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4장 국어의 의미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 4장 국어의 의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의미와 의미의 분석

1.1. 의미의 정의

1.1.1. 지시설

1.1.2. 자극-반응설

1.1.3. 개념설

1.2. 의미의 유형

2. 크루스의 분류

2.1. 기술적 의미

2.2. 표현적 의미

2.3. 환기적 의미

1. 다음 표현의 의미 유형

1.3. 의미 분석의 방법

1.3.1. 성분 분석 이론

1. 의미장의 기본구조

1.1. 균형형

1.2. 분류형

1.3. 의미분야형

1.3.2. 원형 이론

1.4. 의미 연구의 층위

2. 의미의 관계

2.1. 계열 관계

2.1.1. 상하 관계

2.1.2. 유의 관계

2.1.3. 대립 관계

2.2. 결합 관계

2.2.1. 합성 관계

2.2.2. 관용 관계

2.2.3. 연어 관계

3. 의미의 확장

3.1. 다의어

3.1.1. 다의어의 정의

3.1.2. 다의어의 의미 확장

3.2. 은유

3.2.1. 비유의 본질

3.2.2. 은유의 정의

3.3. 환유

3.3.1. 환유의 정의

3.3.2. 환유의 양상

4. 문장의 의미

4.1. 동의성과 중의성

4.1.1. 동의성

4.1.2. 중의성

4.2. 전제와 함의

4.2.1. 전제

4.2.2. 함의

4.3. 장면의 개념화

4.3.1. 초점화

4.3.2. 이동 표현

5. 담화와 텍스트의 의미

5.1. 담화의 의미

5.1.1. 담화의 성격

5.1.2. 담화 행위

5.1.3. 대화의 협력 원리

5.1.4. 직접 화행과 간접 화행

5.2. 텍스트의 의미

5.2.1. 텍스트의 개념

5.2.2. 텍스트성의 기준

5.3.3. 텍스트의 기능

본문내용

.
셋째, 결합관계에 있어서 적극적 계열의 어휘항목이 앞자리에, 소극적 계열의 어휘 항목이 뒷자리에 놓인다.
2.2. 결합 관계
2.2.1. 합성 관계
합성어의 구성 요소 A, B가 대등한 자격으로 결합 관계를 이룰 때 그 어순은 고정되어 있다. 합성어의 결합 양상은 시간의 선후에 따라 동작에서 앞선 시간이나 사건이 앞자리에 놓이게 되고, 작은 수가 앞자리에, 큰 수가 뒷자리에 놓이는 수의 크고 작음에 따른 합성 관계가 있다. 거리의 원근에 따라서 이루어지는 합성 관계에는 ‘나먼저 원리’가 상대적으로 적용된다. 성별에 관한 우리의 전통적인 사고 방식은 남존여비의 양상을 띠고 있으며 어순 또한 이를 반영하여 남성과 여성의 합성 관계에서 나타난다. 적극적인 요소와 소극적인 요소의 합성 관계, 긍정과 부정의 합성 관계에서도 특정한 어순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 탐구문제
1. 어순의 결합 원리를 밝혀 보자.
여기저기/*저기여기
조만간/*만조간
국내외/*국외내
- 거리의 원근에 따른 합성관계로 가까운 거리를 먼 거리보다 더 잘 인지하는 ‘나먼저원리’가 반영된 것이다. 나 먼저 원리는 ‘여기저기’에서 보이는 근칭과 원칭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조만가, 국내외 시간 및 거리 표현에서도 적용된다. 시간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앞선 시간에서 뒤따르는 시간의 과정으로 파악하기 때문에 조만간이라는 고정된 어순을 이룬다.
2. 합성어의 어순이 우리 사회의 의식구조에 대한 변모 양상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밝혀보자.
‘딸 아들’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기르자. ‘엄마 아빠’ 안녕히 주무세요.
민관군, 노사정 위원회
성별에 관한 우리의 전통적인 사고 방식은 남존여비의 양상을 띠고 있으며 어순도 이 같은 인식을 반영하여 부모, 신랑신부, 신사숙녀 등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위의 예시에서 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먼저 나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우리사회의 의식구조가 남존여비에서 벗어나 남녀평등의 인식을 가지게 되는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민관군’, ‘노사정 위원회’ 같은 경우도 우리의 전통적인 사고 방식으로는 백성보다는 관청이나 정부를 더 중요시 여겼으나 현재에 와서 국민과 노동자의 중요성을 깨닫는 등의 변모 양상을 볼 수 있다.
2.2.2. 관용 관계
관용어는 둘 이상의 어휘소가 구의 형식을 이룰 때 의미가 특수화되어 있을 뿐 아니라 구성 방식이 고정된 결합 관계이다. 관용어는 형식적인 측면에서 문장의 변형이 자유롭지 않고 구성방식이 고정되어 통사적 변형이 허용되지 않는다.
* 탐구문제
1. ‘개밥’(A)과 ‘도토리’(B)에서 연상의 강도가 A→B, B→A 중 어느 쪽이 강한가?
연상의 강도는 A→B 쪽이 더 강하다고 생각한다. 도토리나 개구리, 긁다, 마시다 등의 B만 가지고는 관용어의 의미가 충분히 드러나지 않는데 A라는 조건 속에서 B라는 의미가 더욱 강해지기 때문에 연상의 강도는 A→B 쪽이 더 강하다고 생각한다.
2. 관용어의 의미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 밑줄 친 부분의 어원을 밝혀보자
감칠맛 나다
- 무언가 먹고는 싶은데 몸이 말을 안 들으니 마음껏 먹지도 못해서 안달이 나는 병을 가리켜 \'감질\'이라고 합니다. 여기에서 유래한 \'감질나다\'는 무엇이 먹고 싶거나 가지고 싶거나 한데 한꺼번에 그 욕구가 충족되지 않고 조금씩 조금씩 맛만 보게 되기에, 오히려 더더욱 그 대상을 먹고 싶거나 갖고 싶어 애태우는 것을 말합니다. \'감칠맛 나다\'라는 말은 \'음식이 입에 당기다\' 또는 \'사물이 마음을 당기다\'라는 뜻입니다.
들통이 나다
- 비밀이 폭로되다. 들통은 옆에 손잡이가 달려 있는 쇠붙이나 또는 법랑(琺瑯)으로 만든 그릇을 말한다. 들통을 들어내면 그 자리에 있던 것이 드러난다는 데서 생긴 말이다.
변죽을 울리다
- `간접적으로 깨닫게 하다`라는 뜻이다. 그릇이나 물건의 가장자리를 변죽이라고 한다. 변죽을 쳐서 그릇의 복판이 울리게 하듯이, 바로 집어 말을 하지 않고 에둘러서 말을 하여 눈치를 채게 한다는 뜻으로 쓰는 말이다.
북새통을 이루다
-
쐐기를 박다
- 쐐기는 나무를 V자형으로 깎아서 나무로 짠 물건의 틈새를 박아 연결 부분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일종의 나무못을 가리킨다. 쐐기는 보통 사물의 네 귀퉁이가 물러나지 않도록 만드는 역할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물건의 틈새에 박아 넣어 두 물건의 사이를 벌리는 데 쓰기도 한다.
나무틀이나 이음새에 쐐기를 박으면 움직이거나 빠지지 않는 것처럼, 어떤 일을 확정할 때 분명히 한다는 뜻으로 쓴다. 또는 남이 일하고 있는 도중이나 얘기하고 있는 사이에 끼어들어 더 이상 그 일을 못하게 하거나 중단하게 하는 일을 가리키기도 한다.
오지랖이 넓다
- 오지랖은 웃옷의 앞자락을 나타내는 말로 옷의 앞자락이 넓다는 것은 그만큼 포용력이 있다는 뜻으로 주로 부정적 의미로 이 일 저 일에 참견할 때 쓰는 말이다..
용 빼는 재주
- 사슴에게서 녹용을 잽싸게 빼내는 재주나 기술을 말하는데, 鹿茸(녹용)이란 새로 돋은 사슴의 연한 뿔입니다. 이 뿔을 자르거나 뽑아낼 때, 무척 재빠르게 해치워야 했다. 그래서 용 빼는 재주란 날랜 솜씨, 묘한 방법 등을 표현하는 말입니다.
용을 쓰다
좀이 쑤시다
- \'좀\'은 좀벌레를 가리킵니다. 옷감이나 종이 등에 붙어살며 이것들을 갉아먹는데 이것이 사람을 물기도 하는데 그래서 좀벌레가 쑤시면 가려워서 가만히 있지를 못하므로 가만히 있지 못하고 들썩거리는 것을 좀이 쑤신다 라고 표현한다.
쪽을 못쓰다
학을 떼다
- 거북하거나 어려운 일로 진땀을 빼다라는 뜻으로 말라리아를 한자어로 학질(疾)이라고 한다. 그리고 \'학을 떼다\'는 \'학질을 떼다\', 즉 \'학질을 고치다\'에서 나온 말이다. 학질은 흔히 열이 많이 나는 것이 특징으로 자연히 땀을 많이 흘려야 한다는 점에서 어려운 곤경에 처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호들갑을 떨다
2.2.3. 연어 관계
단어가 모여 큰 구성체를 이룰 때, 주변의 다른 요소와 의미적으로 조화를 이루는데, 이처럼 상호 의존적 관계에 있는 단어의 결합체를 연어 관계라고 한다.
단어의 결합 관계에 나타나는 제약을 공기 제약이라고 하고, 연어 제약과 선

추천자료

  • 가격4,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2.06.09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29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