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마루운동 역사
마루운동 규칙
마루운동의 기본동작
마루운동훈련방법
마루운동 채점방법
마루운동의 성과
마루운동 규칙
마루운동의 기본동작
마루운동훈련방법
마루운동 채점방법
마루운동의 성과
본문내용
이고 다리는 쭉 뻗어 45도 각도까지 들어 몸이 V자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2초가 유지를 하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한 손으로는 다리를 받치고 다른 손으로는 등을 받쳐서 보조하게 하고 발이 땅에 닿지 않는 웅크리기 자세와 다리 벌리기와 같이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고 엉덩이 굴근이 약하면 무릎을 굽혀서 시작한 후에 한쪽 다리를 들거나 양쪽 다리를 들어서 하는 방법을 쓰는 것도 좋다.
무릎으로 균형 잡기는 손과 무릎을 바닥에 댄 자세를 취한다. 그리고 한쪽 다리를 뒤로 들어 올리고 발끝까지 곧게 편다. 마지막으로 2초가 유지하고 다리를 내리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손가락을 벌리고 폭은 어깨 넓이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동작의 경우에는 신체 균형을 잡는데 중요한 동작이며 요가 동작으로도 비슷하게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한쪽 무릎 구부리고 다리 벌리기는 한 쪽 무릎을 구부리고 앉는다. 그리고 다른 다리는 뒤쪽으로 곧게 뻗어 발끝에 포인트를 준다. 발목도 곧게 뻗고 이 때 무릎을 바닥 쪽으로 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가능한 뒤로 길게 쭉 뻗어 허벅지가 바닥에 닿게 한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유연성을 증가하는 것인데 양쪽 다리를 모두 연습하여 잘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으로 어깨로 물구나무서기가 있는데 바닥에 앉는다. 그리고 어깨방향으로 뒤돌기를 한다. 팔은 옆이나 머리 위로 둔다. 몸은 위로 쭉 뻗어 발끝을 펴고 엉덩이와 일직선이 되도록 하고 자세를 유지한 후 밑으로 구르면 된다. 이 동작의 경우 쫌 어려운 동작이면서도 힘든 동작이기 때문에 앞에서 설명 했던 긴장도 검사를 실시하고 목에 문제가 있는 시행자의 경우에는 자제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 동작은 손을 힙, 허벅지, 엉덩이 밑바닥에 두면서 다양한 자세로 연습하고 발은 벌리거나 걷는 자세를 시도해 보는 것도 중요하다.
한 다리로 균형 잡기요령은 몸이 일직선이 되도록 서고 발끝은 바깥으로 향한다. 그리고 한 쪽 다리를 무릎 굽혀 든다. 그리고 올리는 발의 발끝이 지지하는 발의 무릎을 스칠 때까지 올린다. 발과 무릎은 모두 바깥으로 돌린다. 마지막으로 팔은 머리위로 올려 2초 정도 균형을 유지하고 천천히 발을 내리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머리는 들고 몸은 곧게 편 후 균형을 잡기 위해 대퇴부에 힘을 준다. 추가적으로 한다면 긴장도 검사를 참고하는 것도 좋다.
전방 균형 잡기 동작은 차렷 자세로 선다. 그리고 한 쪽 다리는 쭉 펴서 지지하고 다른 발은 뒤로 올린다. 이 때 두 발은 쭉 편 상태이고 엉덩이는 직각을 이루고 들어 올린 발의 발목과 발끝은 일직선에 되어야 한다. 팔은 위로 올리거나 옆으로 두는 등의 다양하게 할 수 있고 등 쪽을 아치모양으로 만들고 가슴과 머리를 높게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균형 잡기 자세에서 뒷다리가 올라갈 때 상체를 내린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양발을 모두 연습하고 한 팔을 앞으로 다른 팔은 옆으로 또는 양팔 다 앞으로도 할 수 있는 것이 포인트이다.
옆으로 균형 잡기 동작의 경우는 팔을 들고 차렷 자세를 취한다. 그리고 천천히 한 발을 옆으로 올린다. 그리고 상체를 옆으로 올린 발의 반대쪽으로 기울이는 동안 지지하는 다리는 그대로 유지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연습초기단계에는 한 손으로 바를 잡고 연습 할 수 있도록 하고 유연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유연성 조절 운동을 같이 시행하는 것도 중요하다.
앞으로 다리 벌리기의 요령은 무릎 구부려 앉은 자세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앞뒤로 다리 벌리기 자세가 되게 하기 위해 앞다리를 앞으로 쭉 밀고 뒷다리는 쭉 뻗는다. 앞무릎은 위를 향하고 뒤 무릎은 아래로 향한다. 머리와 가슴을 뒤로 들고, 발끝은 편다. 팔은 다양한 자세를 취하고 2초간 유지하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옆으로 다리 벌리기로 연결해서 할 수 있는데 다리를 옆으로 뻗어 무릎은 위로 향하고 엉덩이가 바닥을 닿을 때까지 밑으로 내리도록 유연성 훈련 시 20초 정도 버티도록 운동을 충분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브리지 만들기의 요령은 등을 바닥에 대고 눕는다. 그리고 무릎을 굽혀 발을 바닥에 짚는다. 팔은 굽혀서 손가락이 어깨 쪽으로 향하게 하고 손은 어깨 옆 바닥을 짚는다. 여기서는 뒤구르기 방법을 참고하면 도움이 된다. 다음으로 바닥에서 몸을 올리면서 등이 아치모양이 될 때까지 팔과 무릎을 쭉 편다. 마지막으로 2초 동안 유지하고 몸을 내리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각 손을 양쪽 어깨에 두고 올라올 수 있도록 바른 자세가 중요하고, 무게 중심을 머리 위에 두면 안 되고 머리는 바닥에서 떨어져 있어야 한다. 브리지를 하기 전에 준비운동을 하는 것은 당연하고 등의 유연성 운동을 할 때에, 한 동작에 대해 적어도 20초가 유지하고 즉시 반대 방향으로 등을 굽혀서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등, 어깨, 손의 위치가 중요한데 등은 쭉 펴는 것을 강조하고 어깨는 손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운동은 등에 무리가 많이 가기 때문에 등이나 허리에 문제가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이드 슬라이드 스텝자세가 있는데 우선 차렷 자세로 시작한다. 그리고 다리를 벌리고 사이드 스텝을 한다(오른발은 오른쪽으로 보낸다). 왼발을 바닥으로 끌면서 오른발 쪽으로 가져온 후 스트레칭 포지션을 취한다. 왼발로 신체의 무게 중심을 바꾸고 오른발을 다시 옆으로 보낸 다음 왼발은 오른쪽으로 향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계속 슬라이드 스텝을 하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슬라이드 간격을 점점 늘리고 발끝을 끄는 동안 스피드를 증가시키고 양쪽 방향으로 모두 연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팔은 허리에 대거나, 옆으로 드는 등 다양하게 연출한다.
가위차기 동작은 오른발을 앞으로 스텝 한다. 그리고 왼다리를 굽히고 공중으로 끌어 올린다. 왼발이 내려 올 때 오른다리를 굽혀 앞으로 올려 두발이 공중에 있게 한다. 그리고 발목과 무릎을 굽힌 상태로 왼발로 착지하고 난 후 오른발로 착지하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앞뒤로 연습하고 다리를 곧게 펴는 것이 중요하다.
다리 벌리고
무릎으로 균형 잡기는 손과 무릎을 바닥에 댄 자세를 취한다. 그리고 한쪽 다리를 뒤로 들어 올리고 발끝까지 곧게 편다. 마지막으로 2초가 유지하고 다리를 내리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손가락을 벌리고 폭은 어깨 넓이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동작의 경우에는 신체 균형을 잡는데 중요한 동작이며 요가 동작으로도 비슷하게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한쪽 무릎 구부리고 다리 벌리기는 한 쪽 무릎을 구부리고 앉는다. 그리고 다른 다리는 뒤쪽으로 곧게 뻗어 발끝에 포인트를 준다. 발목도 곧게 뻗고 이 때 무릎을 바닥 쪽으로 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가능한 뒤로 길게 쭉 뻗어 허벅지가 바닥에 닿게 한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유연성을 증가하는 것인데 양쪽 다리를 모두 연습하여 잘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으로 어깨로 물구나무서기가 있는데 바닥에 앉는다. 그리고 어깨방향으로 뒤돌기를 한다. 팔은 옆이나 머리 위로 둔다. 몸은 위로 쭉 뻗어 발끝을 펴고 엉덩이와 일직선이 되도록 하고 자세를 유지한 후 밑으로 구르면 된다. 이 동작의 경우 쫌 어려운 동작이면서도 힘든 동작이기 때문에 앞에서 설명 했던 긴장도 검사를 실시하고 목에 문제가 있는 시행자의 경우에는 자제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 동작은 손을 힙, 허벅지, 엉덩이 밑바닥에 두면서 다양한 자세로 연습하고 발은 벌리거나 걷는 자세를 시도해 보는 것도 중요하다.
한 다리로 균형 잡기요령은 몸이 일직선이 되도록 서고 발끝은 바깥으로 향한다. 그리고 한 쪽 다리를 무릎 굽혀 든다. 그리고 올리는 발의 발끝이 지지하는 발의 무릎을 스칠 때까지 올린다. 발과 무릎은 모두 바깥으로 돌린다. 마지막으로 팔은 머리위로 올려 2초 정도 균형을 유지하고 천천히 발을 내리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머리는 들고 몸은 곧게 편 후 균형을 잡기 위해 대퇴부에 힘을 준다. 추가적으로 한다면 긴장도 검사를 참고하는 것도 좋다.
전방 균형 잡기 동작은 차렷 자세로 선다. 그리고 한 쪽 다리는 쭉 펴서 지지하고 다른 발은 뒤로 올린다. 이 때 두 발은 쭉 편 상태이고 엉덩이는 직각을 이루고 들어 올린 발의 발목과 발끝은 일직선에 되어야 한다. 팔은 위로 올리거나 옆으로 두는 등의 다양하게 할 수 있고 등 쪽을 아치모양으로 만들고 가슴과 머리를 높게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균형 잡기 자세에서 뒷다리가 올라갈 때 상체를 내린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양발을 모두 연습하고 한 팔을 앞으로 다른 팔은 옆으로 또는 양팔 다 앞으로도 할 수 있는 것이 포인트이다.
옆으로 균형 잡기 동작의 경우는 팔을 들고 차렷 자세를 취한다. 그리고 천천히 한 발을 옆으로 올린다. 그리고 상체를 옆으로 올린 발의 반대쪽으로 기울이는 동안 지지하는 다리는 그대로 유지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연습초기단계에는 한 손으로 바를 잡고 연습 할 수 있도록 하고 유연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유연성 조절 운동을 같이 시행하는 것도 중요하다.
앞으로 다리 벌리기의 요령은 무릎 구부려 앉은 자세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앞뒤로 다리 벌리기 자세가 되게 하기 위해 앞다리를 앞으로 쭉 밀고 뒷다리는 쭉 뻗는다. 앞무릎은 위를 향하고 뒤 무릎은 아래로 향한다. 머리와 가슴을 뒤로 들고, 발끝은 편다. 팔은 다양한 자세를 취하고 2초간 유지하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옆으로 다리 벌리기로 연결해서 할 수 있는데 다리를 옆으로 뻗어 무릎은 위로 향하고 엉덩이가 바닥을 닿을 때까지 밑으로 내리도록 유연성 훈련 시 20초 정도 버티도록 운동을 충분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브리지 만들기의 요령은 등을 바닥에 대고 눕는다. 그리고 무릎을 굽혀 발을 바닥에 짚는다. 팔은 굽혀서 손가락이 어깨 쪽으로 향하게 하고 손은 어깨 옆 바닥을 짚는다. 여기서는 뒤구르기 방법을 참고하면 도움이 된다. 다음으로 바닥에서 몸을 올리면서 등이 아치모양이 될 때까지 팔과 무릎을 쭉 편다. 마지막으로 2초 동안 유지하고 몸을 내리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각 손을 양쪽 어깨에 두고 올라올 수 있도록 바른 자세가 중요하고, 무게 중심을 머리 위에 두면 안 되고 머리는 바닥에서 떨어져 있어야 한다. 브리지를 하기 전에 준비운동을 하는 것은 당연하고 등의 유연성 운동을 할 때에, 한 동작에 대해 적어도 20초가 유지하고 즉시 반대 방향으로 등을 굽혀서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등, 어깨, 손의 위치가 중요한데 등은 쭉 펴는 것을 강조하고 어깨는 손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운동은 등에 무리가 많이 가기 때문에 등이나 허리에 문제가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이드 슬라이드 스텝자세가 있는데 우선 차렷 자세로 시작한다. 그리고 다리를 벌리고 사이드 스텝을 한다(오른발은 오른쪽으로 보낸다). 왼발을 바닥으로 끌면서 오른발 쪽으로 가져온 후 스트레칭 포지션을 취한다. 왼발로 신체의 무게 중심을 바꾸고 오른발을 다시 옆으로 보낸 다음 왼발은 오른쪽으로 향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계속 슬라이드 스텝을 하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슬라이드 간격을 점점 늘리고 발끝을 끄는 동안 스피드를 증가시키고 양쪽 방향으로 모두 연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팔은 허리에 대거나, 옆으로 드는 등 다양하게 연출한다.
가위차기 동작은 오른발을 앞으로 스텝 한다. 그리고 왼다리를 굽히고 공중으로 끌어 올린다. 왼발이 내려 올 때 오른다리를 굽혀 앞으로 올려 두발이 공중에 있게 한다. 그리고 발목과 무릎을 굽힌 상태로 왼발로 착지하고 난 후 오른발로 착지하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앞뒤로 연습하고 다리를 곧게 펴는 것이 중요하다.
다리 벌리고
추천자료
운동기능학습(운동학습이론)에 관한 고찰
운동과 건강 / 운동의 필요성
운동과 건강의 필요성과 효과
시민단체의 예산감시운동에 관한 보고서
신사회운동으로서의 촛불집회성격 분석
체육(체육과교육) 움직임교육과 팀티칭학습, 체육(체육과교육) 이해중심게임수업과 기능수업(...
[스포츠 심리] 스포츠 심리기술의 훈련방법 - 스포츠 심리기술의 구조, 심리적 방해요인, 스...
정신지체아동 놀이의 필요성, 정신지체아동 놀이의 선택, 정신지체아동 놀이의 사회적 성숙, ...
유아를 대상으로 운동능력, 정서표현, 인지적 능력 중택하여 관찰후 보고서 제출하기
[동작분석, 도마운동 동작분석, 댄스스포츠(스포츠댄스) 동작분석, 달리기, 골프, 수영]도마...
[심리운동 (PSYCHOMOTORIK)
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 2017 생활과건강 2.제2형 당뇨병 환자를 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