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지도안) 속미인곡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업지도안) 속미인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작품개관 -------------------------------- 2 ~ 11

1. 글의 개관 --------------------------------------------------- 2

2. 작품 분석 --------------------------------------------------- 3

3. 참고 자료 --------------------------------------------------- 9

Ⅱ. 교수ㆍ학습 원리 및 탐색 ----------------------- 12

1. 독자 반응 중심 모형 ------------------------------------------ 12

Ⅲ. 단원의 개관 ----------------------------- 13 ~ 14

1. 단원명 ----------------------------------------------------- 13

2. 단원 설정 이유 ---------------------------------------------- 13

3. 전 학년 내용과 관련 ------------------------------------------ 13

4. 교육과정 내용 ----------------------------------------------- 14

5. 지도상의 유의점 및 한계 -------------------------------------- 14

6. 단원의 구성 및 지도 계획 -------------------------------------- 14

Ⅳ. 본시 수업의 설계 ------------------------ 15 ~ 27

1. 거시적 교수ㆍ학습 과정안 -------------------------------------- 15

2. 미시적 교수ㆍ학습 과정안 -------------------------------------- 18

3. 판서 및 책상 배열 -------------------------------------------- 24

Ⅴ. 학습자료 ------------------------------- 25 ~ 26

1. 파워포인트 자료 --------------------------------------------- 25

2. 학습 자료 ------------------------------------------------- 첨부

3. 활동지 --------------------------------------------------- 첨부

4. 형성평가 ------------------------------------------------- 첨부

참고문헌 --------------------------------------- 26

첨부(학습자료, 활동지, 형성평가)

본문내용

--------- 12
Ⅲ. 단원의 개관 ----------------------------- 13 ~ 14
1. 단원명 ----------------------------------------------------- 13
2. 단원 설정 이유 ---------------------------------------------- 13
3. 전 학년 내용과 관련 ------------------------------------------ 13
4. 교육과정 내용 ----------------------------------------------- 14
5. 지도상의 유의점 및 한계 -------------------------------------- 14
6. 단원의 구성 및 지도 계획 -------------------------------------- 14
Ⅳ. 본시 수업의 설계 ------------------------ 15 ~ 27
1. 거시적 교수ㆍ학습 과정안 -------------------------------------- 15
2. 미시적 교수ㆍ학습 과정안 -------------------------------------- 18
3. 판서 및 책상 배열 -------------------------------------------- 24
Ⅴ. 학습자료 ------------------------------- 25 ~ 26
1. 파워포인트 자료 --------------------------------------------- 25
2. 학습 자료 ------------------------------------------------- 첨부
3. 활동지 --------------------------------------------------- 첨부
4. 형성평가 ------------------------------------------------- 첨부
참고문헌 --------------------------------------- 26
첨부(학습자료, 활동지, 형성평가)
1. 글의 개관
(1) 조선 전기 가사의 유형
1) 은일가사(隱逸歌辭) : 정극인의 ‘상춘곡(賞春曲)’을 비롯하여 ‘면앙정가’ 등이 이에 속한다.
2) 유배가사(流配歌辭) : 조위(曹偉)의 ‘만분가(萬憤歌)’ 등이 있다. 정철의 ‘사미인곡(思美人曲)’과 ‘속미인곡(續美人曲)’도 이 계열에 넣기도 한다.
4) 기행가사(紀行歌辭) : 백광홍의 ‘관서별곡(關西別曲)’과 정철의 ‘관동별곡(關東別曲)’ 등이 있다.
5) 도학가사(道學歌辭) : 이이(李珥)의 ‘자경별곡(自警別曲)’등이 있다.
6) 내방가사(內房歌辭) : 허난설헌의 ‘규원가(閨怨歌)’가 최초의 작품이다.
(2) 유배 가사’에 대하여
유배 가사는 당쟁의 산물로서 사대부들의 가장 쓰라린 생활 감정의 표출이었다. 그 내용은 유배지에서 겪는 온갖 고초와 고독감 속에서도 임금에 대한 일편 단심은 불변하여 한결같이 충신연군지사(忠臣戀君之詞)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유배가사들에는 작자의 패배 의식과 좌절감이 넘쳐 있기 때문에 읍소(泣訴), 애원(哀怨), 상심(傷心) 등이 주조를 이루지만, 한편으로는 체념이나 절망을 극복하고, 다시 임금께 나아가려는 의지력이 여운으로 남는 것이 특징이기도 하다.
(3) 작가 : 정철(1536~1593년)
조선 선조(14대) 때의 명신이면서 문인으로서 자는 계함, 호는 송강(松江)이며, 시호는 문청이다. 율곡 이이와 동갑나기인 정철은 돈녕부 판관을 지낸 정유침의 아들로서 서울에서 출생하였고, 당대의 명유들이었던 하서 김인후, 고봉 기대승, 면앙정 송순 등에게서 글을 배웠으며, 우리나라 시가사상 고산 윤선도와 쌍벽을 이루는 가사문학의 대가라고 할 수 있다. 그가 52세 때 향리인 담양에서 지은 ‘사미인곡(思美人曲)’과 ‘속미인곡(續美人曲)’은 조선 선조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노래한 것으로 유배가사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는데, 서포 김만중은 ‘서포만필(西浦漫筆)’에서, 중국 초나라의 굴원이 지은 ‘이소(離騷)’에 비겨, ‘동방의 이소(離騷)’라고 절찬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의 경치 좋은 광주호 주변에 있는 식영정과 호남의 명산인 무등산 북서쪽의 원효계곡 자락에 있는 성산(星山,별뫼)의 모습을 연결시켜 노래한 ‘성산별곡(星山別曲)’은 정극인의 ‘상춘곡(賞春曲)’, 면앙정 송순의 ‘면앙정가(仰亭歌)’를 잇는 호남 가단의 중요한 맥을 형성하고 있다. 송강 정철은 강원도 관찰사로 있으면서 관동지방의 해금강, 내금강, 외금강 등의 절승지와 관동팔경을 중심으로 한 기행가사인 ‘관동별곡(關東別曲)’을 짓기도 했다. 또한 송강 정철은 본래 성질이 곧아서 바른 말을 잘하는 데다, 당시 조정의 당파 싸움에 연루되어 거의 평생을 귀양살이로 마쳤지만, 학문이 깊고 시를 잘 지어 그의 작품들은 오늘날도 많은 사람들에 의해서 즐겨 회자(膾炙)되고 있다. 오늘날 송강의 시비가 강원도 원주시 치악예술관 입구에 있는데, 이는 송강이 강원도 관찰사로 있으면서 도민을 교화하기 위해 ‘훈민가(訓民歌)’ 16수를 짓고 ‘관동별곡(關東別曲)’을 지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송강의 사후 담양 창평의 송강서원과 경남 영일의 오천서원 별사에 제향되었다.
2. 작품분석
속미인곡(續美人曲)
정 철(鄭澈)
뎨 가 뎌 각시본 듯도 뎌이고.
天텬上샹 白玉옥京을엇디야 離니別별고,
다 뎌 져믄 날의눌을 보라 가시고.
어와 네여이고내 셜 드러 보오.
내 얼굴 이 거동이님 괴얌즉 가마
엇딘디 날 보시고네로다 녀기실
나도 님을 미더군디 전혀 업서
이야 교야어러이 구돗디
반기시 비치녜와 엇디 다신고.
누어 각고니러 안자 혜여니
내 몸의 지은 죄뫼티 혀시니
하히라 원망며사이라 허믈랴
셜워 플텨 혜니造조物믈의 타시로다.
글란 각 마오.친 일이 이셔이다.
님을 뫼셔 이셔님의 일을 내 알거니
믈 얼굴이편실 적 몃 날일고.
春츈寒한苦고熱열은엇디야 디내시며
秋츄日일冬동天텬은뉘라셔 뫼셧고.
粥죽早조飯반 朝죠夕셕 뫼 녜와 티 세시가,
기나긴 밤의은 엇디 자시가.
님다히 消쇼息식을아므려나 아쟈 니
오도 거의로다.일이나 사 올가.
내 둘 업다.어드러로 가
  • 가격5,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2.01.31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67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