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그리스 전설의 세계』
Ⅰ. 영웅전설
1. 페르세우스
2. 이아손
3. 테세우스
4. 헤라클레스
Ⅱ. 트로이아 전쟁의 전설과 호메로스의 서사시
1. 일리아스
2. 오뒤쎄이아
Ⅲ. 그리스 전설 - 사랑의 전설
1. 비운의 사랑
2. 사랑과 질투
3. 사랑의 완성
『로마의 신화와 전설』
1. 아이네아스
Ⅰ. 영웅전설
1. 페르세우스
2. 이아손
3. 테세우스
4. 헤라클레스
Ⅱ. 트로이아 전쟁의 전설과 호메로스의 서사시
1. 일리아스
2. 오뒤쎄이아
Ⅲ. 그리스 전설 - 사랑의 전설
1. 비운의 사랑
2. 사랑과 질투
3. 사랑의 완성
『로마의 신화와 전설』
1. 아이네아스
본문내용
논이 브리세이스를 빼앗음
- 아킬레우스의 브리세이스 양보와 철수
- 테티스가 제우스에게 그리스군이 패배하도록 해달라고 부탁함(아들의 복수)
- 아가멤논의 사죄
<신들의 대립>
- 그리스
: 헤라, 아테나, 포세이돈
- 트로이
: 아프로디테, 아레스, 제우스(파트로클로스의 \'사르페돈\' 살해)
- 중립
: 제우스, 헤르메스, 아폴론
5) 파트로클로스의 참전과 전사
- 아킬레우스의 갑옷을 입은 파트로클로스
- 사르페돈(제우스의 아들)을 죽임
- 사르페돈의 시체를 끌고 다니는 파트로클로스
- 제우스는 아폴론에게 사르페돈을 찾으라고 함
- 타나토스와 휘프노스가 장례를 도움
- 헥토르의 등장과 파트로클로스의 죽음
- 아킬레우스의 갑옷을 입은 헥토르
- 파트로클로스의 시체와 아킬레우스의 복수 결심
6) 아킬레우스의 참전
- 헤파이스토스의 새로운 무기(방패, 투구, 갑옷)
- 아킬레우스와 아가멤논의 화해
- 아킬레우스와 헥토르의 결투
- 헥토르를 죽인 아킬레우스
- 파트로클로스의 장례
- 헥토르의 시체를 끌고 다니는 아킬레우스
- 프리아모스 왕이 아들의 시체를 돌려달라고 부탁
- 헥토르 시체 반환, 성대한 장례(일리아스 끝)
<트로이아 응원군>
- 이디오피아의 왕 멤논(티노토스+에오스)
: 네스토르 아들 안틸로코스 죽임
: 아킬레우스의 의해 살해
- 아마존의 펜테실레이아
: 아킬레우스의 의해 살해
7) 아킬레우스의 죽음
- 트로이아 공주 폴뤽세나와의 혼담
- 파리스가 아킬레우스의 약점인 뒤꿈치에 화살
- 아킬레우스의 갑옷을 두고 경쟁
: 아이아스와 오뒤쎄우스
: 경쟁에서 진 아이아스 자살(히야신스꽃 전설)
8) 파리스의 죽음
- 신탁
: 헤라클레스의 화살이 있어야 트로이성 무너트림
- 필록테테스가 헤라클레스의 화살을 가지고 있음
: 렘노스섬에 남겨졌던 필록테테스
: 디오메데스가 필록테테스를 데리러 감
- 독화살에 맞는 파리스
- 파리스는 그의 전 아내 오이노네를 찾음
- 오이노네는 약초에 대해 지식이 풍부했지만, 자신을 버린 파리스가 미워 도와주지 않음
9) 트로이아의 목마
- 오뒤쎄우스의 꾀
- 그리스 군의 위장, 퇴각과 목마
- 낙오병 시논(목마가 트로이 수중으로 넘어가면 그리스 정복)
- 신관 라오콘 부자의 죽음(트로이 목마를 부수어 없애야 한다고 주장)
- 성 안으로 옮겨지는 트로이 목마
- 트로이 멸망
- 트로이 왕 프리아모스의 죽음
- 왕비 헤카베와 딸 카산드라는 그리스로 끌려감
- 폴뤽세나는 아킬레우스 장래에 산채로 제물이 됨
10) 귀환, 비극의 탄생
- 메넬라오스와 헬레네
- 아가멤논과 클뤼타임네스트라
: 왕비와 정부(아이기스토스)의 아가멤논 살해
: 엘렉트라와 오레스테스 (딸, 아들) 도망감
: 오레스테스의 모친과 정부 살해
: 에리스의 저주를 받은 오레스테스
: 오레스테스와 퓔라데스(사촌)의 방랑
: 타우리스의 이피게네이아를 만남
: 에리스의 저주로 인해 법정에 서게된 오레스테스
: \'아레이오스 파고스\' 법정에서의 무죄
2. 오뒤쎄이아
<오뒤쎄이아>
- 호메로스의 작품으로 전해지는 대서사시
- 저자 : 호메로스
- 장르 : 서사시
- 내용 : 그리스군의 트로이 공략 후 오뒤쎄우스의 10년간에 걸친 모험과 귀국에 관한 이야기(40일간의 사건으로 처리)
- 귀향자 모티프와 선원 모티프가 오뒤쎄우스라는인물을 통해 트로이아 전설과 결합(일리아스 - 분노의 모티프)
- 오뒤쎄이아 1권 1행 \'말해주오, 뮤즈여, 트로이의 성스런 아성을 약탈한 후에~\'
<구성>
- 1~4권(이타케, 퓔로스, 스파르타)
1권(이타케) 신들의 회의, 이타케로 온 아테나
2권(이타케) 이타케인들의 최후와 델레마코스의 출항
3권(퓔로스) 네스토르
4권(스파르타) 메넬라오스
5권(오이기아) 칼뤼포스의 오뒤쎄우스, 출항
6권~8권 파이아케스족의 나라
9~12권(파이아케스족의 나라 - 알키누스 왕의 궁전) 오뒤쎄우스 이야기
9권 키코네스족의 나라(이스마로스), 로토파고이족의 나라, 퀴클로프스들의 나라
10권 아이올로스 섬, 라이스트뤼고네스족, 키르케(아이아미아)
11권 죽음의 세계
12권 세이렌, 스퀼라와 카리브디스, 트리아키아
13~24권(이타케) 귀향, 구혼자들과의 싸움, 해결
1) 오뒤쎄우스
- 탄생 : 라에르테스(/시시포스)+안티클레이아
- 이름 : 아우톨리코스의 작명 → 오뒤쎄이아(증오의 희생물)
- 결혼 : 틴타레오스에게 조언(딸 헬레네와 구혼자들), 페넬로페와 결혼, 아들 텔레마코스 (오뒤쎄우스의 교활성)
2) 텔레마코스
- <<오뒤쎄이아>>는 그가 내성적인 젊은이로부터 자신만만하고 재치있는 젊은이로 성장하는 과정을 묘사
- 오뒤쎄우스의 트로이전쟁 출전 후 이타케의 상황
: 어머니 페넬로페와 많은 구혼자들
: 아테나 여신의 설득과 출항(필로스의 \'네스토르\', 스파르타의 \'메넬라오스\')
3) 페넬로페
- 정숙과 인내 : 20년간 오뒤쎄우스를 기다림(시 아버지 라에르데의 수의를 만들면서 = 페넬로페의 베짜기)
- 남편의 귀환
4) 오뒤쎄우스의 모험
① 퀴코네스족의 나라, 이스마로스
- 이스마로스의 키코네스 족과의 무력충돌, 포도주
② 연을 먹는 사람들의 나라, 로토파고이
- 이곳의 연을 먹으면 이곳에서 살고 싶어짐
③ 퀴클롭스 섬
* 퀴클롭스
: 둥근 눈 하나가 이마에 있음
: 포세이돈의 아들
- 퀴클롭스 폴뤼페모스에게 잡혀서 먹히는 부하들
- 오뒤쎄우스는 폴뤼페모스에게 술을 먹이고,
- 자신을 우티테스(아무도 아닌자)라고 소개
- 폴뤼페모스의 눈을 찌름
- 눈이 먼 폴뤼페모스와 양들을 이용해 탈출
④ 아이올로스의 섬
- 바람의 섬 아이올로스
- 방해가 되는 바람을 자루에 넣어 오뒤쎄우스에게 줌
- 순풍으로 평탄한 항해
- 부하들이 자루를 열어 봄
- 역풍, 다시 아이올로스 섬으로 감
⑤ 라이스트뤼고네스 족이 나라
- 식인 거인 라이스트뤼고네스 족들의 공격
- 살아남은 오뒤쎄우의 배
⑥ 아이아이아 섬
- 마녀 키르케가 사람을 동물로 변신 시킴
- 헤르메스의 도움을 받아 몰뤼 라는 약초를 먹고 변하지 않은 오뒤쎄우스
- 키르케의 환대, 아들 텔레고노스
- 키르케는 저승으로 가 테이레시아스의 예언을 들으라고 함
- 테이레시아스는 헬리오스의 소를 건드리면 죽게 된다고 함
- 키르케의 세이렌 섬과 스
- 아킬레우스의 브리세이스 양보와 철수
- 테티스가 제우스에게 그리스군이 패배하도록 해달라고 부탁함(아들의 복수)
- 아가멤논의 사죄
<신들의 대립>
- 그리스
: 헤라, 아테나, 포세이돈
- 트로이
: 아프로디테, 아레스, 제우스(파트로클로스의 \'사르페돈\' 살해)
- 중립
: 제우스, 헤르메스, 아폴론
5) 파트로클로스의 참전과 전사
- 아킬레우스의 갑옷을 입은 파트로클로스
- 사르페돈(제우스의 아들)을 죽임
- 사르페돈의 시체를 끌고 다니는 파트로클로스
- 제우스는 아폴론에게 사르페돈을 찾으라고 함
- 타나토스와 휘프노스가 장례를 도움
- 헥토르의 등장과 파트로클로스의 죽음
- 아킬레우스의 갑옷을 입은 헥토르
- 파트로클로스의 시체와 아킬레우스의 복수 결심
6) 아킬레우스의 참전
- 헤파이스토스의 새로운 무기(방패, 투구, 갑옷)
- 아킬레우스와 아가멤논의 화해
- 아킬레우스와 헥토르의 결투
- 헥토르를 죽인 아킬레우스
- 파트로클로스의 장례
- 헥토르의 시체를 끌고 다니는 아킬레우스
- 프리아모스 왕이 아들의 시체를 돌려달라고 부탁
- 헥토르 시체 반환, 성대한 장례(일리아스 끝)
<트로이아 응원군>
- 이디오피아의 왕 멤논(티노토스+에오스)
: 네스토르 아들 안틸로코스 죽임
: 아킬레우스의 의해 살해
- 아마존의 펜테실레이아
: 아킬레우스의 의해 살해
7) 아킬레우스의 죽음
- 트로이아 공주 폴뤽세나와의 혼담
- 파리스가 아킬레우스의 약점인 뒤꿈치에 화살
- 아킬레우스의 갑옷을 두고 경쟁
: 아이아스와 오뒤쎄우스
: 경쟁에서 진 아이아스 자살(히야신스꽃 전설)
8) 파리스의 죽음
- 신탁
: 헤라클레스의 화살이 있어야 트로이성 무너트림
- 필록테테스가 헤라클레스의 화살을 가지고 있음
: 렘노스섬에 남겨졌던 필록테테스
: 디오메데스가 필록테테스를 데리러 감
- 독화살에 맞는 파리스
- 파리스는 그의 전 아내 오이노네를 찾음
- 오이노네는 약초에 대해 지식이 풍부했지만, 자신을 버린 파리스가 미워 도와주지 않음
9) 트로이아의 목마
- 오뒤쎄우스의 꾀
- 그리스 군의 위장, 퇴각과 목마
- 낙오병 시논(목마가 트로이 수중으로 넘어가면 그리스 정복)
- 신관 라오콘 부자의 죽음(트로이 목마를 부수어 없애야 한다고 주장)
- 성 안으로 옮겨지는 트로이 목마
- 트로이 멸망
- 트로이 왕 프리아모스의 죽음
- 왕비 헤카베와 딸 카산드라는 그리스로 끌려감
- 폴뤽세나는 아킬레우스 장래에 산채로 제물이 됨
10) 귀환, 비극의 탄생
- 메넬라오스와 헬레네
- 아가멤논과 클뤼타임네스트라
: 왕비와 정부(아이기스토스)의 아가멤논 살해
: 엘렉트라와 오레스테스 (딸, 아들) 도망감
: 오레스테스의 모친과 정부 살해
: 에리스의 저주를 받은 오레스테스
: 오레스테스와 퓔라데스(사촌)의 방랑
: 타우리스의 이피게네이아를 만남
: 에리스의 저주로 인해 법정에 서게된 오레스테스
: \'아레이오스 파고스\' 법정에서의 무죄
2. 오뒤쎄이아
<오뒤쎄이아>
- 호메로스의 작품으로 전해지는 대서사시
- 저자 : 호메로스
- 장르 : 서사시
- 내용 : 그리스군의 트로이 공략 후 오뒤쎄우스의 10년간에 걸친 모험과 귀국에 관한 이야기(40일간의 사건으로 처리)
- 귀향자 모티프와 선원 모티프가 오뒤쎄우스라는인물을 통해 트로이아 전설과 결합(일리아스 - 분노의 모티프)
- 오뒤쎄이아 1권 1행 \'말해주오, 뮤즈여, 트로이의 성스런 아성을 약탈한 후에~\'
<구성>
- 1~4권(이타케, 퓔로스, 스파르타)
1권(이타케) 신들의 회의, 이타케로 온 아테나
2권(이타케) 이타케인들의 최후와 델레마코스의 출항
3권(퓔로스) 네스토르
4권(스파르타) 메넬라오스
5권(오이기아) 칼뤼포스의 오뒤쎄우스, 출항
6권~8권 파이아케스족의 나라
9~12권(파이아케스족의 나라 - 알키누스 왕의 궁전) 오뒤쎄우스 이야기
9권 키코네스족의 나라(이스마로스), 로토파고이족의 나라, 퀴클로프스들의 나라
10권 아이올로스 섬, 라이스트뤼고네스족, 키르케(아이아미아)
11권 죽음의 세계
12권 세이렌, 스퀼라와 카리브디스, 트리아키아
13~24권(이타케) 귀향, 구혼자들과의 싸움, 해결
1) 오뒤쎄우스
- 탄생 : 라에르테스(/시시포스)+안티클레이아
- 이름 : 아우톨리코스의 작명 → 오뒤쎄이아(증오의 희생물)
- 결혼 : 틴타레오스에게 조언(딸 헬레네와 구혼자들), 페넬로페와 결혼, 아들 텔레마코스 (오뒤쎄우스의 교활성)
2) 텔레마코스
- <<오뒤쎄이아>>는 그가 내성적인 젊은이로부터 자신만만하고 재치있는 젊은이로 성장하는 과정을 묘사
- 오뒤쎄우스의 트로이전쟁 출전 후 이타케의 상황
: 어머니 페넬로페와 많은 구혼자들
: 아테나 여신의 설득과 출항(필로스의 \'네스토르\', 스파르타의 \'메넬라오스\')
3) 페넬로페
- 정숙과 인내 : 20년간 오뒤쎄우스를 기다림(시 아버지 라에르데의 수의를 만들면서 = 페넬로페의 베짜기)
- 남편의 귀환
4) 오뒤쎄우스의 모험
① 퀴코네스족의 나라, 이스마로스
- 이스마로스의 키코네스 족과의 무력충돌, 포도주
② 연을 먹는 사람들의 나라, 로토파고이
- 이곳의 연을 먹으면 이곳에서 살고 싶어짐
③ 퀴클롭스 섬
* 퀴클롭스
: 둥근 눈 하나가 이마에 있음
: 포세이돈의 아들
- 퀴클롭스 폴뤼페모스에게 잡혀서 먹히는 부하들
- 오뒤쎄우스는 폴뤼페모스에게 술을 먹이고,
- 자신을 우티테스(아무도 아닌자)라고 소개
- 폴뤼페모스의 눈을 찌름
- 눈이 먼 폴뤼페모스와 양들을 이용해 탈출
④ 아이올로스의 섬
- 바람의 섬 아이올로스
- 방해가 되는 바람을 자루에 넣어 오뒤쎄우스에게 줌
- 순풍으로 평탄한 항해
- 부하들이 자루를 열어 봄
- 역풍, 다시 아이올로스 섬으로 감
⑤ 라이스트뤼고네스 족이 나라
- 식인 거인 라이스트뤼고네스 족들의 공격
- 살아남은 오뒤쎄우의 배
⑥ 아이아이아 섬
- 마녀 키르케가 사람을 동물로 변신 시킴
- 헤르메스의 도움을 받아 몰뤼 라는 약초를 먹고 변하지 않은 오뒤쎄우스
- 키르케의 환대, 아들 텔레고노스
- 키르케는 저승으로 가 테이레시아스의 예언을 들으라고 함
- 테이레시아스는 헬리오스의 소를 건드리면 죽게 된다고 함
- 키르케의 세이렌 섬과 스
추천자료
[사회과학] 그리스 로마 신화 [독후감/서평/요약]
[독후감] 그리스 로마 신화 [사회과학]
그리스 로마 신화의 세계로 당신을 초대합니다...
그리스 신화와 한국 건국 신화 - 그 속에 나타난 여성의식 연구
그리스 신화(비극)에 관하여
그리스로마신화 분석 + Odysseia에 등장하는 신들 분석 [A++]
[사회과학] 서양 문화와 신화
한국인에게 있어 그리스 로마 신화의 의미와 앞으로 미치게 될 영향
베르나르 베르베르 「신」에 등장하는 '신'들의 인간적 요소. -그리스 로마신화와 산해경과의...
[서양 역사와 문화] 그리스 로마 신화와 한국 전설의 비교
그리스, 로마 신화 - 아프로디테 & 헤파이스토스
[문학과 인간탐구] 그리스로마신화와 인간상 - ‘바우키스와 필레몬’의 이야기-
그리스로마신화)신화와 문학의 연구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