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개념 및 종류
Ⅲ. 방언에서의 구개음화
Ⅳ. 결론
<참고 문헌>
Ⅱ. 개념 및 종류
Ⅲ. 방언에서의 구개음화
Ⅳ.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기 말에 완료됐다고 볼 수 있다.
구개음화의 몇 가지 형태를 방언에서 어떻게 실현되는지에 대해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이익섭 외 2인(1997), 한국의 언어, 신구 문화사, pp.326-328.
우선, ㄷ(ㅌ)-구개음화는 치조음 ㄷ, ㅌ, ㄸ이 모음 i나 반모음 j를 만나 구개음ㅈ, ㅊ, ㅉ으로 바뀌는 현상을 말하는데, 17세기와 18세기의 교체기에 발생하였으며, 그 전파 시기에 있어 ㄱ, ㅎ-구개음화 보다 앞서 있었을 뿐 만 아니라 또한 강력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이는 현상이다. 표준어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방언은 일찍이 이 현상을 겪었다. 남부 방언을 반영하는 <두시언해> 중간본에는 다음과 같은 예들을 볼 수 있다.
져(<뎌), 죠흔(<됴흔), 지나가는(<디나가)
그런데 평안도 방언은 지금까지 이 변화를 겪지 않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a. 덩거장(정거장), 덤심(점심), 당개(장가), 둥턴(중천;中天)
b. 데켠(저쪽), 덜(절), 도티요(좋지요), 덕다(적다;記), 티다(치다;打, 張),
띠르다(찌르다), 허디만(하지만)
c. 가티(가치←같이), 구디(구지←굳이), 구티다(구치다←굳히다)
예문 a는 한자어며 b는 고유어의 예들이다. 이들은 뎡거
구개음화의 몇 가지 형태를 방언에서 어떻게 실현되는지에 대해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이익섭 외 2인(1997), 한국의 언어, 신구 문화사, pp.326-328.
우선, ㄷ(ㅌ)-구개음화는 치조음 ㄷ, ㅌ, ㄸ이 모음 i나 반모음 j를 만나 구개음ㅈ, ㅊ, ㅉ으로 바뀌는 현상을 말하는데, 17세기와 18세기의 교체기에 발생하였으며, 그 전파 시기에 있어 ㄱ, ㅎ-구개음화 보다 앞서 있었을 뿐 만 아니라 또한 강력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이는 현상이다. 표준어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방언은 일찍이 이 현상을 겪었다. 남부 방언을 반영하는 <두시언해> 중간본에는 다음과 같은 예들을 볼 수 있다.
져(<뎌), 죠흔(<됴흔), 지나가는(<디나가)
그런데 평안도 방언은 지금까지 이 변화를 겪지 않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a. 덩거장(정거장), 덤심(점심), 당개(장가), 둥턴(중천;中天)
b. 데켠(저쪽), 덜(절), 도티요(좋지요), 덕다(적다;記), 티다(치다;打, 張),
띠르다(찌르다), 허디만(하지만)
c. 가티(가치←같이), 구디(구지←굳이), 구티다(구치다←굳히다)
예문 a는 한자어며 b는 고유어의 예들이다. 이들은 뎡거
추천자료
광고언어의 사회학적 분석
근대, 현대 국어 연구
통신 언어의 구조와 대면 대화와의 차이점 고찰
의미론 전문언어 연구
[사투리][방언][표준어][지방사투리]표준어와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 분화와 연구, 사투...
청소년의 통신언어사용 실태와 개선방안
광복 이후부터 1980년대까지의 국어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듣기교육
스페인어 발달사 - 스페인어가 중남미로 전해진 역사적 배경과 그 결과
[맞춤법과표준어]현행 한글 맞춤법의 원리 분석
(아동행동연구) 아동의 언어발달 이론과 연령별 언어발달, 환경과 언어발달장애 보고서
현행 한글 맞춤법의 문제점
국어국문학과-언어학연구의 역사적 논의와 언어의 힘 A+
방통대 중간과제물 [언어의이해A형] 외적外的 언어학 또는 인접과학과 언어학의 관계에 대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