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장 국어의 어휘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 5장 국어의 어휘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어휘와 어휘 능력

1.1. 어휘 능력

1.2. 어휘

2. 국어 어휘의 양상

2.1. 방언

2.2 은어

2.3. 대우 표현어

2.4. 속어

2.5. 완곡어와 금기어

2.6.관용어

2.7. 속담

2.8. 고사성어

2.9. 전문어

2.10. 집단어

3. 어휘의 신생과 소멸

3.1. 신어

3.2. 사어 - 어휘의 소멸

4. 국어 어휘의 체계

4.1. 어휘 분류와 어휘체계

4.2.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4.3.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

5. 어휘의 가치

본문내용

적 요인에 의해서 분화된 방언이다. 지리적인 요인에 의해 서로 왕래가 없어서 말이 다르게 분화된다고 볼 수 있다.
2) 표준어는 우리 나라의 공용어로서 국민의 의사 소통을 원활하게 해 주며, 교육적으로 효율성을 지니고, 국어 순화에도 기여한다. 반면에 방언은 서로 다른 지역에서 사는 사람들끼리 의사소통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지만, 방언만이 가지는 의의와 가치가 적지 않다. 표준어도 여러 방언 중에서 대표로 정해진 것이다. 따라서, 방언이 없으면 표준어의 제정이 무의미하다. 예를 들면, \'무\'는 \'무수, 무시, 무, 무\'와 같은 방언 중에서 표준어 규정에 따라서 표준어가 된 것이다.
방언은 실제로 언중들이 사용하는 국어이므로, 그 속에는 국어의 여러 가지 특성이 그대로 드러난다. 예를 들면, \'구개음화, 전설 모음화\'와 같은 현상이 방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이는 한국인이 그만큼 말을 쉽게 하려는 현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방언 속에는 옛말이 많이 남아 있어서 국어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옛말에서 쓰이던 어휘가 그대로 쓰이는가 하면, 불규칙 용언이 규칙 용언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그 속에서 옛말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방언은 특정한 지역이나 계층의 사람끼리 사용하므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 친근감을 느끼게 해 준다. 예를 들어, \"한저 옵서예.\"라고 할 때에 이 방언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어서 오십시오.\"라는 뜻을 금방 알 수 있으며, \"잘 가입시다.\"라고 할 때에 그 방언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안녕히 가십시오.\"라는 의미로 잘 알아듣는다. 이런 말들은 다른 지방 사람들은 이해하기 어렵지만, 같은 지방 사람들끼리 사용하면 그만큼 친근감을 느낄 수 있다.
방언 속에는 우리 민족의 정서와 사랑이 들어 있어서 민족성과 전통, 풍습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즉, 신화, 전설, 민담, 민요 수수께끼, 말놀이 등과 같은 풍부한 구비 문학이 방언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이들은 과거 우리 조상들의 삶의 모습을 실감나게 보여 준다.
3) 제주도가 독립 국가로 되어 있다면 제주도 말은 우리나라의 방언이 아니라 하나의 독립 국가의 언어로서의 위상을 갖게 되었을 것이다. 즉, 지금의 우리 표준어와 같은 위상을 갖게 되는 것이다.
2.2 은어
은어: 일반 사회와 심하게 대립하거나 갈등을 보이는 어떤 폐쇄된 집단이 존재할 경우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어휘군
은어는 본질적으로 다른 집단에 대한 방어를 목적으로 발생한 변이형이기 때문에 비밀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은어의 발생은 비밀 통신 수단의 발생과 깊은 관련을 가진다. 언어를 비밀 통신 수단처럼 발달시키게 되면 이것이 은어이다.
은어는 위장(disguise)의 기능을 발휘할 수가 있다. 외부 집단에 알려질 경우에 대비하여 은어를 평범한 단어처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언어 위장이라 한다. 그리고 은어는 일반 사회에 알려지게 되면 즉시 변경되는 것이 원칙이다.
p318 * 탐구 - 은어
1) 기술문명이 발달하면서 사회는 더욱 복잡다단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언어분화도 매우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된다. 계급과 계층은 더욱 세분되고, 소집단은 더욱 많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적 양상은 자연스럽게 새로운 사회방언을 낳게 된다. 직업, 나이, 성별 이외에도 종교나 종족도 언어분화를 유발할 수 있는 중요한 사회적 요인이 된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하여 소집단 간의 동질성 유지와 타집단에 대한 은비(隱秘)의 목적을 위해 은어가 발생하는 것이다.
실제로 은어를 왜 사용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고등학생들은 친근감의 표현이라는 대답이 절반이 넘는 51%나 되었다. 또한 단순히 재미로 사용한다는 응답이 24%, 남들이 사용하니까 쓴다는 학생이 11%였다. 또한 달리 사용할 말이 없어서 사용한다는 학생은 6%였다. 기타 의견으로 대화의 분위기를 맞추기 위해서,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마음을 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등의 의견이 나왔다.
2) 은어를 특히 많이 사용하는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청소년 은어사용의 전반적인 특징으로는 된소리나 거센소리의 사용이 많아 전체적으로 강하고 거친 느낌을 주는 은어의 사용이 많았으며 일어 계열의 은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텔리비젼광고나 뮤직비디오등 감각적이고 빠른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영상언어에 익숙한 요즘 청소년들 중 일부가 보다 새롭고 자극적인 말을 만들어 내고, 이것을 친구사이에 퍼뜨리는 것을 자랑으로 삼고 있다. 다수의 아이들은 또래 집단에서 소외되거나 뒤쳐졌다는 느낌을 갖지 않기 위해 새로운 은어를 따라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청소년들은 은어를 통해 자신들의 욕구불만을 담아내고 있는데 입시경쟁과 과다한 수업에 붸기는 강박관념 등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불평, 불만이 담긴 은어를 사용하는 모습에서 그들의 속내를 조금은 들여다 볼 수 있었다.
3) ·가랑비 (눈이 작은 아이) : 아주 가늘게 내리는 비. \'가는\'모양의 눈에 비유. 작고 가는 눈을 뜻함
·깻잎 (촌스러운 아이) : 깻잎머리에 붙인 듯한 헤어스타일. 곧 촌스러움을 뜻함.
·다이아몬드 (여드름) : 여드름이 많으면 기름기로 번쩍번쩍 거림. 여드름을 미화시켜 부르는 말
·8비트 (공부 못하는 아이) : 컴퓨터의 구식 기종. 처리속도가 매우 느림⇒이해력이 느리고 우둔한 아이
·범생이(모범생): 모범생을 비하하고 비아냥거리는 말. (모)범생에서 연유.
·총잡이 (주유소 주유원) : 주유소에서 직원이 주유할 때 사용하는 기계를 말한다. \'총과 비슷한 모양으로 생겼음 ; 주유소 아르바이트는 청소년들이 많이 하는 아르바이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은어로까지 만들어져 이들의 일상 생활 용어로 사용된 듯하다.
·링컨 (컨닝) : \'컨닝\'의 어순을 거꾸로 하여서 만든 말.
·야자시간 (야간자율학습 시간) : 말을 줄여서 사용.
·짱 (최고) : 길장 \'長\'에서 유해. \'장\'을 격음화. 대장에서 대를 줄이고 장을 거세게 발음
·뽀리다 (훔치다)
·생까다 (모르는 체하다) : 우리나라 의성어 중에 \'쌩\'이라는 소리가 있다. ex>쌩하고 자동차가 달리다. \'쌩\'은 스쳐지나감을 뜻한다.
·삐꾸 (정신
  • 가격4,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2.06.10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30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