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요약정리 통증 제5의 활력징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요약정리 통증 제5의 활력징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본문내용

급성 단기간 통증에 사용된다.
작용시간이 짧다.
만성적인 암성 통증에는 권장(X)
경피적 투여(Transdermal)
비침습적이며 사용하기 편리하다.
속효성 진정제 보충이 필요하다.
비용이많이 들고 용량조절이 어렵다.
열이 있으면 빨리 흡수 된다.
OTFC(Oral Transmucosal
Fentanyl Citrate)
생체 내 이용효율이 좋고 효과가 빠르다.
속효성이며 반감기가 짧다.
도포(Topical)
사용하기 편리하다.
전신에 영향을 줄 만큼 흡수 되지 않는다.
피부반응을 야기 할 수 있다.
Capsaicin은 초기에 화끈거릴 수있다.
설하(Sublingual)
정맥주입로가 없는 대상자에게 적합하다.
흡수 되지 않을 수 있다.
비강내(Intranasal)
투여가 편리하다.
외래환자에게 적합하다.
피하(Subcutaneous)
PCA로 계속적 주입할 때 유용하다.
정맥주입보다 저렴하다.
가정에서 쉽게 관리할 수 있다.
덕 아프고, 혈액 수준을 유지한다.
장기적으로 투여가능하다.
효과가 느리다.
이동식 주입 펌프가 필요하다.
정맥(Intravenous)
계속적인 주입을 할 때 가능하다.
효과가 빠르다.
혈액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한다.
경보장치가 있는 주입펌프가
필요하다.
환자 자가조절진통(PCA)
약물을 조절 할 수 있다.
펌프가 필요하다.
급성통증에 유의하다.
대상자 교육이 필요하다.
척수(경막외)와 척수
내투여
수술 후 통증이나 만성 통증에 유용하다.
시술이 비싸고 위험 할 수 있다.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혈종과 감염, 뇌막염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3) 보조 진통제 Adjuvant analgesics
- 만성 통증이나 복합적인 통증 증후군이 있을 때 보조 진통제의 사용을 고려한다.
- 항경련제 : 통증이 심한 당뇨병 관련 신경병증과 페르페스 감염 후 신경통 치료에 효과적이다.
- 삼환계 항우울제 : 만성 신경병증성 통증 조절에 도움이 된다.
- 항불안제 : 대상자를 이완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을 주지만 혼돈, 졸음과 저혈압을 초래 할 수 있다.
- 국소마취제 : 말초신경과 중추신경계 뉴런의 전기적인 활동을 억제함으로서 통증을 완화시킨다.
- 도포(topical medication) : 국소화된 신경병증성 통증에 유용할 수 있다.
4) 비약물요법
- 통증을 조정하는 데 효과적인 비약물적 통증 관리 법이 많이 있다.
(1) 물리요법 Physical measures
- 약물치료 대신에 사용하거나 약물 치료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① 물리치료 Physical therapy
- 통증이 있는 대상자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통증을 감소시키며 감소된 기능을 보상하거다 더 악화 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② 경피적 신경자극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TENS
- 기구를 사용하여 피부와 그 아래의 조직에 소량의 전류를 전달하는 것이다.
- 노인들에게는 안전하고 약물만큼 효과적이다.
- 일반적으로 TENS는 급성통증과 만성통증을 관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수술 후 통증이나 특히 요통 과 같이 국소적인 만성 통증에 적용된다.
③ 기타
- 접촉, 압박, 마사지, 진통, 열과 냉의 적용과같은 피부자극요법은 피부를 자극하여통증경로를 방해한다.
- 이 방법은 대상자가 이행하기에 비교적 쉽고 경제적이다.
(2) 인지-행동요법 Cognitive-behavioral measures
① 관심전환 Distraction
- 통증에 대한 지각을 변경시키지만 통증의 원인이나 말초기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다른 요법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② 심상법 Imagery
- 대상자가 즐겁거나 바람직한 감정, 감각 혹은 일에 관하여 생각하거나 시각화하도록 격려하는 관심전 환의 한 형태이다.
③ 이완요법 Relaxation technique
-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는 불안, 긴장, 정서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④ 최면술 Hypnosis
- 사람이 몽환의 경지에 들어가고 전반적인 현실감의 상실로 변화된 의식의 상태를 조성하는 것이다.
(3) 기타 보완요법
- 자석 치료법, 침술ㄹ, 약초 등이 있지만 통증에 유용한지에 대한 자료는 불충분하다.
5) 만성 통증 완화를 위한 침습적인 치료
(1) 신경차단 Nerve block
- 진단적, 치료적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신경근을 국소화시키고 일시적인 통증 완화 또는 진단적 평가를 위하여 국소마취제를 주입하거나 영구 적으로 신경조직을 붕괴하거나 파괴하기위하여 화학약품을 주입하는 것이다.
- 합병증으로는 감각기능이 감소되고, 일시적인 운동, 장, 방광 장애를 초래한다.
- 신경차단은 침습적인 시술이므로 대상자에게 시술 방법, 위험, 대안적인 치료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을 해야 한다.
(2) 척수자극 Spinal cord stimulation
- 보다 침습적인 신경자극의 방법이다.
- 통증에 관련된 신경영역과 그 피부 아래 전극을 심어서 실시한다.
- 성공적으로 되면 영구적으로 자극장치를 이식하기 위한 수술을 받는다.
(3) 외과적 시술 Surgical technique
- 근절제술과 척수 전측 절단술이 있다.
- 근절제술 : 감각신경근을 파괴하는 것이다.
- 척수 전측색 절단술 : 신경자극이 척수 시상로로 올라가기 전에 척수의 중간 부위에서 통증경로를 차단 하는 것이다.
- 외과적 시술 후에는 신경학적인 장애를 사정하고 대상자에게 적응 방법을 교육해야 한다.
6) 건강 교육 Health teaching
- 진통제 투여의 목적과 작용, 부작용, 투여용량, 간격 등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한다.
- 간호사는 진통제 치료요법이 대상자의 수면, 휴식, 식욕, 신체 기동성, 운전 능력을 방해하지 않아야 함을 설명하고 만약 그러한 문제가 나타나면 의료인에게 알리도록 한다.
- 안전하게 진통제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교육한다.
- 가족 지지체계를 평가하고, 만성 통증이 있는 대상자는 지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7) 말기 환자의 통증관리
- 생의 마지막까지 통증 관리를 지속해야 한다.
- 간호사는 말기 암환자의 통증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관리해 주어야 한다.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6.08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23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