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개음화(口蓋音化) 연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개음화(口蓋音化) 연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개념 및 종류
Ⅲ. 방언에서의 구개음화
Ⅳ.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기 말에 완료됐다고 볼 수 있다.
구개음화의 몇 가지 형태를 방언에서 어떻게 실현되는지에 대해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이익섭 외 2인(1997), 한국의 언어, 신구 문화사, pp.326-328.
우선, ㄷ(ㅌ)-구개음화는 치조음 ㄷ, ㅌ, ㄸ이 모음 i나 반모음 j를 만나 구개음ㅈ, ㅊ, ㅉ으로 바뀌는 현상을 말하는데, 17세기와 18세기의 교체기에 발생하였으며, 그 전파 시기에 있어 ㄱ, ㅎ-구개음화 보다 앞서 있었을 뿐 만 아니라 또한 강력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이는 현상이다. 표준어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방언은 일찍이 이 현상을 겪었다. 남부 방언을 반영하는 <두시언해> 중간본에는 다음과 같은 예들을 볼 수 있다.
져(<뎌), 죠흔(<됴흔), 지나가는(<디나가)
그런데 평안도 방언은 지금까지 이 변화를 겪지 않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a. 덩거장(정거장), 덤심(점심), 당개(장가), 둥턴(중천;中天)
b. 데켠(저쪽), 덜(절), 도티요(좋지요), 덕다(적다;記), 티다(치다;打, 張),
띠르다(찌르다), 허디만(하지만)
c. 가티(가치←같이), 구디(구지←굳이), 구티다(구치다←굳히다)
예문 a는 한자어며 b는 고유어의 예들이다. 이들은 뎡거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1.23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60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