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뢰벨(Frobel)의 교육방법, 은물, 프뢰벨 교육사상의 의의와 비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프뢰벨(Frobel)의 교육방법, 은물, 프뢰벨 교육사상의 의의와 비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프뢰벨의 생애

2. 프뢰벨의 어린이 발달과정의 구분
 1) 영아기(0~3세)
 2) 유아기(3~7세)
 3) 소년기(8~10세)

3. 프뢰벨의 교육관

4. 프뢰벨 교육의 원리

5. 프뢰벨의 교육 방법
 1) 통일의 원리
 2) 자기활동의 원리
 3) 노작의 원리
 4) 놀이의 원리
 5) 연속적 발달의 원리

6. 프뢰벨의 은물
 1) 제 1은물 ~ 10) 제 10은물

7. 프뢰벨 교육 사상의 의의와 비판
 1) 프뢰벨 교육 사상의 의의
 2) 프뢰벨교육 사상의 비판

【 참고자료 】

본문내용

3cm 막대를 기준으로 길이를 비교해 준다.
② 실물놀이
⒜ 연관 있는 것 - 연관이 있는 놀이에서는 한 가지 놀이를 할 때 길이가 같은 막대만을 사용한다.
⒝ 개개의 실물 - 실물은 독립된 것이어야 하며 사이가 떨어진 실물을 피한다.
③ 무늬놀이
중심무늬는 흩어지기 쉬우므로 정확하게 맞춘다.
중심을 정확하게 만든다.
9) 제 9은물
(1) 개요
(자료: 이자현,2006)
세 종류의 둥근 고리, 세 종류의 반고리 / 지름 각 3cm, 4.5cm, 6cm이다.
9은물은 면을 분해하여 얻은 추상적인 곡선을 알게 해준다.
부드러운 곡선으로 형태를 표현하는 능력을 익히며 동물, 꽃, 사람의 얼굴 등 곡선의 윤곽을 가진 구체물로 모양놀이 무늬 만들기 등의 추상적이고 다양한 형태를 만들어봄으로 창의적이고 추상적인 사고를 갖게 된다.
9은물 활동놀이는 소개하기, 실물놀이, 무늬놀이를 할 수 있다.
(2) 놀이 순서
⒜ 소개 - 8은물 막대를 이용하여 9은물 고리의 직경 길이와 비교해 본다. 큰 고리의 직경은 6cm짜리 막대와 길이가 같고 작은 고리의 직경은 3cm 짜리의 막대 길이와 같다. 소개할 때는 유사점을 먼저 소개하고 직경과 원둘레를 혼동하지 않도록 한다.
⒝ 실물놀이 - 쉬운 것으로부터 어려운 것으로 해 나간다. 폭이 너무 넓어지지 않도록 한다. 너무 복잡한 것은 부적당하다.
⒞ 무늬놀이
중심이 뚜렷한 무늬이어야 하며, 중심을 정확하게 만들게 한다.
흩어지지 않도록 주의해 가며 논다.
10) 제 10은물
(1) 개요
(자료: 이자현,2006)
선을 분해한 점을 알게 하는 놀잇감/점 9가지색 (빨, 주, 노, 초, 파, 보, 검, 흰, 나무색)
선을 한 번 더 분해하여 얻는 점을 알게 해준다.
형태가 있는 모든 것을 점이 모여서 이루어진 것임을 알게 해주며 점의 연결에 의해 직선이나 곡선이 생기고, 나아가서는 선이 모여서 윤곽이 이루어지며, 그 가운데 점이 가득 채워져서 면이 되는 것을 알게 해준다.
10은물 활동놀이로는 실물 모양놀이, 쌓기놀이, 별자리만들기가 있다(이상욱,정희영,최영해 외 2명, 2011).
(2) 놀이 순서
⒜ 소개 - 열 번째 은물은 분해의 극, 모든 형태의 기본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입체로 부터 면, 선, 점으로의 분해적 진보와 점으로부터 선, 면, 입체의 종합적 진보를 꾀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점을 연결하면 선이 된다는 것을 이해시키기 위해서 선을 만들 때 반드시 그 점을 먼저 놓게 한다.
⒝ 실물놀이
아이들이 다루기에 적당한 양을 내준다.
가급적 양손을 써서 만든다. 굴러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7. 프뢰벨 교육 사상의 의의와 비판
1) 프뢰벨 교육 사상의 의의
(1) 유아기에 대한 깊은 사랑과 이해를 중시했다는 점이다.
누구보다도 유아를 사랑하고 개성을 존중한 프뢰벨은 인간의 신성을 믿었기 때문에, 유아를 소중하게 교육해야 할 대상으로 보았다.
(2) 아동의 자발성을 중요하게 여겼다.
아동을 직접적 활동에 의해 구체적 생활을 통해서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한 것은 현대적으로 커다란 의의인 것이다.
(3) 아동의 사회화 강조
창조적 자기활동의 이론을 전개시켜 유희 및 작업의 가치를 중요시하고, 일찍이 아동의 사회화를 강조한 점은 현대적으로 커다란 의의를 갖는 것이다. 즉 프뢰벨은 아동교육에 있어서 사회화의 의의를 기본적인 원리로 인정하였다.
(4) 프뢰벨의 인간교육의 기본 원칙은 교육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본성의 의미를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교육의 관점은 오늘날 교육에서 인간의 자아실현과 성장에 기본 바탕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는 의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5) 올바른 인간관 측면
프뢰벨은 선을 바탕으로 한 인간관이 바로 교육 본래의 인간관이라 볼 수 있으며 이는 현재 인간성이 무시되고 있는 우리 교육 현실에 많은 반성의 기회를 제공해 준다고 할 수 있다.
(6) 프뢰벨이 제안하는 놀이를 통한 교육, 은물을 이용한 놀이와 작업, 그리고 집단 형태로 이루어지는 놀이의 방법은 아동의 현재의 흥미를 중심으로 그의 창조적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게 한다는 점에서 현대의 유아교육현장에서도 중시되어야 할 방법이라고 생각된다(최양미,1995).
2) 프뢰벨교육 사상의 비판
(1) 오늘과 같은 기술문명 사회에서 인간의 모든 소질을 남김없이 전체적으로 조화 있게 자라나야 하도록 한다는 이상은 경제적, 사회적 제약을 간과한 것이다.
(2) 도야의 이념은 그 순수하게 정신적이고 내면적인 성격 때문에 오늘날의 역사적인 현실과 대응하기에는 너무 무력하다.
(3) 인간의 성장은 식물의 성장처럼 점진적이고 연속적이 아니라 비약적인 성장을 한다.
(4) 프뢰벨의 교육 이론의 지나친 이상주의와 삼라만상의 근원과 현상을 하나님에게서 찾는 엄격한 기독교 신앙적인 요소 등은 현실과 동떨어진 감이 적지 않는 측면도 있다.
(5) 프뢰벨의 사상은 아동의 흥미를 지나치게 강조하여 어려운 과목을 피하고 쉬운 과목을 택하게 하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기본적 기술이나 능력 습득에 소홀하여 미래에 대한 교육의 준비성이 소홀하였고, 지나친 아동 중심 교육으로 목표설정이 명확치 못하여, 사회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지식이나 전통을 체계 있게 학습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 참고자료 】
이상욱,정희영,최영해 외 2명 저(2011)「유아교육개론」학지사
J. 클리버리, D.C. 필립스 저, 김태오,김병희 역(2006)「유아교육철학」양서원
최양미(1995)「프뢰벨 유아교육방법의 의의에 관한 연구」人文科學硏究, Vol.3 No.1
황미경(2006)「은물 놀이를 통해서 본 프로벨의 교육방법」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이자현(2006)「프뢰벨의 가베 놀이학습이 미취학 아동 미술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김용헌(2003)「프뢰벨의 『인간교육』에 나타난 合一思想 硏究」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임채란(2003)「프뢰벨 은물(Gift)놀이학습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이민아(1998)「프뢰벨(Frobel)의 幼兒敎育理論과 實踐原理에 관한 硏究」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논문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2.04.24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26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