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본문내용
행복감은 이전의 우리 경험에 달려있다.
①사람은 자신의 이전 경험들과 비교해서 현재의 모든 것을 상대적으로경험한다.
-가상적 중립점, 적응수준(adaptation level), 비교수준(comparison lavel:CL)
②좋은것이든 나쁜 것이든 간에 전에 비해서 달라진 것이 있느냐 없느냐가 중요하다.
-수입, 집, tv와 같은 물질적 소유에 있어서 이전 수준과의 비교가 만족을 결정한다.
-쾌락적 쳇바퀴에 빠지게 된다.
*변화된 수준에 곧 적응한다
*지속적으로 부와 성공을 추구하나 쾌감은 지속되지 않고 오히려 감소한다.
-적응의 부작용으로 일단 소유한 것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기득효과가 나타난다.
*우리는 좋은 집에 살고 있으면 과거에 좋은 집이 없어도 잘 살아왔다는 사실을 잊고 지금은 좋은 집이 없으면 정말 살기 힘들 것으로 생각한다.
③긍정적 감정의 상승과 하강 그리고 쾌의 대가와 고통에 따른 보상은 규칙이다.
솔로몬의 대립과정 이론 “한 가지 감정은 그 감정과 반대되는 또 하나의 감정을 일으킨다.”
*고통을 받는 사람에게도 보상을 경험할 것이라는 점을 알려준다.
-심한 외상적인 경험에는 반드시 적용되지는 않을 수가 있다.: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④우리는 새로운 환경에 쉽게 적응하기 때문에 행복감은 그날그날 일어나는 작은 사건들에 달려있다:현재를 음미하기 (savoring)
◈사회적 비교: 나의 행복이 다른 사람의 성취에 달려있다.
①행복은 과거 경험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험에도 달려있다.
-사람이 원하는 포부수준은 어느정도는 사회적으로 결정된다.
-만족과 불만족은 비교 대상에 달려있는데 부유한 환경에서 사는 사람의 비교 기준은 높으므로 부자도 스스로 부자라고 느끼는 경우가 적다.
-행복은 사회적 비교에 달려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비교에는 용모, 지성 및 다른 성공지표에도 적용된다.
②성공의 사다리에 올라가면 상향비교(upward comparison)가 두드러지고, 하향비교(downward comparison)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
-뛰는 놈 위에 나는 놈있다.
러셀:나폴레옹, 시저, 알렉산더, 헤라클레스의 비유
-가진사람이 죽는소리를 더 한다.
-광고는 상향비교 심리를 이용하고 있다.
③어려운 상황에서 하향비교가 도움이 된다.
-천재지변이 일어나서 재난을 당했을 때
-불안이나 우울증에 걸렸을 때
-학생이 시험을 잘 못 봤다고 걱정할 때
-여성이 유방암으로 유방절제수술을 받았을 때.
④하향비교는 남의 실패를 고소하게 여기는 부작용을 초래하기도 한다.
-“내가 성공하는 것만으로는 안된다. 남이 실패해야한다.”
⑤적응과 사회적 비교에 비추어 생활 수준의 하향 적응은 행복을 되찾을수 있게 한다.
-생활수준을 낮추어도 불편감에 적응하여 새로운 기쁨과 슬픔을 경험한다.
-상향 또는 하향 적응과 무관하게 행복감은 높은 탄력성을 가진다.
-신체의 장애의 경우에도 현재의 불편에 곧 적응을 하고 자신보다 더 불편한 경우를 동장할 있다.
◈기대하기와 비교하기
①행복은 소유보다는 소유에 대한 우리의 생각에 달려있다.
-수입을 늘이는 것은 곧 쾌락적 적응에 빠지게 된다. 따라서 진정한 부자가 되는길은 욕심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②과거의 행복했던 기억만을 반추하는 것은 현재의 행복에 별 도움이 되지않는다.
-불행한 시절을 회상하도록 요구 받은 사람이 행복한 시절을 회상하도록 요구받은 사람보다 현재의 생활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과거의 기쁨은 현재 일상생활의 작은 기쁨을 둔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현재 상태의 악화 가능성과 편안한 생활과 대조를 해보는 것은 유익하다.
-병원에 입원해 본 환자는 퇴원 후에 더 행복감을 느낀다.
-입맛이 없을 경우에는 스스로 굶주려 본다:“시장이 반찬이다.”
③우리는 비교 대상을 의도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누구와 비교하느냐?”
-환자를 병문안하고, 유가족을 달래고, 실패한 사람의 우울한 얼굴을 보고, 심지어는 남이 겪은 불행을 상상해 보는 것도 자신의 삶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위스콘신(밀워키)대학교 연구
-여대생을 대상으로 빈곤을 상상하는 연습을 시킨 경우 지금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다.
뉴욕 주립대학교(버팔로)연구
-현재의 축복을 생각한 후에는 현재 생활의 만족도가 높아지지만. 이루지 못한 꿈을 생각한 후에는 현재 생활에 불만족을 느낀다.
④행복을 위해서는 삶에 대한 현실적인 목표를 세워야 한다.
-우리는 목표를 세울 때 너무 거창한 비현실적 목표를 세우지 말아야 한다.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큰 법이다.
학습정리
-부유한 것이 우리의 행복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아니다.
-인구 통계학적인 변인이 전반적으로 행복에 미치는 효과는 미약하다.
-국가 간의 행복수준의 차이는 GDP수준에 달려있지 않다.
-쾌락적 적응이 삶의 외적 조건의 변화에 의한 행복감을 감소시킨다.
-우리의 행복은 상향비교를 하느냐 또는 하향비교를 하느냐에 달려있다.
-현실적인 삶의 목표가 행복에 중요하다.
5장
학습목표
1.행복과 특성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행복과 자기존중감 및 개인적 통제감의 관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행복과 낙관성 및 외향성의 관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학습내용
1.행복과 특성
2.자기 존중감과 행복
3.개인적 통제감과 행복
4.낙관주의와 행복
5.외향성과 행복
6.우리는 얼마나 변할 수 있는가?
◈행복과 비참함은 부유함 못지않게 특성에 달려있다.
①지금 여러분이 마음속으로 생각하기에 행복하거나 또는 생활에 만족하는 사람은 어떤 사람입니까?
-어떤 단서를 사용할 것입니까?
*미래의 행동을 가장 잘 예언해주는 것은 바로 과거의 비슷한 상황에서의 행동이다.
*행복을 짐작하는 가장 좋은 단서는 과거에 그 사람이 얼마나 행복했었는지 또는 삶에 만족하였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②장기간의 추적 연구에 따르면 행복은 개인의 지속적 특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어린 시절에 행복하였던 사람들이 성인기에도 행복하다.
-불행한 사건들이라도 앞으로 다가올 개인의 행복을 제거하지 못한다.
<물음>
-곤경에 처해 있으면서도 긍정적으로 사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인가?
-왜 어떤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감정의 균형점이 긍정적인
①사람은 자신의 이전 경험들과 비교해서 현재의 모든 것을 상대적으로경험한다.
-가상적 중립점, 적응수준(adaptation level), 비교수준(comparison lavel:CL)
②좋은것이든 나쁜 것이든 간에 전에 비해서 달라진 것이 있느냐 없느냐가 중요하다.
-수입, 집, tv와 같은 물질적 소유에 있어서 이전 수준과의 비교가 만족을 결정한다.
-쾌락적 쳇바퀴에 빠지게 된다.
*변화된 수준에 곧 적응한다
*지속적으로 부와 성공을 추구하나 쾌감은 지속되지 않고 오히려 감소한다.
-적응의 부작용으로 일단 소유한 것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기득효과가 나타난다.
*우리는 좋은 집에 살고 있으면 과거에 좋은 집이 없어도 잘 살아왔다는 사실을 잊고 지금은 좋은 집이 없으면 정말 살기 힘들 것으로 생각한다.
③긍정적 감정의 상승과 하강 그리고 쾌의 대가와 고통에 따른 보상은 규칙이다.
솔로몬의 대립과정 이론 “한 가지 감정은 그 감정과 반대되는 또 하나의 감정을 일으킨다.”
*고통을 받는 사람에게도 보상을 경험할 것이라는 점을 알려준다.
-심한 외상적인 경험에는 반드시 적용되지는 않을 수가 있다.: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④우리는 새로운 환경에 쉽게 적응하기 때문에 행복감은 그날그날 일어나는 작은 사건들에 달려있다:현재를 음미하기 (savoring)
◈사회적 비교: 나의 행복이 다른 사람의 성취에 달려있다.
①행복은 과거 경험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험에도 달려있다.
-사람이 원하는 포부수준은 어느정도는 사회적으로 결정된다.
-만족과 불만족은 비교 대상에 달려있는데 부유한 환경에서 사는 사람의 비교 기준은 높으므로 부자도 스스로 부자라고 느끼는 경우가 적다.
-행복은 사회적 비교에 달려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비교에는 용모, 지성 및 다른 성공지표에도 적용된다.
②성공의 사다리에 올라가면 상향비교(upward comparison)가 두드러지고, 하향비교(downward comparison)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
-뛰는 놈 위에 나는 놈있다.
러셀:나폴레옹, 시저, 알렉산더, 헤라클레스의 비유
-가진사람이 죽는소리를 더 한다.
-광고는 상향비교 심리를 이용하고 있다.
③어려운 상황에서 하향비교가 도움이 된다.
-천재지변이 일어나서 재난을 당했을 때
-불안이나 우울증에 걸렸을 때
-학생이 시험을 잘 못 봤다고 걱정할 때
-여성이 유방암으로 유방절제수술을 받았을 때.
④하향비교는 남의 실패를 고소하게 여기는 부작용을 초래하기도 한다.
-“내가 성공하는 것만으로는 안된다. 남이 실패해야한다.”
⑤적응과 사회적 비교에 비추어 생활 수준의 하향 적응은 행복을 되찾을수 있게 한다.
-생활수준을 낮추어도 불편감에 적응하여 새로운 기쁨과 슬픔을 경험한다.
-상향 또는 하향 적응과 무관하게 행복감은 높은 탄력성을 가진다.
-신체의 장애의 경우에도 현재의 불편에 곧 적응을 하고 자신보다 더 불편한 경우를 동장할 있다.
◈기대하기와 비교하기
①행복은 소유보다는 소유에 대한 우리의 생각에 달려있다.
-수입을 늘이는 것은 곧 쾌락적 적응에 빠지게 된다. 따라서 진정한 부자가 되는길은 욕심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②과거의 행복했던 기억만을 반추하는 것은 현재의 행복에 별 도움이 되지않는다.
-불행한 시절을 회상하도록 요구 받은 사람이 행복한 시절을 회상하도록 요구받은 사람보다 현재의 생활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과거의 기쁨은 현재 일상생활의 작은 기쁨을 둔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현재 상태의 악화 가능성과 편안한 생활과 대조를 해보는 것은 유익하다.
-병원에 입원해 본 환자는 퇴원 후에 더 행복감을 느낀다.
-입맛이 없을 경우에는 스스로 굶주려 본다:“시장이 반찬이다.”
③우리는 비교 대상을 의도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누구와 비교하느냐?”
-환자를 병문안하고, 유가족을 달래고, 실패한 사람의 우울한 얼굴을 보고, 심지어는 남이 겪은 불행을 상상해 보는 것도 자신의 삶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위스콘신(밀워키)대학교 연구
-여대생을 대상으로 빈곤을 상상하는 연습을 시킨 경우 지금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다.
뉴욕 주립대학교(버팔로)연구
-현재의 축복을 생각한 후에는 현재 생활의 만족도가 높아지지만. 이루지 못한 꿈을 생각한 후에는 현재 생활에 불만족을 느낀다.
④행복을 위해서는 삶에 대한 현실적인 목표를 세워야 한다.
-우리는 목표를 세울 때 너무 거창한 비현실적 목표를 세우지 말아야 한다.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큰 법이다.
학습정리
-부유한 것이 우리의 행복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아니다.
-인구 통계학적인 변인이 전반적으로 행복에 미치는 효과는 미약하다.
-국가 간의 행복수준의 차이는 GDP수준에 달려있지 않다.
-쾌락적 적응이 삶의 외적 조건의 변화에 의한 행복감을 감소시킨다.
-우리의 행복은 상향비교를 하느냐 또는 하향비교를 하느냐에 달려있다.
-현실적인 삶의 목표가 행복에 중요하다.
5장
학습목표
1.행복과 특성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행복과 자기존중감 및 개인적 통제감의 관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행복과 낙관성 및 외향성의 관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학습내용
1.행복과 특성
2.자기 존중감과 행복
3.개인적 통제감과 행복
4.낙관주의와 행복
5.외향성과 행복
6.우리는 얼마나 변할 수 있는가?
◈행복과 비참함은 부유함 못지않게 특성에 달려있다.
①지금 여러분이 마음속으로 생각하기에 행복하거나 또는 생활에 만족하는 사람은 어떤 사람입니까?
-어떤 단서를 사용할 것입니까?
*미래의 행동을 가장 잘 예언해주는 것은 바로 과거의 비슷한 상황에서의 행동이다.
*행복을 짐작하는 가장 좋은 단서는 과거에 그 사람이 얼마나 행복했었는지 또는 삶에 만족하였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②장기간의 추적 연구에 따르면 행복은 개인의 지속적 특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어린 시절에 행복하였던 사람들이 성인기에도 행복하다.
-불행한 사건들이라도 앞으로 다가올 개인의 행복을 제거하지 못한다.
<물음>
-곤경에 처해 있으면서도 긍정적으로 사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인가?
-왜 어떤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감정의 균형점이 긍정적인
키워드
추천자료
키덜트 문화에 대한 고찰
애들러의 개인심리학
Thorndike와 Skiner의 행동주의와 Bandura의 사회인지이론
도덕성 발달에 대한 심리학적 제 이론
우울증에 대한 이상심리학 리포트
[심리학개론] 아들러의 개인주의 심리학
[교육학, 교육심리학] 교육심리학 핵심정리 노트
[아들러이론]아들러 개인심리학의 사상, 아들러 개인심리학의 중요이론과 아들러 개인심리학...
[수학교육]손다이크의 산술지도
재미있게 말하는 사람들의 행복한 대화법을 읽고 요약정리 및 감상문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이상심리학 - 이상행동과 정신장애 PPT자료
실험 심리학의 진실 -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Opening Skinner`s Box)』를 읽고 _ 로렌 슬...
[개인심리이론]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정신역동이론] 프로이드(Freud)의 정신분석이론, 융(Jung)의 분석심리학, 아들러(Adler)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