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에스겔서
1. 역사적 배경
2. 연구사의 중요한 논제들
3. 문학적인 분석
4. 신학적인 메시지
5. 신약으로의 접근
다니엘서
1. 역사적 배경
2. 더 넓은 배경
3. 문학적인 분석
4. 신학적인 메시지
5. 신약으로의 접근
호세아서
1. 역사적 배경
2. 문학적인 분석
3. 신학적인 메시지
4. 신약으로의 접근
요엘서
1. 역사적 배경
2. 문학적인 분석
3. 신학적인 메시지
4. 신약으로의 접근
아모스서
1. 저작권의 문제 및 역사적 배경
2. 문학적인 구조
3. 신학적인 주제들
4. 신약으로의 접근
오바댜서
1. 역사적 배경
2. 문학적인 분석
3. 신학적인 메시지
4. 신약으로의 접근
요나서.
1. 역사적 배경
2. 문학적인 분석
3. 신학적인 메시지
4. 신약으로의 접근
1. 역사적 배경
2. 연구사의 중요한 논제들
3. 문학적인 분석
4. 신학적인 메시지
5. 신약으로의 접근
다니엘서
1. 역사적 배경
2. 더 넓은 배경
3. 문학적인 분석
4. 신학적인 메시지
5. 신약으로의 접근
호세아서
1. 역사적 배경
2. 문학적인 분석
3. 신학적인 메시지
4. 신약으로의 접근
요엘서
1. 역사적 배경
2. 문학적인 분석
3. 신학적인 메시지
4. 신약으로의 접근
아모스서
1. 저작권의 문제 및 역사적 배경
2. 문학적인 구조
3. 신학적인 주제들
4. 신약으로의 접근
오바댜서
1. 역사적 배경
2. 문학적인 분석
3. 신학적인 메시지
4. 신약으로의 접근
요나서.
1. 역사적 배경
2. 문학적인 분석
3. 신학적인 메시지
4. 신약으로의 접근
본문내용
의 선지서들의 많은 위대한 주제들을 요약해 주고 있다.”
4. 신약으로의 접근
야곱과 에서, 이스라엘과 에돔 간의 오랜 경쟁관계와 계속적인 갈등에 대해서는 신약에서 그 메아리를 찾아 볼 수 있다. 우리는 이두매인이자 에돔의 후손인 헤롯대왕이 예수를 그 탄생시에 죽이려고 한 점에서 그것을 보게 된다(마 2:16). 이 이두매인은 이스라엘이 갖추어야 할 모든 본 모습을 구현할 이 아기를 죽이려고 했었다. 그는 선택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을 변호하고 있다. 리브가의 두 아기는 한 동일한 아버지를 갖고 있었으며, 그들은 쌍둥이였다. 그러나 하나님은 “큰 자가 어린자가 섬기”게 될 것이라고 결정하셨다(창 25:23; 롬 9:13). 이것은 마치 “내가 야곱을 사랑하였고 에서는 미워하였으며”(말 1:2-3)라는 말라기서의 말씀과 같다.
요나서
사람들은 큰 물고기에게 삼켜진 이 선지자의 이야기를 잘 알고 있다. 이 이야기는 많은 사람들에게 경이를 불러일으켰고, 또 다른 많은 사람들로부터는 조롱을 샀다. 불행하게도 이 이야기의 역사성에 대한 논쟁은 이 책의 문학적인 아름다움과 신학적인 중요성을 가려 왔다. 요나서는 산문체의 내러티브이다. 이 선지자가 전한 말씀은 겨우 한 절에 들어 있으며(3:4), 이 말씀은 하나님의 이름조차 언급하지 않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당혹스러운 요나서는 오늘날과 관련성이 깊은 신학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1. 역사적 배경
이 책은 저자나 저작 연대에 대해서 아무런 단서도 갖고 있지 않다. 이 책의 주인공인 요나는 여로보암 2세(786-746년)의 치세 때에 살았던 실제 선지자이다 그는 나사렛 북동쪽의 가드헤벨 출신이었다.
열왕기하에 따르면 그는 북왕국의 영토가 확장될 것을 예언하였는데, 이 일은 여로보암의 치세 때에 이루어졌다. 일부 보수주의 학자들은 이 책이 일종의 역사 기록이라고 주장하지만, 이처럼 직설적인 역사서로 읽는 것에 대해서 반대들이 제기되었다. 그 중 가장 흔한 것은 요나가 물고기의 뱃속에서 삼 일간 있었던 것에 대한 악명 높은 논쟁이다. 회의주의자들은 이 이야기가 당혹스럽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어떤 이들은 이것은 이 책이 그저 단순한 역사적인 기록이 아니라는 것에 대한 단서라고 주장한다. 성경 기록은 하나님께서 기적적으로 개입하셨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책은 문학적으로도 상당한 역량을 가진 책이다. 이 책은 그 구조, 아이러니, 수사법적인 기교들에 있어서 아주 뛰어나다. 이러한 명백한 문학성 때문에 어떤 학자들은 이 이야기가 역사적인 기록이라기보다는 일종의 허구인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2. 문학적인 분석
요나서가 하나의 역사 기록으로 읽혀지도록 의도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 문체가 상당히 고도화 되어 있다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저자는 문체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자신의 메시지를 강화시켰다.
이러한 문체에 대한 관심은 몇 가지 핵심어휘들이 계획적으로 반복되고 있는 것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 어휘들은 이 책 전체 혹은 이 책의 어떤 특정 부분에 연결점을 제공해 준다. 이러한 핵심어휘들 중 하나는 “일어나다”(쿰)이라는 동사이다. 그리고 이 책의 구조에 대해 말하자면 각각 두 개의 장을 가진 두 개의 막으로 나눌 수가 있다. 이 두 막은 1:1-2과 3:1-2에 반복되고 있는 이 선지자를 향한 하나님의 명령에 의해서 나뉜다. 제1막에서는 대부분의 동작이 주로 바다에서 이루어진다. 그 다음의 두장(3장과 4장)은 제2막을 구성하고 있는데, 각 장은 각각 하나의 장을 형성하고 있다. 제2막의 첫 번째 장에서 요나는 설교를 하고, 니느웨는 회개를 한다. 마지막 장의 배경은 니느웨의 동쪽 편으로 옮겨지는데, 여기에서 요나는 하나님께서 심판과 구원을 베푸시는 방법을 두고 씨름한다.
3. 신학적인 메시지
요나서는 이스라엘 밖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에 대해 두 가지 방식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첫째, 이 책은 영적으로 민감한 이교도들과 잘 순종하지 않는 이스라엘 선지자를 대비시키고 있다.
둘째, 이 책은 니느웨에 대한 하나님의 생각에 초점을 맞추는 가운데 끝을 맺는다.
요나서의 이야기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하나님에게서 도망하려는 요나와 자 그가 결코 도피할 수 없고 돌아올 수 밖에 없도록 하기 위해 자신의 피조물들인 큰 물고기, 넝쿨, 벌레, 후덥지근한 동풍을 보내신다. 그는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시며, 니느웨의 하나님이시며, 전 피조물의 하나님이심을 보여주는 것이다.
4. 신약으로의 접근
4. 신약으로의 접근
야곱과 에서, 이스라엘과 에돔 간의 오랜 경쟁관계와 계속적인 갈등에 대해서는 신약에서 그 메아리를 찾아 볼 수 있다. 우리는 이두매인이자 에돔의 후손인 헤롯대왕이 예수를 그 탄생시에 죽이려고 한 점에서 그것을 보게 된다(마 2:16). 이 이두매인은 이스라엘이 갖추어야 할 모든 본 모습을 구현할 이 아기를 죽이려고 했었다. 그는 선택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을 변호하고 있다. 리브가의 두 아기는 한 동일한 아버지를 갖고 있었으며, 그들은 쌍둥이였다. 그러나 하나님은 “큰 자가 어린자가 섬기”게 될 것이라고 결정하셨다(창 25:23; 롬 9:13). 이것은 마치 “내가 야곱을 사랑하였고 에서는 미워하였으며”(말 1:2-3)라는 말라기서의 말씀과 같다.
요나서
사람들은 큰 물고기에게 삼켜진 이 선지자의 이야기를 잘 알고 있다. 이 이야기는 많은 사람들에게 경이를 불러일으켰고, 또 다른 많은 사람들로부터는 조롱을 샀다. 불행하게도 이 이야기의 역사성에 대한 논쟁은 이 책의 문학적인 아름다움과 신학적인 중요성을 가려 왔다. 요나서는 산문체의 내러티브이다. 이 선지자가 전한 말씀은 겨우 한 절에 들어 있으며(3:4), 이 말씀은 하나님의 이름조차 언급하지 않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당혹스러운 요나서는 오늘날과 관련성이 깊은 신학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1. 역사적 배경
이 책은 저자나 저작 연대에 대해서 아무런 단서도 갖고 있지 않다. 이 책의 주인공인 요나는 여로보암 2세(786-746년)의 치세 때에 살았던 실제 선지자이다 그는 나사렛 북동쪽의 가드헤벨 출신이었다.
열왕기하에 따르면 그는 북왕국의 영토가 확장될 것을 예언하였는데, 이 일은 여로보암의 치세 때에 이루어졌다. 일부 보수주의 학자들은 이 책이 일종의 역사 기록이라고 주장하지만, 이처럼 직설적인 역사서로 읽는 것에 대해서 반대들이 제기되었다. 그 중 가장 흔한 것은 요나가 물고기의 뱃속에서 삼 일간 있었던 것에 대한 악명 높은 논쟁이다. 회의주의자들은 이 이야기가 당혹스럽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어떤 이들은 이것은 이 책이 그저 단순한 역사적인 기록이 아니라는 것에 대한 단서라고 주장한다. 성경 기록은 하나님께서 기적적으로 개입하셨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책은 문학적으로도 상당한 역량을 가진 책이다. 이 책은 그 구조, 아이러니, 수사법적인 기교들에 있어서 아주 뛰어나다. 이러한 명백한 문학성 때문에 어떤 학자들은 이 이야기가 역사적인 기록이라기보다는 일종의 허구인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2. 문학적인 분석
요나서가 하나의 역사 기록으로 읽혀지도록 의도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 문체가 상당히 고도화 되어 있다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저자는 문체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자신의 메시지를 강화시켰다.
이러한 문체에 대한 관심은 몇 가지 핵심어휘들이 계획적으로 반복되고 있는 것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 어휘들은 이 책 전체 혹은 이 책의 어떤 특정 부분에 연결점을 제공해 준다. 이러한 핵심어휘들 중 하나는 “일어나다”(쿰)이라는 동사이다. 그리고 이 책의 구조에 대해 말하자면 각각 두 개의 장을 가진 두 개의 막으로 나눌 수가 있다. 이 두 막은 1:1-2과 3:1-2에 반복되고 있는 이 선지자를 향한 하나님의 명령에 의해서 나뉜다. 제1막에서는 대부분의 동작이 주로 바다에서 이루어진다. 그 다음의 두장(3장과 4장)은 제2막을 구성하고 있는데, 각 장은 각각 하나의 장을 형성하고 있다. 제2막의 첫 번째 장에서 요나는 설교를 하고, 니느웨는 회개를 한다. 마지막 장의 배경은 니느웨의 동쪽 편으로 옮겨지는데, 여기에서 요나는 하나님께서 심판과 구원을 베푸시는 방법을 두고 씨름한다.
3. 신학적인 메시지
요나서는 이스라엘 밖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에 대해 두 가지 방식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첫째, 이 책은 영적으로 민감한 이교도들과 잘 순종하지 않는 이스라엘 선지자를 대비시키고 있다.
둘째, 이 책은 니느웨에 대한 하나님의 생각에 초점을 맞추는 가운데 끝을 맺는다.
요나서의 이야기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하나님에게서 도망하려는 요나와 자 그가 결코 도피할 수 없고 돌아올 수 밖에 없도록 하기 위해 자신의 피조물들인 큰 물고기, 넝쿨, 벌레, 후덥지근한 동풍을 보내신다. 그는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시며, 니느웨의 하나님이시며, 전 피조물의 하나님이심을 보여주는 것이다.
4. 신약으로의 접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