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5장 국어의 어휘
1. 어휘와 어휘능력
1.1. 어휘 능력
1.2. 어휘
2. 국어 어휘의 양상
2.1. 방언
2.2. 은어
2.3. 대우 표현어
2.4. 속어
2.5. 완곡어와 금기어
2.6. 관용어
2.7. 속담
2.8. 고사성어
2.9. 전문어
2.10. 집단어
3. 어휘의 신생과 소멸
3.1. 신어
3.2. 사어 - 어휘의 소멸
4. 국어 어휘의 체계
4.1. 어휘 분류와 어휘 체계
4.2.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4.3.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
5. 어휘의 가치
1. 어휘와 어휘능력
1.1. 어휘 능력
1.2. 어휘
2. 국어 어휘의 양상
2.1. 방언
2.2. 은어
2.3. 대우 표현어
2.4. 속어
2.5. 완곡어와 금기어
2.6. 관용어
2.7. 속담
2.8. 고사성어
2.9. 전문어
2.10. 집단어
3. 어휘의 신생과 소멸
3.1. 신어
3.2. 사어 - 어휘의 소멸
4. 국어 어휘의 체계
4.1. 어휘 분류와 어휘 체계
4.2.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4.3.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
5. 어휘의 가치
본문내용
이남, 이북, 남한, 북 한, 1.4 후퇴, 새마을운동
→ 새로운 문물의 유입되면서 그를 지칭하는 말이 생성되었다. (쌕쌕이, 똑딱선, 통통배)
→ 사회체제의 변화와 그에 따른 문화적 변동에 따라 새롭게 재구될 필요성이 커진 단어 들이 그 형태를 바꾸거나 새로운 개념을 지칭하는 단어들이 생성되었다. (오빠, 차려, 쉬어, 대한민국, 한국, 3.8선, 이남, 이북, 남한, 북한, 1.4 후퇴, 새마을운동)
▶ 한글, 어린이날, 도시락, 단팥죽, 덮밥, 건널목, 덧셈, 뺄셈, 모눈종이, 지름, 반지름, 흰 피톨, 붉은피톨, 넘보라살, 갓길, 제곱, 세제곱
→ 해방 이후의 시기에 새롭게 생성된 단어들로 순 우리말로 구성된 단어들이다. 지금까 지도 사용되는 말이 있는가하면(한글, 어린이날, 도시락, 단팥죽, 덮밥, 건널목, 덧셈, 뺄셈, 모눈종이, 지름, 반지름, 갓길, 제곱, 세제곱)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흰피톨, 붉 은피톨, 넘보라살)
▶ (1) 유엔, 프락치, 엠원소총, 카빈소총, 바주카포, 에프86, 미그15, 쏘련, 로스케, 콜레라, 게릴라, 텔레비전, 라디오,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 서구 문물을 도입하면서 그를 가리키는 단어는 물론, 외국어의 발음까지 그대로 받아 들여 사용하는 서구 외래어의 예
(2) 민주주의, 공산주의, 자본주의, 냉장고, 원자탄, 유도탄, 대륙간 탄도탄, 비행기, 철 도, 기선, 마력, 밀월, 입력, 출력, 전자계산기
→ 서구 문물을 도입할 때 일본을 거쳐 도입하면서 일본식 조어된 단어로서 새로운 개념 을 지칭하게 된 경우
▶ (1) 통조림, 불고기, 꼬치안주, 가락국수, 손톱깎기, 소매치기, 병따개, 탄말, 홀소리, 닿 소리
→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인 외래어에 대한 반성의 일환으로 만들어낸 고유어들이 일반화된 예
(2) 과도정부, 임시정부, 국민대회, 통행금지, 신탁통치, 수도경찰청, 참모총장, 민주진 영, 공산진영, 남북통일, 전시연합대학, 휴전회담, 중립국 감시위원단
→ 한자를 사용하여 단어를 조어한 예이다.
● 다음은 의미가 예전과 달라진 단어들이다. 의미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조사해 보자.
▶ 아저씨 → ‘아버지와 같은 항렬의 남자를 일컫는 말’에서 ‘혈연관계가 없는 남자 어른 을 친근하게 부르는 말’로 의미가 확대되었다.
▶ 아주머니 → ‘어머니와 같은 항렬의 여자를 일컫는 말’에서 ‘혈연관계가 없는 여자 어 른을 친근하게 부르는 말’로 의미가 확대되었다.
▶ 영감 → ‘종이품과 정삼품의 벼슬 아치를 높여 그 관직명에 붙여서 부르던 말’에서 ‘나 이 든 남편을 일컫는 말’이나 ‘지체 있는 사람이나 나이가 많은 사람을 대접하 여 부르는 말’로 의미가 확대되었다.
▶ 귀찮다 → 본래는 ‘귀치 아니하다’가 줄어서 된 말인데, ‘성가시다’는 말로 의미가 변화 하였다.
▶ 점잖다 → 본래는 ‘젊지 아니하다’가 줄어서 된 말인데, ‘몸가짐이 음전하다’는 말로 의 미가 변화하였다.
▶ 선생님 → 본래는 ‘성명이나 직명 따위의 뒤에 쓰여 그를 높이어 일컫는 말’인데 ‘교사 라는 직업을 가리키는 말’로 의미가 축소되었다.
▶ 방송 → 본래는 ‘방면하다, 풀어주다’는 뜻이었는데, ‘보도나 음악, 연극, 스포츠 따위를 전파에 실어 보낸다’는 뜻으로 변화하였다.
▶ 도서 → 본래는 ‘서적, 글씨, 그림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었는데, ‘서적이나 책을 가리키는 말’로 그 의미가 축소되었다.
▶ 발명 → 본래는 ‘경사의 뜻을 스스로 깨달아 밝힌다’거나 혹은 ‘죄가 없음을 밝힌다’는 뜻이었는데 ‘새로 생각해 내거나 만들어내다’라는 의미로 변화하였다.
▶ 산업 → 본래는 ‘사람이 생활하기 위하여 하는 일’인데, ‘근대의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으로 그 뜻이 축소되었다.
▶ 사회 → 본래는 ‘사람들이 社日에 모이는 일’을 뜻하는 말이었는데, ‘공동생활을 하는 인간의 집단’이라는 뜻으로 바뀌었다.
▶ 생산 → 본래는 ‘사람이 자식을 낳는 것’ 또한 포함하는 개념이었으나 지금은 그 의미 가 감해져 축소되었다.
▶ 식품 → 본래는 ‘음식의 재료가 되는 물품’인데, 지금은 ‘그 음식을 뜻하는 말’로도 쓰 여 그 의미가 확대되었다.
▶ 신인 → 본래는 ‘새댁’을 뜻하는 말이었는데, ‘어떤 분야에 나서서 새로운 활동을 시작 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그 의미가 확대되었다.
▶ 실내 → 본래는 ‘남의 아내’를 점잖게 이르는 말이었는데, 지금은 ‘방 안, 집 안’을 이르 는 말로서 쓰인다.
▶ 창업 → 본래는 ‘나라를 처음으로 세운다’는 의미로만 쓰이던 말이었는데, 지금은 ‘사업 을 처음 일으키는 일’이라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 다음과 같은 단어들의 성격과 특징을 조사해 보라. 이러한 성격이 단어들이 국어의 전체 어휘부에 미치는 작용은 어떠하겠는가? 또 개인의 어휘량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겠는 가?
→ 한국 사회의 현실, 정치·경제·문화 분야의 변화가 언어에 직접적으로 반영되고 있는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예로서 들 수 있는 것이 다양한 분야에 걸쳐 많은 신어가 사용되 고 있다는 점이다. 신어는 주로 단기간동안 빈도 높게 사용되고, 그 단어 파생력이 굉 장히 높은 것이 특징이다. 신어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방식으로는 의미의 확장, 형태상 의 혼성, 축약, 대치 특히 접미사적 방식에 의한 파생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신어는 국어 어휘 내에서도 대단한 생산력을 가지며 어휘량을 풍부하게 해주는 하나의 기재로 서 작용하고 있다.
3.2. 사어 - 어휘의 소멸
[돌다리 두드리기]
* 사어 : 소멸된 단어
* 국어에서의 사어화 양상
- 고유어 자체 내에서의 변천
- 한자어의 유입으로 인한 고유어의 사어화
- 근대로 들어와 사회 문화적 변화 과정에서 일어난 한자어의 사어화 : 특히 이는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음에도 사전에는 실려 있기 때문에 유령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 탐구문제(『국어지식탐구』 pp. 336)
● 다음은 사어들의 예이다. 이 자료를 살펴보고 다음 물음에 답해 보자.
▶ 이 단어들의 의미를 고어사전을 이용하여 확인해 보자. 실려 있는 것은 무엇이고, 실려 있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 실려 있는 단어 : 굿것(귀신이나 도깨비), 샤옹(남편), 가
→ 새로운 문물의 유입되면서 그를 지칭하는 말이 생성되었다. (쌕쌕이, 똑딱선, 통통배)
→ 사회체제의 변화와 그에 따른 문화적 변동에 따라 새롭게 재구될 필요성이 커진 단어 들이 그 형태를 바꾸거나 새로운 개념을 지칭하는 단어들이 생성되었다. (오빠, 차려, 쉬어, 대한민국, 한국, 3.8선, 이남, 이북, 남한, 북한, 1.4 후퇴, 새마을운동)
▶ 한글, 어린이날, 도시락, 단팥죽, 덮밥, 건널목, 덧셈, 뺄셈, 모눈종이, 지름, 반지름, 흰 피톨, 붉은피톨, 넘보라살, 갓길, 제곱, 세제곱
→ 해방 이후의 시기에 새롭게 생성된 단어들로 순 우리말로 구성된 단어들이다. 지금까 지도 사용되는 말이 있는가하면(한글, 어린이날, 도시락, 단팥죽, 덮밥, 건널목, 덧셈, 뺄셈, 모눈종이, 지름, 반지름, 갓길, 제곱, 세제곱)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흰피톨, 붉 은피톨, 넘보라살)
▶ (1) 유엔, 프락치, 엠원소총, 카빈소총, 바주카포, 에프86, 미그15, 쏘련, 로스케, 콜레라, 게릴라, 텔레비전, 라디오,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 서구 문물을 도입하면서 그를 가리키는 단어는 물론, 외국어의 발음까지 그대로 받아 들여 사용하는 서구 외래어의 예
(2) 민주주의, 공산주의, 자본주의, 냉장고, 원자탄, 유도탄, 대륙간 탄도탄, 비행기, 철 도, 기선, 마력, 밀월, 입력, 출력, 전자계산기
→ 서구 문물을 도입할 때 일본을 거쳐 도입하면서 일본식 조어된 단어로서 새로운 개념 을 지칭하게 된 경우
▶ (1) 통조림, 불고기, 꼬치안주, 가락국수, 손톱깎기, 소매치기, 병따개, 탄말, 홀소리, 닿 소리
→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인 외래어에 대한 반성의 일환으로 만들어낸 고유어들이 일반화된 예
(2) 과도정부, 임시정부, 국민대회, 통행금지, 신탁통치, 수도경찰청, 참모총장, 민주진 영, 공산진영, 남북통일, 전시연합대학, 휴전회담, 중립국 감시위원단
→ 한자를 사용하여 단어를 조어한 예이다.
● 다음은 의미가 예전과 달라진 단어들이다. 의미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조사해 보자.
▶ 아저씨 → ‘아버지와 같은 항렬의 남자를 일컫는 말’에서 ‘혈연관계가 없는 남자 어른 을 친근하게 부르는 말’로 의미가 확대되었다.
▶ 아주머니 → ‘어머니와 같은 항렬의 여자를 일컫는 말’에서 ‘혈연관계가 없는 여자 어 른을 친근하게 부르는 말’로 의미가 확대되었다.
▶ 영감 → ‘종이품과 정삼품의 벼슬 아치를 높여 그 관직명에 붙여서 부르던 말’에서 ‘나 이 든 남편을 일컫는 말’이나 ‘지체 있는 사람이나 나이가 많은 사람을 대접하 여 부르는 말’로 의미가 확대되었다.
▶ 귀찮다 → 본래는 ‘귀치 아니하다’가 줄어서 된 말인데, ‘성가시다’는 말로 의미가 변화 하였다.
▶ 점잖다 → 본래는 ‘젊지 아니하다’가 줄어서 된 말인데, ‘몸가짐이 음전하다’는 말로 의 미가 변화하였다.
▶ 선생님 → 본래는 ‘성명이나 직명 따위의 뒤에 쓰여 그를 높이어 일컫는 말’인데 ‘교사 라는 직업을 가리키는 말’로 의미가 축소되었다.
▶ 방송 → 본래는 ‘방면하다, 풀어주다’는 뜻이었는데, ‘보도나 음악, 연극, 스포츠 따위를 전파에 실어 보낸다’는 뜻으로 변화하였다.
▶ 도서 → 본래는 ‘서적, 글씨, 그림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었는데, ‘서적이나 책을 가리키는 말’로 그 의미가 축소되었다.
▶ 발명 → 본래는 ‘경사의 뜻을 스스로 깨달아 밝힌다’거나 혹은 ‘죄가 없음을 밝힌다’는 뜻이었는데 ‘새로 생각해 내거나 만들어내다’라는 의미로 변화하였다.
▶ 산업 → 본래는 ‘사람이 생활하기 위하여 하는 일’인데, ‘근대의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으로 그 뜻이 축소되었다.
▶ 사회 → 본래는 ‘사람들이 社日에 모이는 일’을 뜻하는 말이었는데, ‘공동생활을 하는 인간의 집단’이라는 뜻으로 바뀌었다.
▶ 생산 → 본래는 ‘사람이 자식을 낳는 것’ 또한 포함하는 개념이었으나 지금은 그 의미 가 감해져 축소되었다.
▶ 식품 → 본래는 ‘음식의 재료가 되는 물품’인데, 지금은 ‘그 음식을 뜻하는 말’로도 쓰 여 그 의미가 확대되었다.
▶ 신인 → 본래는 ‘새댁’을 뜻하는 말이었는데, ‘어떤 분야에 나서서 새로운 활동을 시작 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그 의미가 확대되었다.
▶ 실내 → 본래는 ‘남의 아내’를 점잖게 이르는 말이었는데, 지금은 ‘방 안, 집 안’을 이르 는 말로서 쓰인다.
▶ 창업 → 본래는 ‘나라를 처음으로 세운다’는 의미로만 쓰이던 말이었는데, 지금은 ‘사업 을 처음 일으키는 일’이라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 다음과 같은 단어들의 성격과 특징을 조사해 보라. 이러한 성격이 단어들이 국어의 전체 어휘부에 미치는 작용은 어떠하겠는가? 또 개인의 어휘량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겠는 가?
→ 한국 사회의 현실, 정치·경제·문화 분야의 변화가 언어에 직접적으로 반영되고 있는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예로서 들 수 있는 것이 다양한 분야에 걸쳐 많은 신어가 사용되 고 있다는 점이다. 신어는 주로 단기간동안 빈도 높게 사용되고, 그 단어 파생력이 굉 장히 높은 것이 특징이다. 신어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방식으로는 의미의 확장, 형태상 의 혼성, 축약, 대치 특히 접미사적 방식에 의한 파생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신어는 국어 어휘 내에서도 대단한 생산력을 가지며 어휘량을 풍부하게 해주는 하나의 기재로 서 작용하고 있다.
3.2. 사어 - 어휘의 소멸
[돌다리 두드리기]
* 사어 : 소멸된 단어
* 국어에서의 사어화 양상
- 고유어 자체 내에서의 변천
- 한자어의 유입으로 인한 고유어의 사어화
- 근대로 들어와 사회 문화적 변화 과정에서 일어난 한자어의 사어화 : 특히 이는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음에도 사전에는 실려 있기 때문에 유령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 탐구문제(『국어지식탐구』 pp. 336)
● 다음은 사어들의 예이다. 이 자료를 살펴보고 다음 물음에 답해 보자.
▶ 이 단어들의 의미를 고어사전을 이용하여 확인해 보자. 실려 있는 것은 무엇이고, 실려 있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 실려 있는 단어 : 굿것(귀신이나 도깨비), 샤옹(남편), 가
키워드
추천자료
국어과 교육의 성격과 국어과 교육과정
로마자 표기법 - 전자법과 전사법 어느 것이 유용한가?
교육사상의 역사적 전개와 교육적 인간상의 의미
국어과 수업이론과 부르너의 수업이론 비교
[국어학] 차자표기의 발달/ 향찰,이두,구결의 차이점
과학적 탐구(과학탐구)의 정의, 특징, 과정과 과학적 탐구(과학탐구)의 순환학습모형, 과학적...
문법(국어문법)의 성격과 문법화, 문법(국어문법)과 학교문법, 표준문법, 유길준 문법연구, ...
영어과 기본학습능력신장 사례, 기술가정과 만들기학습능력신장 사례, 과학과 탐구학습능력신...
국어과(국어교육, 국어수업)의 목표와 지향점, 국어과(국어교육, 국어수업)의 수행평가, 국어...
영어과 의사소통중심학습지도(교육지도), 국어과 북한말학습지도(교육지도), 수학과 수준별학...
국어과교육과정(국어교육과정)의 목적, 국어과교육과정(국어교육과정)의 기본방향, 국어과교...
사회과 맞춤학습지도(교육지도), 수학과 극한개념학습지도(교육지도), 영어과 열린학습지도(...
[탐색활동교육]탐색활동교육(탐구활동교육)의 과정, 신체활동탐구, 탐색활동교육(탐구활동교...
[학습지도안] 국어 (상) 2. 짜임새 있는 말과 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