.
<생각할 거리>
1. 시에서 운율이 주는 효과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소리의 반복은 인간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한 방법이 된다. 시위 군중이 구호를 외칠 때, 또는 목사가 기도를 하거나 승려가 염불을 할 때 소리의 반복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소리의 반복이 듣는 사람에게 상당한 심리적 효과를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시의 운율 역시 소리의 규칙적 반복을 바탕으로 성립되는 것으로 그 규칙성은 인간에게 안정감과 미적 쾌감을 가져다 줄 수 있다.
시의 운율은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만족시키는 동일한 과정을 되풀이 한다. 하나의 운율은 그 자체로서는 뚜렷한 의식의 대상이 되기에는 미약하지만, 그것이 계속해서 되풀이될 때에는 그 축적된 힘으로 상당히 큰 심리적 효과를 빚어낸다. 운율이 계속적인 자극으로 독자의 감정과 주의는 더욱 예민해지고 활발해진다. 일반적으로 시의 운율은 독자에게 짝맞춤(symmetry)과 조화감(harmony)의 효과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짝맞춤이란 반복, 혹은 대칭으로 두 번 이상 되풀이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속성이고, 조화감은 질서의식, 즉 심리적 기대가 충족되었을 때 얻어지는 안정감을 말한다. 이 때 독자들은 질서화 속에 자아를 발견하며 통시적 동일성과 통일성을 확인할 수 있다. 손진은, 「시와 리듬」, 오세영 외, 『시창작 이론과 실제』, 시와 시학사, 1998, pp.228~229.
리듬은 언어가 갖는 어떤 소리 자질이 규칙적 반복이라는 공통점을 지니며 하나의 동일성의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시를 체험의 질서화라고 할 때 이 질서화는 리듬에 있는 것이며 리듬은 통일성과 연속성과 동일성의 감각을 준다. 김준오, 『시론』, 삼지원, 1991, p.83.
이러한 시의 운율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 구조와 결합한다. 즉 시의 내용을 풍부하게 하는 데 기여하는 수단과 방법이 되어야 한다. 한편의 시에 있어서 운율과 의미는 서로 따로 떨어져 있어서는 안되며, 운율이 시의 의미에 생명력을 불어 넣어 주고 시의 감동을 심화확대하는 방향으로 기여하여야 한다. 손진은, 위의 논문, p.229.
2. 시의 운율적 특성을 살리기 위해 시인은 어떤 방식을 택하고 있는지 생각해보자.
- 이육사 시에 나타난 운율적 특성 -
이육사는 30년대 시인으로서는 특이하게 운율에 깊은 관심을 나타내어 율격의 문제에 나름대로의 실험 정신을 보여주었다. 이육사의 시에 나타난 율격은 4음보격이 가장 많으며, 민요 시인들에게서 볼 수 있는 3음보격은 많지 않고, 23음보의 혼용에 의한 전통 율격을 변용한 새로운 형식이 발견된다.
① 3음보격
차듸찬/아침/이슬
진주가/빛나는/못가
蓮꽃 하나/다복히/피고
小年아/네가/낳다니
맑은/넋에/깃드려
박꽃처럼/자랐세라
큰江/목놓아/흘러
여을은/흰/돌쪽마다
소리/多陽을/새기고
너는/駿馬/달리며
竹刀/져 곧은/기운을
목숨같이/사랑했거늘
거리를/쫓아/단여도
水있는/風景/속에
동상답게/서봐도/좋다
西風/뺨을/스치고
하늘 한가/구름/뜨는곳
희고 푸른/지음을/노래하며
그래/가락은/흔들리고
별들/춥다/얼어붙고
너조차/미친들/어떠랴
-<小年에게> 전문
1연 3행 총 7연으로 구성된 이 시는 제2연과 제4연의 끝행에서 예외적인 2음보격이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3음보격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2음절과 3음절로 이루어진 음보가 비교적 많아서 시적 분위기가 밝고 경쾌하게 느껴진다. 3음보격은 구조상 비안정적비대칭적이며 정서적으로 동적격정적호소적 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속성으로 인하여 향유층이 일반 대중이었으며 대중의 저항이나 풍자적 태도를 반영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② 4음보
육사의 작품 중에 3음보격이 드물게 나타나며 많은 수의 작품이 4음보격을 취하고 있는데 이는 시적 주제 의식이나 창작 태도에 비추어 볼 때, 그의 시의 율격은 대체로 안정적대칭적 구조와 정적지시적 톤을 지닌 4음보격이 가장 적당했으리라는 판단을 내릴 수 있다. 한편 육사의 한문학에 대한 소양은 하나의 근거가 되리라 생각한다. 육사가 한시에 대한 조예가 깊었음은 이미 지적되었고 4음보격으로 구성된 작품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섯달에도/보름께/달발근/밤
압내江/쨍쨍어러/조이든/밤에
내가부른/노래는/江건너/갓소
-<江건너간 노래> 부분 인용.
③ 이 시는 각 연의 1행은 3음보, 2행과 3행은 4음보로 되어 있어 시행이 바뀌면서 음보수가 증가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푸른/하늘에/다을드시
세월에/불타고/웃둑/남아서셔
차라리/봄도/
북소리, 염불소리,
염불소리, 물소리,
물 소리, 바라소리,
바라 소리, 물 소리,
물소리 흘러
鐘소리도 흔드노매라.
- 신석정, <바라춤> 부분 인용.
명사들의 나열이 주가 되어 있다. 병렬률과 반복률을 아울러 지니고 있다 하겠다. 한 어절 건너 촉급한 반복이 빠른 템포의 연쇄율을 형성하기도 한다. 산사의 경적을 깨뜨리며 계속 이어지는 소리들의 다양한 울림을 머릿속에 떠올릴 수 있다.
③ 점층률
행이나 연의 분량이 점점 불어나서 의미의 양감을 가중시키거나 내용이 단계적으로 심화되는 점층 구조가 상승적팽창적 리듬을 만들어 낸다.
까마득한 날에
하늘이 처음 열리고
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
모든 山脈들이
바다를 戀慕해 휘달릴 때도
참아 이곳을 犯하던 못하였으리라
끊임없는 光陰을
부지런한 계절이 피여선 지고
큰 江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
지금 눈 나리고
梅花香氣 홀로 아득하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다시 千古의 뒤에
白馬타고 오는 超人이 있어
이 曠野에서 목놓아 부르게 하리라
-李陸史, <曠野> 부분 인용.
전 5연으로 된 3행시인데 각 연의 제 1, 2, 3행이 한결같이 점층적으로 길어지고 있다. 조동일은 제 1행을 2음보, 제2행을 3음보, 제3행을 4음보가 주도하는 혼합음보로 보고 이렇게 점층적으로 늘어나는 형식은 이육사의 주제 의식(민족의 기상은 뻗어나야 한다)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고 지적한다. 점층적으로 불어나는 시행의 양에 의해 각 연의 감정적 진폭도 점층적으로 확장되는 형태를 보인다.
<생각할 거리>
1. 시에서 운율이 주는 효과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소리의 반복은 인간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한 방법이 된다. 시위 군중이 구호를 외칠 때, 또는 목사가 기도를 하거나 승려가 염불을 할 때 소리의 반복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소리의 반복이 듣는 사람에게 상당한 심리적 효과를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시의 운율 역시 소리의 규칙적 반복을 바탕으로 성립되는 것으로 그 규칙성은 인간에게 안정감과 미적 쾌감을 가져다 줄 수 있다.
시의 운율은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만족시키는 동일한 과정을 되풀이 한다. 하나의 운율은 그 자체로서는 뚜렷한 의식의 대상이 되기에는 미약하지만, 그것이 계속해서 되풀이될 때에는 그 축적된 힘으로 상당히 큰 심리적 효과를 빚어낸다. 운율이 계속적인 자극으로 독자의 감정과 주의는 더욱 예민해지고 활발해진다. 일반적으로 시의 운율은 독자에게 짝맞춤(symmetry)과 조화감(harmony)의 효과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짝맞춤이란 반복, 혹은 대칭으로 두 번 이상 되풀이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속성이고, 조화감은 질서의식, 즉 심리적 기대가 충족되었을 때 얻어지는 안정감을 말한다. 이 때 독자들은 질서화 속에 자아를 발견하며 통시적 동일성과 통일성을 확인할 수 있다. 손진은, 「시와 리듬」, 오세영 외, 『시창작 이론과 실제』, 시와 시학사, 1998, pp.228~229.
리듬은 언어가 갖는 어떤 소리 자질이 규칙적 반복이라는 공통점을 지니며 하나의 동일성의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시를 체험의 질서화라고 할 때 이 질서화는 리듬에 있는 것이며 리듬은 통일성과 연속성과 동일성의 감각을 준다. 김준오, 『시론』, 삼지원, 1991, p.83.
이러한 시의 운율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 구조와 결합한다. 즉 시의 내용을 풍부하게 하는 데 기여하는 수단과 방법이 되어야 한다. 한편의 시에 있어서 운율과 의미는 서로 따로 떨어져 있어서는 안되며, 운율이 시의 의미에 생명력을 불어 넣어 주고 시의 감동을 심화확대하는 방향으로 기여하여야 한다. 손진은, 위의 논문, p.229.
2. 시의 운율적 특성을 살리기 위해 시인은 어떤 방식을 택하고 있는지 생각해보자.
- 이육사 시에 나타난 운율적 특성 -
이육사는 30년대 시인으로서는 특이하게 운율에 깊은 관심을 나타내어 율격의 문제에 나름대로의 실험 정신을 보여주었다. 이육사의 시에 나타난 율격은 4음보격이 가장 많으며, 민요 시인들에게서 볼 수 있는 3음보격은 많지 않고, 23음보의 혼용에 의한 전통 율격을 변용한 새로운 형식이 발견된다.
① 3음보격
차듸찬/아침/이슬
진주가/빛나는/못가
蓮꽃 하나/다복히/피고
小年아/네가/낳다니
맑은/넋에/깃드려
박꽃처럼/자랐세라
큰江/목놓아/흘러
여을은/흰/돌쪽마다
소리/多陽을/새기고
너는/駿馬/달리며
竹刀/져 곧은/기운을
목숨같이/사랑했거늘
거리를/쫓아/단여도
水있는/風景/속에
동상답게/서봐도/좋다
西風/뺨을/스치고
하늘 한가/구름/뜨는곳
희고 푸른/지음을/노래하며
그래/가락은/흔들리고
별들/춥다/얼어붙고
너조차/미친들/어떠랴
-<小年에게> 전문
1연 3행 총 7연으로 구성된 이 시는 제2연과 제4연의 끝행에서 예외적인 2음보격이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3음보격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2음절과 3음절로 이루어진 음보가 비교적 많아서 시적 분위기가 밝고 경쾌하게 느껴진다. 3음보격은 구조상 비안정적비대칭적이며 정서적으로 동적격정적호소적 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속성으로 인하여 향유층이 일반 대중이었으며 대중의 저항이나 풍자적 태도를 반영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② 4음보
육사의 작품 중에 3음보격이 드물게 나타나며 많은 수의 작품이 4음보격을 취하고 있는데 이는 시적 주제 의식이나 창작 태도에 비추어 볼 때, 그의 시의 율격은 대체로 안정적대칭적 구조와 정적지시적 톤을 지닌 4음보격이 가장 적당했으리라는 판단을 내릴 수 있다. 한편 육사의 한문학에 대한 소양은 하나의 근거가 되리라 생각한다. 육사가 한시에 대한 조예가 깊었음은 이미 지적되었고 4음보격으로 구성된 작품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섯달에도/보름께/달발근/밤
압내江/쨍쨍어러/조이든/밤에
내가부른/노래는/江건너/갓소
-<江건너간 노래> 부분 인용.
③ 이 시는 각 연의 1행은 3음보, 2행과 3행은 4음보로 되어 있어 시행이 바뀌면서 음보수가 증가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푸른/하늘에/다을드시
세월에/불타고/웃둑/남아서셔
차라리/봄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