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격파괴의 정의.
유통론적 해석.
경제적 해석.
시사경제용어로서의 해석.
신유통의 정의
신유통업태의 특성
I.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 대상 및 방법
II. 신유통업태에 대한 개별분석
1. 할인점 (DISCOUNT STORE)
(1) 정의
(2) 성장 배경
(3) 업태의 특성
(4) 한국에의 현황
2. 대중양판점(GMS)
(1) 정의
(2) 성장과정
(3) 업태의 특성
(4) 한국에서의 현황 및 가능성
3. 하이퍼마켓(Hypermarket)
(1) 정의
(2) 특성분석
(3) 한국에서의 현황 및 가능성
4) 멤버십 홀세일 클럽 (Membership Wholesale Club)
(1) 개념정의
(2) 업태의 특성
(3)한국에서의 현황 및 가능성
5. 전문 양판점(Special Dicount Store)
(1)개념 정의
(2)업테의 특성
(3)한국에서의 가능성.
6. 편의점(CVS)
(1)개념정의
(2)업태의 특성
(3)한국의 현황
7. 무점포 판매 (통신판매 및 홈 쇼핑)
(1)개념 정의
(2)성장과정
(3)업태 특성
(4)한국에서의 가능성
3. 신유통 업체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
1. 신유통업태의 전체적인 특성
(1) 가격과 서비스 수준간의 상충관계
(2) 대형화와 입지 요인의 상충 관계
(3) 체인화
2. 신유통업태 상호간 비교
4. 결론
[출처]
유통론적 해석.
경제적 해석.
시사경제용어로서의 해석.
신유통의 정의
신유통업태의 특성
I.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 대상 및 방법
II. 신유통업태에 대한 개별분석
1. 할인점 (DISCOUNT STORE)
(1) 정의
(2) 성장 배경
(3) 업태의 특성
(4) 한국에의 현황
2. 대중양판점(GMS)
(1) 정의
(2) 성장과정
(3) 업태의 특성
(4) 한국에서의 현황 및 가능성
3. 하이퍼마켓(Hypermarket)
(1) 정의
(2) 특성분석
(3) 한국에서의 현황 및 가능성
4) 멤버십 홀세일 클럽 (Membership Wholesale Club)
(1) 개념정의
(2) 업태의 특성
(3)한국에서의 현황 및 가능성
5. 전문 양판점(Special Dicount Store)
(1)개념 정의
(2)업테의 특성
(3)한국에서의 가능성.
6. 편의점(CVS)
(1)개념정의
(2)업태의 특성
(3)한국의 현황
7. 무점포 판매 (통신판매 및 홈 쇼핑)
(1)개념 정의
(2)성장과정
(3)업태 특성
(4)한국에서의 가능성
3. 신유통 업체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
1. 신유통업태의 전체적인 특성
(1) 가격과 서비스 수준간의 상충관계
(2) 대형화와 입지 요인의 상충 관계
(3) 체인화
2. 신유통업태 상호간 비교
4. 결론
[출처]
본문내용
고 난후 화면에 시중가와 비교한 가격, 재고량, 주문 연락처등을 방영하는데 , 시청자들이 이를 보고서 전화나 팩스등을 통해서 주문하게 되면 2-3일 내에 집으로 배달되게 된다. 대금 지불은 신용카드나 쇼핑채널 회원카드로 지급할 수도 있고 은행지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홈쇼핑의 효익으로는 쇼핑의 편리성과 저렴한 가격을 들 수있다. 즉, 백화점과 같이 매장에 직접 들르지 않고도 상품을 구매 할 수 있는 데다 사업자가 제조업자와의 직거래를 통해서 물건을 싼 값에 구매할 수 있지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다는 것이다.
한편 홈쇼핑은 소비자들이 실물을 보고 상품을 구매할 수 없는데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서 상품의 구색이 표준품이나 규격품 등으로 한정된다는 단점을 지닌다. 실제로 홈쇼핑이 이루어지고 있는 미국이나 일본이 경우에 있어서는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품이 주종을 이루고 있거나 아예 홈쇼핑이 실패하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홈쇼핑이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보대 구매력 있는 상품의 개발과 아울러 소비자들이 홈쇼핑에서 취급하는 상품의 브랜드만으로도 품질을 신뢰 할 수 있도록 고품질의 상품만을 취급해야만 할 것 이다.
향후 미래에는 통신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단순히 프로그램 제공업자가 제공하는 화면만을 보는 것에서 쌍방향 전달 방식에 의해서 리모콘으로 주문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가능하게 될 것 이며 이에서 더 나아가서는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홈쇼핑 디맨드 까지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3. 신유통 업체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
아래에서는 위에서 개별적으로 살펴보았던 신 유통 업태들을 상호비교를 통하여 좀 더 전체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 이에 대한 전체적인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신유통업태의 전체적인 특성
신 유통 업태는 현대 소매업의 주요한 추세를 반영하고 있다.. 이는 소매업의 양극화 현상인데, 현대의 소매업이 두개의 중한 추세를 가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추세 중 첫번째 추세는 제한된 라인, 엄격하게 관리되고 고도로 집중화된 전문점 체인이 증가 추세이다. 많은 이러한 체인들은 좁은 제품라인, 라인내의 깊은 상품 구색이라는 특징을 갖기 때문에 흔히 파워 소매상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개인적 수준에서의 고객의 서비스 욕구를 충족 시켜준다. 이들은 하이터치 소매상이라고 불려진다.
두 번째의 추세는 매우 거대한 점포의 증가 추세이다. 이들은 종종 창고기술과 매우 낮은 마진으로 어마어마한 양의 상품을 운영하기 위해서 셀프 서비스의 의존한다. 그들의 고객들은 가격에 매우 민감 했기 때문에 그들은 보다 낮은 가격을 위해서 편의성, 상표중성도,상품의 일관성, 개별포장, 공간의 편의성 등을 기꺼이 희생 하였다. 이들은 흔히 하이테크 소매상으로 불려지기도 한다.111) Stern El-Ansary, Marketing 4th Ed prentice hall pp 60-671)
아래에서는 이러한 현대 소매업의 추세와 관련해서 위에서 살펴 보았던 신유동 업태들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들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한다. 다만, 무점포 판매와 편의점은 그 특징에 있어서 다른 업태, 할인점, 대중 양판점, 전문 양판점, 멤버십 홀세일 클럽, 하이퍼 마켓, 등과 큰 차이를 보인다고 판단되어 아래에서는 주로 무점포 판매와 편의점을 제외한 업태들을 중심으로 이들 신유통 업태의 특성을 가격과 서비스 수준 , 대형화 입지적인 특성, 체인화의 세가지 부문으로 나누어서 살펴 보도록 하겠다.
(1) 가격과 서비스 수준간의 상충관계
먼저 가격과 서비스 수준간의 상충 관계라는 측면에서 신유통 업태의 특성을 살펴보자.
신유통 업태의 공통의 특성으로 첫번째, 경제성의 추구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신 유통 업태들의 저가격 지향을 의미한다. 위에서 살펴본 신유통 업태들 중 현재 각광을 받고 있는 할인점이나 하이퍼 마켓, 양판점 등이 모두 저가격 상품을 취급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점차 가격에 민감하게 반을 하고 합리적인 소비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소비자의 욕구를 반영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주로 상품 구색을 중저가 위주로 하는 방법보다는 인건비 , 점포 비용과 운영 비용 등의 절감과 체인화 등을 통한 구매 단가의 인하를 통한 가격 할인의 형태로 이루어 지고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수준에 있어서의 셀프 서비스도 신유통업태에 있어서의 한 가지 특징이다. 신유통 업태들은 대부분 셀프 서비스를 통하여 고객이 직접 매장에서 제품을 구매 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셀프 서비스의 실시는 신유통 업태들의 저가격 주의와도 일맥 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소매점이 가격수준을 상대적을 낮은 가격으로 결정하여 가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할 때에 여러가지 원가 절감 방벙을 사용하게 되는데 , 이때 셀프 서비스를 도입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 93년 출점하기 시작한 이마트의 경우에는 셀프 서비스를 통하여 종업원 수를 백화점의 1/3-1/5 수준으로 감축하여 인건비를 크게 줄이고 이를 통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저가격과 셀프 서비스를 나타나는 신유통 업태의 특징은 소매점의 의사 결정 변수 가운데에서 가격과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수준간의 상충관계에 의해서 설명 할 수 있다.
이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수준간의 상충관계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이는 고객에게 제공 되는 종업원의 안내라든지, 제품의 배달, 외상구매와 같ㅇ느 서비스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고객에게 제공되는 가격의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으로 소매점들은 이 두 가지 결정변수 가운데에서 적절한 수준의 균형을 찾아서 결정을 내려야만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비자들의 교육수준이 높아지고 해외 여행을 통한 경험이 증대 되면서 굳이 판매원의 서비스에 의존할 필요가 없이 스스로의 능력으로 구매 할 수 잇다는 의식이 생기게 되었고, 남의 간섭 없이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쇼핑을 하고 싶다는 욕구가 강해지게 되었다.이는 소비자들이 가격과 서비스에 대한 상충관계에서 가격에 대해서 보다 중요성을 더 부여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결과 미국, 유럽, 일본등에서 주도적이 유통업의 흐름으로 등장하게 된 , 셀프서비스를 이용하여 저가격을 실현하는 신유
이러한 홈쇼핑의 효익으로는 쇼핑의 편리성과 저렴한 가격을 들 수있다. 즉, 백화점과 같이 매장에 직접 들르지 않고도 상품을 구매 할 수 있는 데다 사업자가 제조업자와의 직거래를 통해서 물건을 싼 값에 구매할 수 있지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다는 것이다.
한편 홈쇼핑은 소비자들이 실물을 보고 상품을 구매할 수 없는데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서 상품의 구색이 표준품이나 규격품 등으로 한정된다는 단점을 지닌다. 실제로 홈쇼핑이 이루어지고 있는 미국이나 일본이 경우에 있어서는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품이 주종을 이루고 있거나 아예 홈쇼핑이 실패하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홈쇼핑이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보대 구매력 있는 상품의 개발과 아울러 소비자들이 홈쇼핑에서 취급하는 상품의 브랜드만으로도 품질을 신뢰 할 수 있도록 고품질의 상품만을 취급해야만 할 것 이다.
향후 미래에는 통신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단순히 프로그램 제공업자가 제공하는 화면만을 보는 것에서 쌍방향 전달 방식에 의해서 리모콘으로 주문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가능하게 될 것 이며 이에서 더 나아가서는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홈쇼핑 디맨드 까지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3. 신유통 업체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
아래에서는 위에서 개별적으로 살펴보았던 신 유통 업태들을 상호비교를 통하여 좀 더 전체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 이에 대한 전체적인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신유통업태의 전체적인 특성
신 유통 업태는 현대 소매업의 주요한 추세를 반영하고 있다.. 이는 소매업의 양극화 현상인데, 현대의 소매업이 두개의 중한 추세를 가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추세 중 첫번째 추세는 제한된 라인, 엄격하게 관리되고 고도로 집중화된 전문점 체인이 증가 추세이다. 많은 이러한 체인들은 좁은 제품라인, 라인내의 깊은 상품 구색이라는 특징을 갖기 때문에 흔히 파워 소매상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개인적 수준에서의 고객의 서비스 욕구를 충족 시켜준다. 이들은 하이터치 소매상이라고 불려진다.
두 번째의 추세는 매우 거대한 점포의 증가 추세이다. 이들은 종종 창고기술과 매우 낮은 마진으로 어마어마한 양의 상품을 운영하기 위해서 셀프 서비스의 의존한다. 그들의 고객들은 가격에 매우 민감 했기 때문에 그들은 보다 낮은 가격을 위해서 편의성, 상표중성도,상품의 일관성, 개별포장, 공간의 편의성 등을 기꺼이 희생 하였다. 이들은 흔히 하이테크 소매상으로 불려지기도 한다.111) Stern El-Ansary, Marketing 4th Ed prentice hall pp 60-671)
아래에서는 이러한 현대 소매업의 추세와 관련해서 위에서 살펴 보았던 신유동 업태들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들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한다. 다만, 무점포 판매와 편의점은 그 특징에 있어서 다른 업태, 할인점, 대중 양판점, 전문 양판점, 멤버십 홀세일 클럽, 하이퍼 마켓, 등과 큰 차이를 보인다고 판단되어 아래에서는 주로 무점포 판매와 편의점을 제외한 업태들을 중심으로 이들 신유통 업태의 특성을 가격과 서비스 수준 , 대형화 입지적인 특성, 체인화의 세가지 부문으로 나누어서 살펴 보도록 하겠다.
(1) 가격과 서비스 수준간의 상충관계
먼저 가격과 서비스 수준간의 상충 관계라는 측면에서 신유통 업태의 특성을 살펴보자.
신유통 업태의 공통의 특성으로 첫번째, 경제성의 추구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신 유통 업태들의 저가격 지향을 의미한다. 위에서 살펴본 신유통 업태들 중 현재 각광을 받고 있는 할인점이나 하이퍼 마켓, 양판점 등이 모두 저가격 상품을 취급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점차 가격에 민감하게 반을 하고 합리적인 소비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소비자의 욕구를 반영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주로 상품 구색을 중저가 위주로 하는 방법보다는 인건비 , 점포 비용과 운영 비용 등의 절감과 체인화 등을 통한 구매 단가의 인하를 통한 가격 할인의 형태로 이루어 지고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수준에 있어서의 셀프 서비스도 신유통업태에 있어서의 한 가지 특징이다. 신유통 업태들은 대부분 셀프 서비스를 통하여 고객이 직접 매장에서 제품을 구매 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셀프 서비스의 실시는 신유통 업태들의 저가격 주의와도 일맥 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소매점이 가격수준을 상대적을 낮은 가격으로 결정하여 가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할 때에 여러가지 원가 절감 방벙을 사용하게 되는데 , 이때 셀프 서비스를 도입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 93년 출점하기 시작한 이마트의 경우에는 셀프 서비스를 통하여 종업원 수를 백화점의 1/3-1/5 수준으로 감축하여 인건비를 크게 줄이고 이를 통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저가격과 셀프 서비스를 나타나는 신유통 업태의 특징은 소매점의 의사 결정 변수 가운데에서 가격과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수준간의 상충관계에 의해서 설명 할 수 있다.
이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수준간의 상충관계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이는 고객에게 제공 되는 종업원의 안내라든지, 제품의 배달, 외상구매와 같ㅇ느 서비스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고객에게 제공되는 가격의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으로 소매점들은 이 두 가지 결정변수 가운데에서 적절한 수준의 균형을 찾아서 결정을 내려야만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비자들의 교육수준이 높아지고 해외 여행을 통한 경험이 증대 되면서 굳이 판매원의 서비스에 의존할 필요가 없이 스스로의 능력으로 구매 할 수 잇다는 의식이 생기게 되었고, 남의 간섭 없이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쇼핑을 하고 싶다는 욕구가 강해지게 되었다.이는 소비자들이 가격과 서비스에 대한 상충관계에서 가격에 대해서 보다 중요성을 더 부여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결과 미국, 유럽, 일본등에서 주도적이 유통업의 흐름으로 등장하게 된 , 셀프서비스를 이용하여 저가격을 실현하는 신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