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1
Ⅱ. 본론···························1
(1) 폴로 랄프로렌······················1
1) 브랜드 의미······················1
2) 브랜드 소개······················2
3) 브랜드 컨셉······················2
4) 브랜드 역사······················2
(2) 빈 폴·························3
1) 브랜드 의미······················3
2) 브랜드 소개······················4
3) 브랜드 컨셉······················4
4) 브랜드 역사······················4
(3) 폴로와 빈폴 브랜드 확장·················5
(4) 마케팅 분석(4P)···················5
1) 폴 로························5
2) 빈 폴························6
Ⅲ. 결론··························8
※ 참고 문헌························9
Ⅱ. 본론···························1
(1) 폴로 랄프로렌······················1
1) 브랜드 의미······················1
2) 브랜드 소개······················2
3) 브랜드 컨셉······················2
4) 브랜드 역사······················2
(2) 빈 폴·························3
1) 브랜드 의미······················3
2) 브랜드 소개······················4
3) 브랜드 컨셉······················4
4) 브랜드 역사······················4
(3) 폴로와 빈폴 브랜드 확장·················5
(4) 마케팅 분석(4P)···················5
1) 폴 로························5
2) 빈 폴························6
Ⅲ. 결론··························8
※ 참고 문헌························9
본문내용
이는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고 고급 상품이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1994년에 노세일 정책을 선언하고 현재까지 이 정책을 일관 되게 유지하고 있다. 폴로와 마찬가지로 타 트래디셔널 브랜드와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수준이지만 고급라인인 컬렉션의 가격은 클래식 기준으로 1.5-2배 정도의 고가격대로 판매되고 있다.
③ 장소(Place:유통)
빈폴은 브랜드 런칭 이후 1990년대 초반까지는 백화점에 진출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백화점 내 단독 코너 매장을 열기에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어렵게 진출하였어도 7-8평 정도의 소규모 매장이었다. 그러나 빈폴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증가하고 매출이 늘어나면서 1995년에는 백화점의 매장 규모가 20평 정도로 확대되었다. 대형 백화점의 본점 공략이 수월하지 않음에 따라 외곽 점포로부터 시작하여 결국 최고 상권의 모든 매장을 대형 점포로 전환시켰으며, 또한 대리점 사업으로 진출하는데도 성공함으로서 가두 대리점도 확보하였다. 특히 지역별로 반드시 필요한 곳의 거점 유통망을 집중 확보하여 전국적인 유통 네트워크의 조기 정착을 실현하였다. 클래식 라인의 국내 현황을 보면 강남점과 명동점의 플래그쉽 스토어와 인천 국제공항 면세점을 포함 총 92개점이며, 백화점(62개)와 대리점(30개)로 백화점에 더 치중되어 있다.
폴로와 마찬가지로 시즌 종료 1년이 지난 재고에 대해서는 상설할인매장에서 별로 관리를 하고 있으나 빈폴 직영 상설할인매장이 아닌 제일모직 아울렛이라는 이름의 매장에서 판매가 되고 있다.
④ 촉진(Promotion)
빈폴은 국내 브랜드여서 인지 폴로와 반대로 TV를 통한 광고를 차별화되고 집중된 이미지로 진행한다. 1993년 ‘그녀의 자전거가 내 가슴에 들어왔다’라는 TV CF와 배경 음악은 선풍적인 인기를 모으며, 빈폴을 한번쯤 입고 싶은 옷으로 만드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런칭 이후 자전거, 광고 카피, 배경 음악 등의 3가지 테마로 장기간의 연속 광고를 통한 이미지 전달은 빈폴의 높은 인지도를 확보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 하였으며 2005년 F/W 시즌부터는 빈폴 인터내셔널의 출범과 함께 세계적인 허리우드 여배우 기네스 팰트로와 최고의 인기를 얻고 있던 한국계 미국인 다니엘 헤니를 모델로 하여 글로벌 이미지의 구축을 위해 TV 광고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한국에서의 미국 드라마 열풍에 맞추어 프리즌 브레이크로 유명해진 웬트워스 밀러를 빈폴 진의 모델로 발탁하였다. 이외에도 빈폴은 패션 잡지와 PPL 외에 신문 상의 PR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또한 빈폴은 사회봉사 활동 및 다양한 문화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자사 이미지와 맞는 자전거 타기 캠페인을 시작하였으며, 2003년 이후 매년 2회에 걸쳐서 자선바자회를 통한 수입금과 의류기증으로 어려운 이웃을 돕고 있다. 그리고 자연 친화적인 이미지를 만드는데 앞장을 서고 이런 이미지를 바탕으로 매년 자연사랑 캠페인을 실시하고 상품에서 언급하였듯이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상품을 내놓으면서 소비자들에게 빈폴이 환경 친화적이라는 이미지를 심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빈폴 홈페이지(http://www.beanpole.com) 사회 활동 참고
Ⅲ. 결론
한국의 트래디셔널 캐주얼 시장에서 선발 주자로 나서 인정을 받게 된 글로벌 매스티지 브랜드인 폴로와 그런 폴로를 잡기 위해서 폴로를 벤치마킹을 하고 결국에는 한국에서 최고의 트래디셔널 브랜드이자 매스티지로 인정받은 빈폴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브랜드가 내놓은 상품은 소비자로부터 매출을 이끄는 대중성 있는 중고(中高)가의 제품을 위주로 구성하는 동시에 차별화가 부족한 현상을 보완하기 위해 과시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고급화 라인을 진행하였다. 폴로는 브랜드의 고급화 라인업 정책으로 매스티지를 실현시켰고, 빈폴은 폴로를 벤치마킹을 하고 후발주자로 시장에 뛰어든 만큼 미투(me-too) 성격의 제품군으로 런칭한 뒤 지속적인 브랜드의 고급화 라인업 정책을 실시하여 한국적 매스티지를 실현하였다. 폴로와 빈폴은 이와 같은 브랜드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정책과 더불어 한 기업에서 생산되는 유사제품군이나 전체 품목에 동일하게 부착하는 ‘패밀리 브랜드(Family Brand) 정책’을 동시에 진행시킴으로서 큰 성공을 이루었다. 가격정책에 있어서는 폴로와 빈폴 모두 라인에 따라 차별화를 두었다. 자신들이 내세운 대중성을 가지고 있는 라인에 대해서는 타사의 트래디셔널 브랜드와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가격을 정하였지만, 고급화 라인에 있어서는 확실한 고가격 정책으로 차별화를 두었다. 장소(유통)정책에서도 두 브랜드 모두 서울에 있는 주요 상권에 플래그쉽 스토어를 운영하고 있으며, 가두점 보다는 대형 유통망인 백화점에 좀 더 치중하고 있다. 차이가 있다면 폴로의 경우 플래그쉽 스토어를 제외한 가두점이 없다는 것이다. 촉진에 있어서는 차이점이 뚜렷이 드러나는데, 폴로의 경우 TV를 통한 광고를 하지 않고 주로 인쇄매체를 통하여 폴로만의 라이프스타일을 전달하는 반면 빈폴은 TV를 통하여 스토리 있는 광고와 인지도 있는 모델을 보여주고 각종 사회 활동을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빈폴 만의 이미지를 심어주는 것에 성공하였다.
◆ 참고 문헌 ◆
김선숙, [매스티지 명품에 관한 고찰, 제 1보 : 추구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005.
김인국, [빈폴과 폴로의 브랜드 자산 연구],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06.
박송애 외, [국내 의류 상품의 트래디셔널 브랜드 마켓에 관한 연구], 복식학회지, 2002.
조주연 외, [매스티지 브랜드의 비교 연구 : 폴로와 빈폴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7
◆ 참고 사이트 ◆
국회전자도서관 http;//u-lib.nanet.go.kr:8080/
네이버 http://www.naver.com/
랄프로렌 홈페이지 http://kr.ralphlauren.com/
빈폴 홈페이지 http://www.beanpole.com/
한국경제신문 인터넷신문 http://www.hankyung.com/
한국일보 인터넷신문 ‘한국아이닷컴’ http://www.hankooki.com/
③ 장소(Place:유통)
빈폴은 브랜드 런칭 이후 1990년대 초반까지는 백화점에 진출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백화점 내 단독 코너 매장을 열기에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어렵게 진출하였어도 7-8평 정도의 소규모 매장이었다. 그러나 빈폴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증가하고 매출이 늘어나면서 1995년에는 백화점의 매장 규모가 20평 정도로 확대되었다. 대형 백화점의 본점 공략이 수월하지 않음에 따라 외곽 점포로부터 시작하여 결국 최고 상권의 모든 매장을 대형 점포로 전환시켰으며, 또한 대리점 사업으로 진출하는데도 성공함으로서 가두 대리점도 확보하였다. 특히 지역별로 반드시 필요한 곳의 거점 유통망을 집중 확보하여 전국적인 유통 네트워크의 조기 정착을 실현하였다. 클래식 라인의 국내 현황을 보면 강남점과 명동점의 플래그쉽 스토어와 인천 국제공항 면세점을 포함 총 92개점이며, 백화점(62개)와 대리점(30개)로 백화점에 더 치중되어 있다.
폴로와 마찬가지로 시즌 종료 1년이 지난 재고에 대해서는 상설할인매장에서 별로 관리를 하고 있으나 빈폴 직영 상설할인매장이 아닌 제일모직 아울렛이라는 이름의 매장에서 판매가 되고 있다.
④ 촉진(Promotion)
빈폴은 국내 브랜드여서 인지 폴로와 반대로 TV를 통한 광고를 차별화되고 집중된 이미지로 진행한다. 1993년 ‘그녀의 자전거가 내 가슴에 들어왔다’라는 TV CF와 배경 음악은 선풍적인 인기를 모으며, 빈폴을 한번쯤 입고 싶은 옷으로 만드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런칭 이후 자전거, 광고 카피, 배경 음악 등의 3가지 테마로 장기간의 연속 광고를 통한 이미지 전달은 빈폴의 높은 인지도를 확보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 하였으며 2005년 F/W 시즌부터는 빈폴 인터내셔널의 출범과 함께 세계적인 허리우드 여배우 기네스 팰트로와 최고의 인기를 얻고 있던 한국계 미국인 다니엘 헤니를 모델로 하여 글로벌 이미지의 구축을 위해 TV 광고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한국에서의 미국 드라마 열풍에 맞추어 프리즌 브레이크로 유명해진 웬트워스 밀러를 빈폴 진의 모델로 발탁하였다. 이외에도 빈폴은 패션 잡지와 PPL 외에 신문 상의 PR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또한 빈폴은 사회봉사 활동 및 다양한 문화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자사 이미지와 맞는 자전거 타기 캠페인을 시작하였으며, 2003년 이후 매년 2회에 걸쳐서 자선바자회를 통한 수입금과 의류기증으로 어려운 이웃을 돕고 있다. 그리고 자연 친화적인 이미지를 만드는데 앞장을 서고 이런 이미지를 바탕으로 매년 자연사랑 캠페인을 실시하고 상품에서 언급하였듯이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상품을 내놓으면서 소비자들에게 빈폴이 환경 친화적이라는 이미지를 심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빈폴 홈페이지(http://www.beanpole.com) 사회 활동 참고
Ⅲ. 결론
한국의 트래디셔널 캐주얼 시장에서 선발 주자로 나서 인정을 받게 된 글로벌 매스티지 브랜드인 폴로와 그런 폴로를 잡기 위해서 폴로를 벤치마킹을 하고 결국에는 한국에서 최고의 트래디셔널 브랜드이자 매스티지로 인정받은 빈폴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브랜드가 내놓은 상품은 소비자로부터 매출을 이끄는 대중성 있는 중고(中高)가의 제품을 위주로 구성하는 동시에 차별화가 부족한 현상을 보완하기 위해 과시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고급화 라인을 진행하였다. 폴로는 브랜드의 고급화 라인업 정책으로 매스티지를 실현시켰고, 빈폴은 폴로를 벤치마킹을 하고 후발주자로 시장에 뛰어든 만큼 미투(me-too) 성격의 제품군으로 런칭한 뒤 지속적인 브랜드의 고급화 라인업 정책을 실시하여 한국적 매스티지를 실현하였다. 폴로와 빈폴은 이와 같은 브랜드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정책과 더불어 한 기업에서 생산되는 유사제품군이나 전체 품목에 동일하게 부착하는 ‘패밀리 브랜드(Family Brand) 정책’을 동시에 진행시킴으로서 큰 성공을 이루었다. 가격정책에 있어서는 폴로와 빈폴 모두 라인에 따라 차별화를 두었다. 자신들이 내세운 대중성을 가지고 있는 라인에 대해서는 타사의 트래디셔널 브랜드와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가격을 정하였지만, 고급화 라인에 있어서는 확실한 고가격 정책으로 차별화를 두었다. 장소(유통)정책에서도 두 브랜드 모두 서울에 있는 주요 상권에 플래그쉽 스토어를 운영하고 있으며, 가두점 보다는 대형 유통망인 백화점에 좀 더 치중하고 있다. 차이가 있다면 폴로의 경우 플래그쉽 스토어를 제외한 가두점이 없다는 것이다. 촉진에 있어서는 차이점이 뚜렷이 드러나는데, 폴로의 경우 TV를 통한 광고를 하지 않고 주로 인쇄매체를 통하여 폴로만의 라이프스타일을 전달하는 반면 빈폴은 TV를 통하여 스토리 있는 광고와 인지도 있는 모델을 보여주고 각종 사회 활동을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빈폴 만의 이미지를 심어주는 것에 성공하였다.
◆ 참고 문헌 ◆
김선숙, [매스티지 명품에 관한 고찰, 제 1보 : 추구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005.
김인국, [빈폴과 폴로의 브랜드 자산 연구],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06.
박송애 외, [국내 의류 상품의 트래디셔널 브랜드 마켓에 관한 연구], 복식학회지, 2002.
조주연 외, [매스티지 브랜드의 비교 연구 : 폴로와 빈폴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7
◆ 참고 사이트 ◆
국회전자도서관 http;//u-lib.nanet.go.kr:8080/
네이버 http://www.naver.com/
랄프로렌 홈페이지 http://kr.ralphlauren.com/
빈폴 홈페이지 http://www.beanpole.com/
한국경제신문 인터넷신문 http://www.hankyung.com/
한국일보 인터넷신문 ‘한국아이닷컴’ http://www.hankooki.com/
추천자료
[경영 성공 사례] 삼성 Anycall의 사례 및 마케팅 전략 분석 (SWOT, 4P등 모두 포함 )
에버랜드(EVERLAND) 마케팅SWOT,STP,4P전략분석 파워포인트
나이키(Nike) 마케팅전략분석/기업소개/스포츠의류현황/산업구조분석/4P/PLC/SWOT/STP전략/경...
다이소 DAISO 마케팅 SWOT, STP, 4P전략분석가 다이소 마케팅시사점 분석
프로스펙스(Prospecs)W 마케팅 4P,STP,SWOT 전략분석과 프로스펙스W 스타마케팅사례분석 및 ...
현대카드 기업분석과 마케팅 SWOT,STP,4P 전략분석 및 현대카드 경쟁사분석(롯데,삼성카드)과...
GM 쉐보레 마케팅케이스 연구 : ( 쉐보레 기업분석과 마케팅 4P,SWOT,STP전략분석및 쉐보레 ...
죠스떡볶이 기업분석과 성공요인, 죠스떡볶이 마케팅 SWOT,STP,4P전략, 죠스떡볶이 향후전략제안
[롯데마트 기업전략 사례연구 PPT] 롯데마트 기업현황분석과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 롯...
올리브영 성공요인과 SWOT,STP,4P및 올리브영 마케팅사례분석과 올리브영 미래 향후전략제안
(레드불 마케팅사례) 레드불 제품분석과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레드불 미래방향제언
VIPS 빕스 성공비결과 빕스 마케팅 SWOT,STP,4P분석과 빕스 향후방향제언
커피빈 전략성공비결과 커피빈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과 커피빈 향후방향제언 PPT
파리바게트 기업분석과 파리바게트 마케팅 4P,STP,SWOT분석및 파리바게트 미래 마케팅전략 제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