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본문내용
개입해서 그 사람의 마음이나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것에 개입을 해서 변화를 야기 시키도록 하는 이런 부분이 미술 치료에 한 영역이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술치료의 개념
-영국미술치료사 협회 에서의 정의
=안전하고 촉진적인 환경에서 미술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내담자로 하여금 개인적인 수준에서 변화하고 성장하도록 돕는 것이다. 미술재료를 통해서 미술표현을 한다는 뜻이죠
-Wadeson
=미술치료는 비언어적 (그림을 그리고 만들고 - 내 마음의 것을 표현하는 것) 커뮤니케이션 기법으로 반복시행 함으로써 시각적 이미지 (미술치료에서는 이 이미지가 중요합니다.)가 구체화되고 여기에 언어적 보완 (대화를 나누잖아요) 이 이루어 지면서 지금까지의 자기상실, 왜곡, 방어, 억제 등의 상황에서 벗어나 명확하게 자아인식, 자기실현을 이루게 하는 심리치료이다.
Rubin
-미술활동의 일차적 목적은 치료이며, 미술 치료의 핵심은 미술과 치료 두 부분이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 이야기 한 것 중 미술치료 개념중 핵심적으로 들어가는 것은 미술표현 심리치료
인간의 조형활동을 통해서 개인의 갈등을 조정하고, 자기 표현과 승화 작용을 통하여 자아 성장을 촉진하며, 내적 세계와 외적 세계의 조화를 이루도록 돕는 것
미술치료의 목적 : 미술활동을 통하여 심신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의 심리를 진단하고 치료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게 진단 을 하셔야 된다. 잘못해서 그림의 투사 검사를 할 때 그 부분으로 내담자를 낙인 찍고 평가하는 그래서 그 내담자에게 상처를 주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그래서 일부분은 미술치료를 받고 상처를 받았다는 사람들도 있거든요 심리를 진단하는 경우는요 우리가 항상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어야 하면은요 항상 내담자를 도와준다. 정확하게 알아서 내담자에게 도움을 주는 하나의 수단으로 활용해야 하지 평가하고 낙인찍는것은 매우 위험하다.
미술치료의 입장
-치료를 강조
=Maumburg 정신분석 이론을 많이 공부한분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Art in therapy (치료에서의 미술) 치료장면에서 미술을 하나의 매개체로 활용
=미술심리치료
=치료관계 형성, 자유연상 (자기가 떠오르는 것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그림의 상징성 강조
치료하는 과정에서 미술활동이라는 것을 매개체로 활용하면서 내담자를 마음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쪽으로 초점을 두고 있다.
-미술을 강조
=Kramer
=Art as therapy (치료로서의 미술) 미술활동 자체가 치료가 된다.
=미술과정 자체에 중심
=창조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 , 승화(내가 가지는 인정못받는 것을 인정으로 바꾸는 것)와 자아성장 (내면에 있는 부정적 감정이나 잠재된 공격을 표출하면서 카타르시스를 느끼면서 긍정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야기 한다.)
-통합적 입장
=Ulman 치료와 미술은 동전의 양면이다.
=치료와 창조적인 작품활동이 동시에 강조되어 한다.
미술치료라는 언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한 사람, 1961년에 미국에 미술치료학회가 형성되는데 그때 학회지가 나타나는데 bluthino therapy 미술치료라는 언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했던
미술치료의 장점
미술은 심상의 표현이다. (심상- 내머리속을 스쳐지나가는...
내담자의 방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만약에 언어로 표현하잖아요? 우리가 숨기고 싶은것을 다른사람에게 수용될 수 있는 것을 이런부분을 선택해서 표현하는 것이 있는데 언어적인 부분보다는 심리적으로 편하게 표현할 수 있다. 이런것이 장점이다.
구체적인 유형의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자료의 영속성이 있다.
미술작업을 하면 자료가 남잖아요 이것을 오래도록 보관할 수 있다. 작품을 보관하다가 작품을 다시 돌아볼수 있습니다. 과정에 있어서 변화를 알 수 있습니다. 치료를 받기 전과 받은 후에 아니면 치료과정의 상황을 잘 알 수 있습니다. 훨씬더 많은 관심을 받는 것이 아닌가 나무에 붙어서 있으면 자기에 얽메어져있다는 모습을 잘 보인다. 유리잔이 있는데 유리잔을 통해 자신의 불안감 표현
공간성을 지니고 있다.
창조성이 있으며 에너지를 유발시킨다.
언어상담은 일차원적으로 표현하지만, 가족을 소개해보세요 그러면 어떻습니까? 우리가족은 어머니 아버지 뭐 아들 딸 4인 가족이고요. 아버지는 이렇구요 어머니는 이렇구요 일차원으로 하잖아요.그다음에 자기자신에 과거와 현재 미래에 대해서 설명을 해보세요. 그렇게 하면 나는 과거에는 어떤상황에서 살았고 지금현재에는 어떠하고 앞으로는 이렇게 살아갈껍니다. 이렇게 일차원적으로 표현하게 됩니다. 그런데 미술활동은 한 장안에 한 장의 그림속에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서 이것이 하나로 다 표현될수 있다는거죠. 자 밑에 그림을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밑에 그림을 보면 자기자신에 과거 현재 미래를 표현 한 것입니다. 한 장의 그림을 통해서 물론 꼴라주를 한 작품인데 이 꼴라주 작업을 통해서 보면 이사람은 과거는 이렇고 미래는 이렇게 예견하고 있구나 종합적으로 볼 수 있는게 미술의 장점입니다 미술을 창조성이 있고 창조적인 에너지가 생성하고 있잖아요 과거에는 힘들었는데 현재에는 여러 가지 노력해서 자유롭게 노력해서 살아갈 수 있습니다. 전공에서 제 1인자가 될 것입니다. 언어적으로 표현하는것을 생동감있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에너지가 많이 생겨서 심리를 안정시킬수 있다. 아동부터 노인까지 모든발달단계 대상으로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집단작업을 통해 협동심, 서로간에 에너지에 대한 조절이라든지 창의력 사고력 부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미술부분
미술체제가 있잖아요 메체의 특성을 파악해햐 한다.
-재료 재료특성, 사용방법
-창작과정
=창작과정을 예리하게 관찰해 과정을 봐야 하고 민감하며, 방해하지 않고 관찰하는 방법을 알아야한다.
-미술작품을 보면 메시지가 무엇인지 봐야 하고 전체적인 이미지를 보고
=형태와 내용 형태적인 면은
어떻게 작업이 이루어 졌는가? 어떤 형식으로 이루어 졌는가? 내용적인 것은 무엇을 그렸나? 내당자를 찾구요 주제가 무엇인가?
=주제내용 (은유와 상징적 표현의 특성이해)
-미술 부분을 이해한다는 것은 미술치료, 창작과정, 미술작품에 대한 지식을 포함
어떤재료를
미술치료의 개념
-영국미술치료사 협회 에서의 정의
=안전하고 촉진적인 환경에서 미술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내담자로 하여금 개인적인 수준에서 변화하고 성장하도록 돕는 것이다. 미술재료를 통해서 미술표현을 한다는 뜻이죠
-Wadeson
=미술치료는 비언어적 (그림을 그리고 만들고 - 내 마음의 것을 표현하는 것) 커뮤니케이션 기법으로 반복시행 함으로써 시각적 이미지 (미술치료에서는 이 이미지가 중요합니다.)가 구체화되고 여기에 언어적 보완 (대화를 나누잖아요) 이 이루어 지면서 지금까지의 자기상실, 왜곡, 방어, 억제 등의 상황에서 벗어나 명확하게 자아인식, 자기실현을 이루게 하는 심리치료이다.
Rubin
-미술활동의 일차적 목적은 치료이며, 미술 치료의 핵심은 미술과 치료 두 부분이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 이야기 한 것 중 미술치료 개념중 핵심적으로 들어가는 것은 미술표현 심리치료
인간의 조형활동을 통해서 개인의 갈등을 조정하고, 자기 표현과 승화 작용을 통하여 자아 성장을 촉진하며, 내적 세계와 외적 세계의 조화를 이루도록 돕는 것
미술치료의 목적 : 미술활동을 통하여 심신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의 심리를 진단하고 치료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게 진단 을 하셔야 된다. 잘못해서 그림의 투사 검사를 할 때 그 부분으로 내담자를 낙인 찍고 평가하는 그래서 그 내담자에게 상처를 주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그래서 일부분은 미술치료를 받고 상처를 받았다는 사람들도 있거든요 심리를 진단하는 경우는요 우리가 항상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어야 하면은요 항상 내담자를 도와준다. 정확하게 알아서 내담자에게 도움을 주는 하나의 수단으로 활용해야 하지 평가하고 낙인찍는것은 매우 위험하다.
미술치료의 입장
-치료를 강조
=Maumburg 정신분석 이론을 많이 공부한분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Art in therapy (치료에서의 미술) 치료장면에서 미술을 하나의 매개체로 활용
=미술심리치료
=치료관계 형성, 자유연상 (자기가 떠오르는 것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그림의 상징성 강조
치료하는 과정에서 미술활동이라는 것을 매개체로 활용하면서 내담자를 마음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쪽으로 초점을 두고 있다.
-미술을 강조
=Kramer
=Art as therapy (치료로서의 미술) 미술활동 자체가 치료가 된다.
=미술과정 자체에 중심
=창조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 , 승화(내가 가지는 인정못받는 것을 인정으로 바꾸는 것)와 자아성장 (내면에 있는 부정적 감정이나 잠재된 공격을 표출하면서 카타르시스를 느끼면서 긍정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야기 한다.)
-통합적 입장
=Ulman 치료와 미술은 동전의 양면이다.
=치료와 창조적인 작품활동이 동시에 강조되어 한다.
미술치료라는 언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한 사람, 1961년에 미국에 미술치료학회가 형성되는데 그때 학회지가 나타나는데 bluthino therapy 미술치료라는 언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했던
미술치료의 장점
미술은 심상의 표현이다. (심상- 내머리속을 스쳐지나가는...
내담자의 방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만약에 언어로 표현하잖아요? 우리가 숨기고 싶은것을 다른사람에게 수용될 수 있는 것을 이런부분을 선택해서 표현하는 것이 있는데 언어적인 부분보다는 심리적으로 편하게 표현할 수 있다. 이런것이 장점이다.
구체적인 유형의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자료의 영속성이 있다.
미술작업을 하면 자료가 남잖아요 이것을 오래도록 보관할 수 있다. 작품을 보관하다가 작품을 다시 돌아볼수 있습니다. 과정에 있어서 변화를 알 수 있습니다. 치료를 받기 전과 받은 후에 아니면 치료과정의 상황을 잘 알 수 있습니다. 훨씬더 많은 관심을 받는 것이 아닌가 나무에 붙어서 있으면 자기에 얽메어져있다는 모습을 잘 보인다. 유리잔이 있는데 유리잔을 통해 자신의 불안감 표현
공간성을 지니고 있다.
창조성이 있으며 에너지를 유발시킨다.
언어상담은 일차원적으로 표현하지만, 가족을 소개해보세요 그러면 어떻습니까? 우리가족은 어머니 아버지 뭐 아들 딸 4인 가족이고요. 아버지는 이렇구요 어머니는 이렇구요 일차원으로 하잖아요.그다음에 자기자신에 과거와 현재 미래에 대해서 설명을 해보세요. 그렇게 하면 나는 과거에는 어떤상황에서 살았고 지금현재에는 어떠하고 앞으로는 이렇게 살아갈껍니다. 이렇게 일차원적으로 표현하게 됩니다. 그런데 미술활동은 한 장안에 한 장의 그림속에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서 이것이 하나로 다 표현될수 있다는거죠. 자 밑에 그림을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밑에 그림을 보면 자기자신에 과거 현재 미래를 표현 한 것입니다. 한 장의 그림을 통해서 물론 꼴라주를 한 작품인데 이 꼴라주 작업을 통해서 보면 이사람은 과거는 이렇고 미래는 이렇게 예견하고 있구나 종합적으로 볼 수 있는게 미술의 장점입니다 미술을 창조성이 있고 창조적인 에너지가 생성하고 있잖아요 과거에는 힘들었는데 현재에는 여러 가지 노력해서 자유롭게 노력해서 살아갈 수 있습니다. 전공에서 제 1인자가 될 것입니다. 언어적으로 표현하는것을 생동감있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에너지가 많이 생겨서 심리를 안정시킬수 있다. 아동부터 노인까지 모든발달단계 대상으로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집단작업을 통해 협동심, 서로간에 에너지에 대한 조절이라든지 창의력 사고력 부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미술부분
미술체제가 있잖아요 메체의 특성을 파악해햐 한다.
-재료 재료특성, 사용방법
-창작과정
=창작과정을 예리하게 관찰해 과정을 봐야 하고 민감하며, 방해하지 않고 관찰하는 방법을 알아야한다.
-미술작품을 보면 메시지가 무엇인지 봐야 하고 전체적인 이미지를 보고
=형태와 내용 형태적인 면은
어떻게 작업이 이루어 졌는가? 어떤 형식으로 이루어 졌는가? 내용적인 것은 무엇을 그렸나? 내당자를 찾구요 주제가 무엇인가?
=주제내용 (은유와 상징적 표현의 특성이해)
-미술 부분을 이해한다는 것은 미술치료, 창작과정, 미술작품에 대한 지식을 포함
어떤재료를
키워드
추천자료
치매환자의 미술치료
아동미술치료
[미술치료][미술][심리치료]미술치료의 개념, 미술치료의 장점, 내용과 과정 및 진단 분석(미...
[미술치료][미술치료프로그램]미술치료의 정의, 미술치료의 구성 요소, 미술치료의 필요성, ...
미술치료의 창조성
HTP심리검사(집 나무 사람 그림검사)의 개념, HTP심리검사(집 나무 사람 그림검사)에 나타난 ...
마음을 읽어주는 미술치료 -미술치료 교양과목 시험 요약정리
미술치료(정의, 역사, 접근이론, 필요성, 장점, 사례, 전망) 보고서
[분석] 미술치료에 대한 총체적 조사분석
지적 장애mentally handicapped 아동의 주의집중과 발달 미술치료 - 지적 장애 아동(지적 장...
[미술치료] 미술치료의 개념과 역사, 미술치료의 실제(미술치료도구, 미술치료사, 미술치료실...
[미술치료의 개념] 미술치료의 개념과 의의 및 장점, 미술치료의 개념적 모형(미술치료모형, ...
[노인미술치료] 노년기 가족관계와 미술치료(노년기 부부관계, 자녀관계, 형제자매 및 사회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