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124장 분석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124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문 가사 및 한문 가사
2. 관련 사적
3. 작품 분석
4. 현대어 풀이및 정리
<표 1> 중세 국어의 객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

본문내용

조사이다. ‘성성(聖性)’은 성스러운 성품으로 여기서는 태종을 말한다. ‘-에’는 부사격 조사이다. ‘실’는 ‘다’의 어간 ‘-’에 주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 ‘-시-’와 연결 어미 ‘-ㄹ’가 결합했다.
‘異端’에서 ‘-’은 목적격 조사이며, ‘排斥시니’는 ‘排斥-’에 주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와 반말의 평서형 종결 어미 ‘-니’가 결합했다. ‘예융사설(裔戎邪說)’은 서쪽의 오랑캐의 사악한 말이라는 뜻이다. 허웅(1955:337)에서는 오랑캐는 옷자락과 같으므로 ‘예융’이라고 했다. 또한 불교는 서역에서 왔기에 변방 서쪽 오랑캐의 사악한 말이라고 했다. ‘-이’는 주격 조사이다. ‘罪福’에서 ‘-’은 목적격 조사이다. ‘저히거든’ ‘저히다’는 ‘두렵게 하다’, ‘위협하다’의 옛말인데 ‘두려워하다’의 옛말인 ‘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2.02.20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8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