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학] 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케이스 스터디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간호학] 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서론
 1.연구의 필요성
 2.문헌고찰

II.본론
 1.자료수집
  1)일반정보
  2)환자소개
  3)현병력
  4)과거병력
  5)성장 발달 중 특기사항
  6)가족력
  7)신체검진
  8)정신적 상태
  9)임상 병리검사
  10)임상심리 검사
  11)의사의 치료계획
 2.간호문제
 3.간호진단
 4.간호과정

III.결론
 1.총평가
 2.소감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는지 확인한다.
*경험에 대한 설명과 상황적 사실을 구별한다.
-실제적 상황에 관한 잘못된 믿음을 확인한다.
-현실 검증 능력을 증진 시킨다.
-환자가 환각 상태에 있는지 확인한다.
*환자가 준비가 되어 있을 때, 망상의 결과에 관하여 토론한다.
-망상의 강도가 줄어들었을 때, 망상에 관하여 토론한다.
-망상의 결과에 대하여 토론한다.
-환자에게 자신의 행동, 일상행동, 그리고 결정에 대해서 책임을 갖도록 허용한다.
-환자의 건강과 회복에 대하여 환자 자신이 책임감을 갖고 참여하도록 격려한다.
*망상에서 벗어나도록 현실에 주의력을 두도록 이끈다.
-환자가 건설적으로 시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줄 활동들을 증진 시킨다.
-성격 중 건강하고 긍정적인 면들을 인식시키고 강화한다.
-정확하고, 일관성있게 간호를 수행
(5)환각에 대한 간호중재
환각에 대한 중재
*신뢰할 수 있는 인간적인 관계를 확립한다.
-간호사가 불안해하거나 무서워하는 경우, 환자도 불안해하거나 무서워한다.
-인내, 수용, 적극적인 경청의 기술을 사용한다.
*환각의 증상을 사정할 때 환각의 지속시간, 환각의 강도 및 환각의 빈도를 함께 사정한다.
-환각이 있다는 것을 알 수 DltRP 하는 대상자의 행동적 단서들을 관찰한다.
-환자가 매일 경험하는 환각의 빈도를 기록하도록 돕는다.
*증상에 초점을 두고 환자에게 일어나고 있는 일을 묘사하도록 요청한다.
-환자가 환각에 대한 통제력을 찾도록 돕고, 도움이 되는 기분전환 꺼리를 찾음으로써, 환각의 강도를 최소화 한다.
*마약이나 알코올을 사용해왔는지 확인한다.
-환자가 알코올이나 마약을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이들이 환각을 일으키는 원인인지 혹은 환각을 악화시키는지 확인한다.
*대상자로부터 환각에 관한 질문을 받을 경우, 같은 자극을 경험하지 않는다고 간단히 말한다.
-주변에서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을 환자가 지각하도록 반응한다.
-지각의 차이에 대해서 환자와 논쟁하지 않는다.
-환각이 있는 환자는 혼자 내버려두지 않는다.
*증상관리 기법으로써, 대인관계의 활용을 제안하고 이를 강화한다.
-환자에게 지지적이고 교정적인 피드백을 주는 신뢰하는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도록 격려한다.
-환자가 사회적 지지를 활용하도록 도와준다.
*환자가 현재와 과거의 환각을 묘사하고 비교하도록 돕는다.
-환자의 환각 양상 유무를 확인한다.
-환자에게 처음 환각이 시작되었을 때를 기억하도록 격려한다.
-환각의 내용에 주의를 기울인다. 이는 행동응 예측할 수 있는 단서들을 제공한다.
-환자에게 어떤 특정행위를 강요하는 지시적인 환각이 있는지를 탐색한다.
-환자에게 환각과 관련된 과거와 현재의 생각, 느낌, 행동들을 묘사하도록 격려한다.
*환각의 내용에 반영되어 있을 욕구들을 환자가 확인하도록 돕는다.
-환각을 유발시키는 욕구들을 확인한다.
-환자의 충족되지 않은 욕구에 초점을 두고, 그것과 환각 간의 관계를 논의 한다.
*환자의 증상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환자의 일반적인 대처반응과 일상적 활동에 관하여 피드백을 제공한다.
-환자가 자신의 증상, 증상 유발요인, 그리고 증상관리 전략을 인식 할 수 있도록 돕는다.
-간호수행 목표는 환자가 자신의 증상을 잘 자각 하도록 해서, 정신병적 세계와 현실세계 사이를 구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6)자가간호증진
-환자에게 자가 간호를 직접어법으로 요구하되, 단순하고 명료하게 지시히는 편이 좋다.
-서둘르거나 재촉하지 않는다.
-환자가 가능한 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격려해야 한다.
-신체적, 정신적 안녕을 위해서는 적절한 영양 및 수분 섭취가 칠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간호사는 환자의 섭취양상과 기호를 사정하여 영양관련 문제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있다면 이를 보완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중재한다.
-식사에 필요한 시간을 견디지 못하는 주의집중력이 짧은 대상자라면 낮시간에 영양가 놓은 질 좋은 간식을 먹게 하는 것이 보완 방법이 될 수 있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수면양상을 사정, 대상자에게 건강한 수면위생의 원리를 가르치는 것이 대상자의 휴식과 수면양상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7)대상자와 가족 교육
-대상자와 가족에게 예방이나 관리에 대해서 교육한다.
-정신분열병의 조기 재발징후를 파악하는 방법과 신체적, 정신적 안위를 위한 건강행위를 가르친다.
-가족들을 안심시키고 이들에게 지속적인 지지와 교육을 실시한다.
(8)치료적 중재
-일차적인 의학적 치료는 항정신병 약물이다
-약은 병을 완치 시키는 것이라기보다는 병의 증상을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
-초기 항 정신병 약물은 도파민 차단제
-개인치료와 집단치료, 행동치료, 가족교육과 가족치료, 인지강화치료
-인지강화치료는 집단치료와 컴퓨터기반 인지훈련을 결합한 치료방법으로, 이를 통해 대상자는 사회적 기술을 훈련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
①항정신병 약물 선택
-항정신병 약물 : Cholopromazine, Haloperidol, Risperidone, Olanzapine
-기분안정제 : Lithium, Carbamazepine
-항우울제 : Imipramine, Amitripthline, Fluoxetine, Trazodone
-항불안 약물 : Diazepam, Lorazepam, Alprazolam
-항파킨슨 약물 : Benztropine
-수면제 : Triazolam, Zolpidem
②용량 및 용법
-가능한 최소용량을 투여하며 급성기 환자는 만성 환자보다 더 많은 용량이 필요하다,
II.본론
1.자료수집
1)일반정보
ㆍ환자명 : 박 oo ㆍ입원일 : 2008.6.13
ㆍ연령 : 61세 ㆍ성 : F
ㆍ정보제공자 : self-talking, 아들
ㆍ주증상 : 금일 oo병원에서 금나라를 만들어야 된다고 하시고,조만간 나라를 만들어 갈거라고 하시고, 아들을 주상이라고 일컬으심, 망상증상이 심하심.
2)환자소개
ㆍ출생지 : 경상남도 ㆍ직업 : 현재 없으심
과거 봉제공장
ㆍ교육정도 : 無 ㆍ경제상태 : 상 중 하O
ㆍ결혼형태 : 기혼 ㆍ자녀수와 연령 : 아들2명(첫째아들 : 71년생
둘째아들 : 72년생)
ㆍ종교 : 無
ㆍ가정환경 : 혼자사심, 가족과 안본지 23년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2.05.18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73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