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결의취소의 소의 의의
2. 취소의 원인
3. 제소권자
4. 소의 절차
5. 판결의 효력
2. 취소의 원인
3. 제소권자
4. 소의 절차
5. 판결의 효력
본문내용
상법에 의하면 총회의 결의를 유효요건으로 하지 않는 행위는 정관으로 총회의 결의사항으로 한 경우라도 결의취소에 의하여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주주총회의 결의를 그 효력의 발생요건으로 하는 이사의 선임, 영업양도, 정관변경 및 자본감소 등을 위한 결의는 그 취소에 의하여 장래에 대하여 뿐만 아니라 소급하여 무효가 된다고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상법총론<영업양도>
우리나라 은행 합병의 효과와 시사점
주주총회 결의의 하자와 관한 연구
주식매수청구권
위법배당의 효과
소송상 화해의 요건, 시기와 방식
기업공개시 주요절차 검토
[배당][배당결정][배당정책][액면배당][시가배당][주식배당]배당의 중요성, 배당결정에 영향...
기업의 영업양도와 관련된 전반 사항 법적 검토
정관개정을 통한 적대적 M&A 방어전략
상법상 주식회사의 준비금
[기업구조조정]기업구조조정과 회사분할, CRC(기업구조조정전문회사), 기업구조조정과 CRV(기...
정관(국영문)
[2017 3 23 선고 2016다251215 판결]을 목차에 따라 서술하여 제출하시오 (30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