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실험이론 및 원칙
(1) 실험이론
1. 탄수화물
2. 탄수화물 정성실험
3. 배당결합
4. Positive control & Negative control
(2) 실험목적
Ⅱ. 실험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1. 시료
2. 시약
3. 그 외
(2) 실험방법
Ⅲ. 실험결과
Ⅳ. 고찰 및 결론
Ⅴ. 참고문헌
(1) 실험이론
1. 탄수화물
2. 탄수화물 정성실험
3. 배당결합
4. Positive control & Negative control
(2) 실험목적
Ⅱ. 실험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1. 시료
2. 시약
3. 그 외
(2) 실험방법
Ⅲ. 실험결과
Ⅳ. 고찰 및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군 인 포도당이 들어있더라도 모두 Benedict 색깔 반응을 나타낸다. 하지만 가열을 하여 화 학 반응에 의해 포도당이 있을 경우 황적색으로 변하게 되었다.
실험의 결과를 정확하게 알기 위해서는 대조군이 꼭 필요하다. 정성실험에서는 대조군 (control group)을 적절하게 설정하고 확립하여야 실험군(expreimental group)에 대하여 올바른 결론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Benedict 용액을 가열하는 이유는 반응속도를 증가시키고 반응물의 활성상태를 증가시 키기 위해서이다.
알데히드(-CHO) or 케톤(-CO-)기를 갖고 환원성을 나타내는 당을 환원당이라고 한다. 포도당 · 과당 · 엿당 · 글리세르알데하이드 · 아라비노스 등이 여기에 속한다.
환원당의 색깔과 침전물의 양의 차이는 각각의 환원당의 환원력의 차이에 의해 생긴다.
sucrose의 -CHO기가 과당과 결합하여 sucrose은 환원성을 띄지 않는다.
[Lactose가 베네딕트 반응을 하는 이유]
[Sucrose가 베네딕트 반응을 하지 않는 이유]
즉, sucrose은 1,2-α,β결합으로 환원작용을 나타내는 알데히드기(-CHO)가 존재하지 않 기 때문에 베네딕트 용액에서 반응을 보이지 않아 색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환원당은 베네딕트용액속의 Cu2+를 환원시킬 수 없기 때문에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tube를 제대로 흔들지 않고 가열하여 색을 정확하게 관찰할 수 없었다.
starch는 물에 잘 녹지 않는다.
이당류는 1-4 α결합과 1-4 β결합을 한다.
베네딕트 용액에 염색되는 당과 그렇지 않은 당의 화학적 구조의 차이
환원당이란, 펠링용액을 환원하여 이산화구리를 만드는 당을 말한다. 포도당, 과당, 말토 오스, 등이 포함되며, 설탕을 제외한 단당류, 이당류는 모두 환원당이다. 즉 알데히드기나 케톤기를 가지고 있는 당류로서 펠링 용액을 환원시킨다고 해서 환원당이라고 하고 그렇 지 않은 당을 비환원당이라고 한다.
화학적 구조의 차이는 환원당에는 1번 탄소에 알데히드기(CHO)가 있고, 비환원당에는 1 번 탄소에 케톤기(-CO)가 존재한다.
Ⅴ. 참고문헌
Naver.com 백과사전
화학교재편찬연구회, 일반화학, 녹문당, p1039~1042
http://100.naver.com/100.nhn?docid=703310
Sylvia S.Mader, 2007.3.5, 필수생명과학, 지코사이언스, p33
실험의 결과를 정확하게 알기 위해서는 대조군이 꼭 필요하다. 정성실험에서는 대조군 (control group)을 적절하게 설정하고 확립하여야 실험군(expreimental group)에 대하여 올바른 결론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Benedict 용액을 가열하는 이유는 반응속도를 증가시키고 반응물의 활성상태를 증가시 키기 위해서이다.
알데히드(-CHO) or 케톤(-CO-)기를 갖고 환원성을 나타내는 당을 환원당이라고 한다. 포도당 · 과당 · 엿당 · 글리세르알데하이드 · 아라비노스 등이 여기에 속한다.
환원당의 색깔과 침전물의 양의 차이는 각각의 환원당의 환원력의 차이에 의해 생긴다.
sucrose의 -CHO기가 과당과 결합하여 sucrose은 환원성을 띄지 않는다.
[Lactose가 베네딕트 반응을 하는 이유]
[Sucrose가 베네딕트 반응을 하지 않는 이유]
즉, sucrose은 1,2-α,β결합으로 환원작용을 나타내는 알데히드기(-CHO)가 존재하지 않 기 때문에 베네딕트 용액에서 반응을 보이지 않아 색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환원당은 베네딕트용액속의 Cu2+를 환원시킬 수 없기 때문에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tube를 제대로 흔들지 않고 가열하여 색을 정확하게 관찰할 수 없었다.
starch는 물에 잘 녹지 않는다.
이당류는 1-4 α결합과 1-4 β결합을 한다.
베네딕트 용액에 염색되는 당과 그렇지 않은 당의 화학적 구조의 차이
환원당이란, 펠링용액을 환원하여 이산화구리를 만드는 당을 말한다. 포도당, 과당, 말토 오스, 등이 포함되며, 설탕을 제외한 단당류, 이당류는 모두 환원당이다. 즉 알데히드기나 케톤기를 가지고 있는 당류로서 펠링 용액을 환원시킨다고 해서 환원당이라고 하고 그렇 지 않은 당을 비환원당이라고 한다.
화학적 구조의 차이는 환원당에는 1번 탄소에 알데히드기(CHO)가 있고, 비환원당에는 1 번 탄소에 케톤기(-CO)가 존재한다.
Ⅴ. 참고문헌
Naver.com 백과사전
화학교재편찬연구회, 일반화학, 녹문당, p1039~1042
http://100.naver.com/100.nhn?docid=703310
Sylvia S.Mader, 2007.3.5, 필수생명과학, 지코사이언스, p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