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본문
1. <장끼전>의 이본형성 과정에 반영된 담 당층의 정서
2. 우화소설로서의 <장끼전>의 가치
3. <장끼전>의 사회적 함의
Ⅲ. 맺음말
<참고문헌>
Ⅱ. 본문
1. <장끼전>의 이본형성 과정에 반영된 담 당층의 정서
2. 우화소설로서의 <장끼전>의 가치
3. <장끼전>의 사회적 함의
Ⅲ.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읽으면서 느낀 비판이나 불만족으로부터 비롯된다. 독자가 나름대로의 경험이나 가치관 등을 통해 작품을 수용한 결과가 가시화된 것이 이본이다. 이렇게 독자의 비판이나 불만족이 이미 창작이 완결된 기록물에 대한 개작이라는 현상을 일으키는 것은 특별한 배경이 없다면 불가능하다.
이러한 <장끼전>의 작품군들의 형성과정을 권영호는 유랑예인 집단의 가요로부터 형성된 장끼타령이 변화를 거듭하다가 판소리로서의 전승이 중단된 후 독서물로의 정착이 일어나고 가사처럼 읽혀지고 민요로 전승되면서 형성되었다 권영호, “장끼전 작품군 연구, 경북대 박사논문, 1995. p.130.
고 보고 있다.
그런데 전승과정에서 보여지는 이본의 내용상 선후 관계에 대해서는 연구자마다 상이한 주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본들에 드러나는 일련의 줄거리들을 내용상 내용상 크게 4개의 부류로 나눌 수 있다는 점에서는 대개 뜻을 같이 하며, 이들 내용은 다시 ①의 전반부만으로 된 것과 ②③④의 후반부가 함께 있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①장끼의 죽음 부근에서 작품이 끝나는 경우
②장끼의 죽음 후 까투리에게 뭇새들이 청혼을 하는데, 주로 까마귀와 오리의 청혼을 까투리가 거절하는 대목에서 끝나는 경우
③까투리가 장끼와 재혼하는 것으로 끝나는 경우
④까투리가 수절했음을 분명히 밝히는 경우
권영호에 의하면 장끼타령의 초기형태는 형성적 모태인 유랑예인집단의 노래와 비교할 때 유랑인의 것이자 하층인의 것인 빈궁하고 비참한 삶이 서사적 구성의 근간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자신들의 삶을 형상화한 유랑예인집단의 노래는 하층인의 고단하고 다난한 삶에 대한 심리적 정화로 수용되었기에 쉽게 민요로 정착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장끼전의 이본에 반영된 정서는 크게 ‘풍자와 ‘동정의 정서로 볼 수 있다.
<장끼전>에서 장끼의 죽음은 장끼의 가부장적 독단이 불러온 듯하나 장끼가 ‘콩 한 쪽‘에 그렇게 절실하게 된 배경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될 문제다. 여기엔 작품 담당층의 삶이 반영된 것이다. 한편 까투리는 장끼가 죽자 다른 새들과 함께 장례를 치르고 조문객을 접대하는 등 홀몸으로 생활하게 되는데 장끼타령에서 이와 같은 서사화는 하층민의 일상적인 삶을 토대로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 까투리가 죽고 난후 뭇새들의 청혼이 보여지는데 고대본 등에 나타나는 이러한 모습들은 하층민의 삶 속에서의 개가(改嫁)라는 문제를 잘 드러낸다.
고 고 이 팔 험고도 험시고.
이러한 <장끼전>의 작품군들의 형성과정을 권영호는 유랑예인 집단의 가요로부터 형성된 장끼타령이 변화를 거듭하다가 판소리로서의 전승이 중단된 후 독서물로의 정착이 일어나고 가사처럼 읽혀지고 민요로 전승되면서 형성되었다 권영호, “장끼전 작품군 연구, 경북대 박사논문, 1995. p.130.
고 보고 있다.
그런데 전승과정에서 보여지는 이본의 내용상 선후 관계에 대해서는 연구자마다 상이한 주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본들에 드러나는 일련의 줄거리들을 내용상 내용상 크게 4개의 부류로 나눌 수 있다는 점에서는 대개 뜻을 같이 하며, 이들 내용은 다시 ①의 전반부만으로 된 것과 ②③④의 후반부가 함께 있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①장끼의 죽음 부근에서 작품이 끝나는 경우
②장끼의 죽음 후 까투리에게 뭇새들이 청혼을 하는데, 주로 까마귀와 오리의 청혼을 까투리가 거절하는 대목에서 끝나는 경우
③까투리가 장끼와 재혼하는 것으로 끝나는 경우
④까투리가 수절했음을 분명히 밝히는 경우
권영호에 의하면 장끼타령의 초기형태는 형성적 모태인 유랑예인집단의 노래와 비교할 때 유랑인의 것이자 하층인의 것인 빈궁하고 비참한 삶이 서사적 구성의 근간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자신들의 삶을 형상화한 유랑예인집단의 노래는 하층인의 고단하고 다난한 삶에 대한 심리적 정화로 수용되었기에 쉽게 민요로 정착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장끼전의 이본에 반영된 정서는 크게 ‘풍자와 ‘동정의 정서로 볼 수 있다.
<장끼전>에서 장끼의 죽음은 장끼의 가부장적 독단이 불러온 듯하나 장끼가 ‘콩 한 쪽‘에 그렇게 절실하게 된 배경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될 문제다. 여기엔 작품 담당층의 삶이 반영된 것이다. 한편 까투리는 장끼가 죽자 다른 새들과 함께 장례를 치르고 조문객을 접대하는 등 홀몸으로 생활하게 되는데 장끼타령에서 이와 같은 서사화는 하층민의 일상적인 삶을 토대로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 까투리가 죽고 난후 뭇새들의 청혼이 보여지는데 고대본 등에 나타나는 이러한 모습들은 하층민의 삶 속에서의 개가(改嫁)라는 문제를 잘 드러낸다.
고 고 이 팔 험고도 험시고.
추천자료
한국고전소설의 현대적 의의
한국고전소설의 발생
[운영전][고전소설][고전문학][고전][소설][문학]운영전(고전소설)의 등장인물, 운영전(고전...
[고전소설][고대소설][영화화][게임화][시트콤화][동화화]고전소설(고대소설)의 영화화와 고...
2009년 2학기 고전소설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09년 하계계절시험 고전소설론 시험범위 핵심체크
[고전소설 운영전][고전소설][운영전][고전문학][문학][소설][운영전평가]고전소설 운영전의 ...
조선 후기 고전소설의 전개 양상
한국 고전소설 비평의 양상
[고소설][고전소설]고소설(고전소설)과 동화, 고소설(고전소설)과 영화, 고소설(고전소설)과 ...
고전소설의 주제와 세계관 이론정리 (춘향전, 창선감의록, 홍길동전, 구운몽 등)
[고전소설론] 심청전 배경연구
[한국고전소설론] 고전소설의 비현실적 요소에 대한 평가 [고전소설 비현실적 요소 논의 고전...
[한국고전소설론] 고전소설의 천편일률성에 대한 인식과 권선징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