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국어사 - 우리말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국어사 - 우리말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화된다.
2)음운변화
(1)자음의 변화
가)귀착현상
현대국어의 음절 말, 즉 종성에 올 수 있는 자음은 「ㅂ,ㄷ,ㄱ,ㅁ,ㄴ,ㅇ,ㄹ」의 일곱뿐이다. 이 일곱 자음 밖의 다른 자음, 또는 자음군으로 끝난 기본 형태를 가진 형태소가 단독으로 쓰이거나, 또는 자음으로 시작되는 조사·또는 어미가 그에 연결될 때는, 형태소 말의 자음, 또는 자음군은 이 일곱 중의 어느 하나로 바뀌게 되는데, 이것을 귀착현상이라고 한다. 「ㅅ,ㅆ,ㅌ,ㅈ,ㅊ」등 전설 장애음을 끝소리로 하는 기본 형태를 가진 형태소가 위와 같은 조건 아래 놓이게 되면 이 종성들은 모드 /t/로 바뀐다. 「ㅍ, ㅂㅅ」종성은 /p/로 바뀐다. 또한 「ㅋ,ㄲ,ㄱㅅ」 종성은 /k/로 바뀐다. 또 「ㄹㅅ, ㄹㅌ」은 /l/로 바뀌며 ‘ㄹㅁ’은 /m/으로 바뀐다. 또 「ㄹㄱ, ㄹㅍ, ㄹㅂ」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l/가 줄어져서 /k/, /p/가 남게 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l/이 남고, 다음 소리를 된소리화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ㄹㅂ’ 받침을 가진 말 중 「짧-, 넓-, 얇-, 떫-」따위는 「ㄹ」이 남고 「ㅂ」이 줄어진다. 위의 귀착현상은 음성적 조선에 의한 변동이며, 이것은 필연적·보편적 성격을 띠고 있따.
나)자음접변
국어의 형태소 연결에서 특정한 자음끼리 접하게 되면, 그 중의 어느 하나가 다른 소리로 바뀌게 되는데, 이를 자음접변 또는 닿소리 이어 바뀜이라 한다.
ㄱ)종성 「ㄱ,ㄷ,ㅂ」이 콧소리인 「ㄴ,ㅁ」을 닮아서 각각 「ㅇ,ㄴ,ㅁ」으로 바뀐다.
ㄴ)「ㄹ」 종성은 종성 「ㅂ,ㄷ,ㄱ,ㅁ,ㅇ,ㄴ」에 이어 날 수 없는데, 이 경우에는 「ㄴ」을 제외한 다른 다섯 종성 밑에서는 「ㄹ」종성은 「ㄴ」으로 바뀐다.
ㄷ)「ㄹ+ㄴ」의 연결은 불가능한데, 이 때에는 순행동화가 일어나서 초성의 「ㄴ」이 「ㄹ」로 바뀐다. 이상에서 설명한 자음접변 현상은 모두 필연적은 변동으로서 임의로 두 발음 중에서 선택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자음접변 중에는 임의적인 변동도 있다.
ㄹ)내파음으로 나는 「ㄷ,ㅂ」종성에 외파음의 「ㄱ,ㅂ」초성이 이어날 때는 앞소리가 뒷소리에 완전 동화되는 경향이 있다.
ㅁ)콧소리 「ㄴ,ㅁ」에 「ㄱ,ㅂ,ㅁ」이 이어 날 때는, 앞소리는 뒷소리의 조음위치로 이동한다.
다)구개음화
앞 형태소의 끝소리가 「ㄷ,ㅌ」이고, 뒤 형태소의 첫소리가 /i/, /j/인 때는 앞의 「ㄷ,ㅌ」이 뒤 소리의 나는 자리에 끌려가서 「ㅈ,ㅊ」으로 변동하는 자음동화 현상의 한 가지이다.
라) 모음사이 자음의 간극동화
ㅂ 변격 용언의 어간 말음의 「ㅂ」은 모음 사이에서는 간극의 동화를 입어 간극이 모음에 가까운 반모음의 /w/나, 바로 모음의 /u/로 변한다. 모든 「ㅂ」이 모음 사이에서 다 이렇게 변이되는 것은 아니며, ㄷ변격 용언의 어간 형태소도 그 말음의 「ㄷ」이 모음 사이에 개입하게 되는 환경에서는 「ㄹ」로 변화하며 이와 같은 현상으로 「ㄴ」이나 「ㄴ-ㄴ」이 모음 사이에서 「ㄹ」,「ㄹ-ㄹ」로 바뀌는 일도 있다.
마)자음생략(탈락)
자음생략 현상은 형태소가 놓이는 자리에 따라서, 기본 형태소의 음소가 줄어지는 일이 있다.「ㄹ」음은 「ㄴ,ㄷ,ㅈ,ㅅ,」위에서는 흔히 줄어진다. 예로, 소나무, 여닫이, 바느질, 부삽이 있다. 또한 ㄹ 변격용언의 「ㄹ」은 「-ㄴ, -ㅂ, -오, -시」위에서 줄어진다. 예로는 기니, 놉니다, 가오, 노시다 등이 있다. 또 ㅅ 변격용언의 「ㅅ」은 첫소리가 모음인 어미가 연결될 때는 줄어진다. 예로 나으니, 이으니가 있고, 마지막으로 어간의 끝 「ㅎ」이 줄어지는 일이 있다. 그 예는 하얀, 커다란, 조으니 등이 있다.
바)자음첨가
두 형태소 사이에 그 어느 편에도 속하지 않는 음운이 첨가되는 일이 있다. 형태소의 첫소리고 /i, j/인 때는 그 사이에 「ㄴ」이 덧난다. 이는 두 형태소 사이에 휴식을 둘 수 있는 경우라야 한다. 또 앞 형태소의 끝소리가 자음일 때는, 첨가된 「ㄴ」과의 사이에서 자음접변이 일어난다. 앞의 형태소가 모음으로 끝나고, 뒤의 형태소의 첫소리가 「ㄴ」이나 「ㅁ」일 때는, 이것을 이중 자음으로 겹치는 일이 있다.
사)이화현상
같은 소리나 비슷한 소리가 이어날 때에, 그 중의 한 소리를 그와 다른 소리로 바꾸거나, 다른 소리에 동화되려는 것을 막기 위하여, 동화되기 어려운 소리로 바꾸는 현상일 「이화」라 불리는데, 이것은 「동화」에 정반대되는 현상이다.
무성 연자음 「ㄱ,ㄷ,ㅂ」 밑의 연자음은, 두 연자음의 연결을 피하여 뒤의 자음이 경음으로 바뀌는 경향이 있다. 또 연자음 「ㄱ,ㄷ,ㅂ,ㅈ,」는 유성음 사이에서는 유성의 변이음으로 동화되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관형사형 어미 「-ㄹ」 밑에서는 규칙적으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
아)변격활용(불규칙활용)
국어의 동사와 형용사의 변격활용을 보면, 어간이 불규칙한 것과 어미가 불규칙한 것, 어간과 어미가 다 불규칙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ㄱ)어간이 불규칙한 것
(ㄱ)어간의 끝소리가 줄어지는 것
ㄹ변격(놀다-노니), ㅅ변격(잇다-이으니), ㅎ변격(하얗다-하야니), 으변격(쓰다-써라), 우변격(푸다-퍼라) 가 있다.
(ㄴ)어간의 끝소리가 다른 소리로 바뀌는 것
ㅂ변칙(덥다-더우니), ㄷ변칙(듣다-들으니) 가 있다.
ㄴ)어미가 불규칙한 것
여변격(하다-하여, 하였다), 러변격(이르다-이르러, 이르렀다), 거라변격(가다-가거라), 너라변격(오다-오너라)가 있다.
ㄷ)어간과 어미가 다 ㅂㄹ규칙한 것
르변격(흐르다-흘러)
변격활용이란 어미가 불규칙한 것은, 그 변이 형태의 변이 조건이 형태적인 것에 속하고, 어간이 불규칙한 것은, 그 변이 조건이 음성적인 것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2)모음의 변화
가)축약현성
앞 형태소의 끝소리와 접속되는 형태소의 첫소리가 다 모음일 때는, 이 두 모음이 중모음으로 변하거나, 또는 그 간음인 단모음으로 변하여, 두 음절이 한 음절로 바뀌는 현상을 이룬다.
나)생략(탈락)현상
형태소가 놓이는 자리에 따라서, 기본 형태의 음소가 줄어지는 경우가 있다.
ㄱ)앞 형태소의 끝 모음과 다음 형태소의 첫 모음이 같은 음소일 때는 그 중 한 모음이 줄어진다.
ㄴ)앞 형태소의 끝 모음이 /으/음이고, 다음 형태소의 첫 모음이 /어/음일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5.16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61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