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환경이 청소년 폭력에 미치는 영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정환경이 청소년 폭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Ⅱ. 청소년 비행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청소년 비행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청소년 폭력의 유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3. 청소년 폭력의 현황 및 특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Ⅲ. 청소년 비행(폭력)의 원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1. 심리적 원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2. 사회적 원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3. 학교 폭력의 가정적인 원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Ⅳ. 가정환경과 청소년 폭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1. 구조적 결손가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2. 기능적 결손가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Ⅴ. 대처방안 ․ ․ ․ ․ ․ ․ ․ ․ ․ ․ ․ ․ ․ ․ ․ ․

본문내용


머튼(Merton)은 \'사회구조와 아노미(Social structure Anomie)\' 라고 하는 논문에서 일탕행위는 문화적으로 규정된 목표와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회적으로 구조된 제도적 수단이 조화적으로 작동하지 않은 경우에 생긴다고 하는 이론을 주창하였다. 즉 현대사회에서는 많은 사람들의 공통된 목표가 한결같이 강조되고 있는 반면,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합법적인 수단을 얻는 기회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사회구조상 제한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완전히 배체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제한을 받는 사람들은 규범에 대한 정서적 공감이나 지지를 하지 않고 합법적인가 비합법적인가를 묻지 않고 목표달성을 위한 기술적 수단을 확보할 것에만 마음을 쓰게 된다. 여기서 일탈행위의 발생 원인을 찾을 수 있다고 하는것이 머튼(Merton)의 이론이다(홍봉선, 2007 : 221).
머튼(Merton)은 문화적 목표와 제도적 수단에 따라 여러 적응유형이 있다고 본다. 첫째는 동조형으로 그 사람들은 문화적 목표를 달성하기 원하고, 또 합법적인 수단으로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집단이다. 둘째는 혁신형으로, 목표는 추구하지만 합법적 수단이 없는 집단으로 부당한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하려는 집단이다. 대부분의 범죄나 비행은 이런 대처방식으로 일어나나다. 셋째 의례형은 통상적인 성공의 목표 없이 하루하루 만족하면서 일정 관습과 규범을 엄격히 지키는 유형이다. 하위직 공무원의 집단은 그 예에 해당한다. 넷째 도피형은 추구하는 목표도 없고 또 목표가 없으니 그것을 달성하려고 시도조차 하지 않는 유형으로, 부랑아나 마약중독자가 이에 해당된다. 다섯째, 혁명형은 기존의 목표보다는 새로 목표를 대안으로 제시하고 사회변화를 시도하는 유형이다. 머튼은 첫 번째 이외의 유형은 모두 일탈이라 보았는데, 특히 하층의 적응방식이며 그리고 비행과 관련 있는 유형은 두 번째 유형이라고 하였으며 머튼의 아노미이론에서의 개인의 적응유형은 다음 [표 - 2]와 같다.
[표 - 2] 아노미 상태에서의 개인의 적응양식
개인의
적응양식
문화적
목표
제도적
수단
사례 및 해당계급
특 징
동 조 형
+
+
평범한 정상행위,정직한 기업인
(상층중간계급)
비일탈적
의 례 형
-
+
목적의식이 없는 행위로 주로
관료형 (하층 중간계급)
혁 신 형
+
-
절도, 강도, 횡령 등의 범죄 전문가와 화이트 칼라 범죄인(하층계급)
일탈적-범죄와 가장관계가 깊은 유형
도 피 형
-
-
알콜및 마약중독자, 자살자
(하강계급)
반 역 형
+
-
+
-
사회운동가, 혁명집단. 히피족
(상승계급)
일탈적
<출처> 김준호, 2003 : 91
2) 하위문화이론
하위문화이론(subculture theory) 또는 문화일탈이론(cultural deviance theory)에서는 하층청소년들이 지배적인 문화와는 다른 문화 속에 위치해 있음으로 인하여 그러한 문화 속의 가치와 신념에 따라 행동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비행을 많이 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즉, 비행은 하층청소년들이 자신들의 비행문화의 규칙을 잘 따른 결과라고 본다. 하위문화이론으로는 코헨의 비행하위문화이론, 클로워드와 오린의 차별기회이론, 밀러의 하위계층문화이론이 대표적인 이론이다(김준호, 2003 : 104).
3) 사회해체이론
(1) 주요주장
쇼우와 멕케이(Shaw and McKay)의 사회해체이론은 시카고의 특정지역에서 왜 범죄율이 높은지 설명하려고 했다. 시카고 지역은 원형을 이루며 다섯 지역으로 구분 되는데, 중심이 상업지역, 그 다음이 공장, 상가, 유흥업소가 많고 빈민층등이 형성되어 있는 전이지역, 노동자들의 거주 지역, 중산층 거주 지역, 상층거주의 교외지역의 모습을 띠고 있다. 그들은 그중 첫 번째, 두 번째, 지역이 비행률이 높고, 도심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비행률이 낮아진다고 했는데, 그 지역은 시카고가 도시화, 산업화되면서 외국의 이민자들이 이주하여 정착하는 지역으로 집값과 건물임대료가 싸고 따라서 결손가정이나 빈민 하층들이 거주하며, 이민자로 다양한 인종이 모여 살고, 상권지역으로 인구이동과 주민의 전출입도 많은 특성이 있다고 한다.
쇼우와 멕케이에 따르면 그 지역이 비행률이 높은 이유는 외부 이민자들에 의한 문화갈등에 있다고 보았다. 즉 다양한 인종의 이민자가 모여들게 되면 기존 거주자들과 또한 이주자들 같에도 문화갈등과 충돌이 생기면서 일관된 가치가 제공되지 못하고 사회가 통합되지 못하게 된다고 하였다.
(2) 최근의 논의
콘하우저(Kornhauser)가 쇼우와 멕케이의 사회해체론을 사회통제론적으로 설명하기 시작했고 1980년대 이후부터는 문화전달의 측면보다는 문화갈등으로 인한 통합, 결속력, 사회통제의 악화의 측면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즉 다양한 인종이 모여살고 인구이동이 높은 지역은 지역 성원들 간에 결속력과 유대가 약하기 때문에 비행이 통제되지 못해 비행률이 높다고 본 것이다. 1980년대 이후 사회해체 이론가들은 지역의 비공식적 사회통제력을 강조하여 지역주민들의 유대와 결속력, 통합도가 높고, 일정 행동기준이 있어 비행을 저지 할 수 있는 효과적인 통제장치가 있을 경우 비행의 발생가능성은 낮지만, 그러한 통합력과 비공식적 통제적 기제가 상실되어 있는 지역은 비행률이 높다고 주장했다(Sampon and Groves,1989: Bursik and Grasmick, 1993).
지역성원들의 상호접촉 빈도가 높고 친밀하며 유대가 높은 지역의 청소년들은 지역 내에서 지역주민들에 의해 적절히 통제되기 때문에 비행의 가능성이 낮다.
청소년들은 비행을 저지를 경우 자기가 거주하는 지역 반경 내에서 비행을 할 가능성이 높다. 그렇지만 지역주민들 간에 친밀한 유대가 형성되어 있는 지역에서는 서로가 잘 알기 때문에 이웃의 자식을 내 자식인양 돌보고, 또 어떤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하더라도 이를 부모에게 알려 문제행동이 쉽게 통제될 수 있다.
즉 이 지역의 청소년들은 잘 알고 지내는 이웃의 자식을 내 자식인양 돌보고, 또 어떤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하더라도 이를 부모에게 알려 문제행동이 쉽게 통제될 수 있다. 이 지역의 청소년들은 잘 아록 지내는 이웃사람들의 눈
  • 가격5,000
  • 페이지수39페이지
  • 등록일2012.04.05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83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