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본문내용
포로 후기의 보편적이고 묵시적인 종말론 사상의 형성에 에스겔이 결정적인 공헌을 했다고 판단된다.
(6) 신학에 끼친 영향
신약의 중심사상과 용어에 많은 영향을 끼쳤고 초역사적이며 환상적인 종말론과 보편적인 전 인류의 구원, 하나님의 은혜와 성령에 의한 영성의 회복과 내면적인 개인 신앙의 갱신 등 신약에 이르기까지 계속 이어지는 영적인 흐름에 있어서 보다 더 분명하게 영적인 물줄기를 틀어서 신약의 종말론과 보편적인 구원, 은혜와 성령에 의한 갱신의 메시지로 초점이 맞추어져 가는 영적인 큰 전환점은 포로 중기의 에스겔을 거치면서 이루어지게 되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4) 신학적인 문제점
(1)통일성 문제
24장까지는 예루살렘에 있는 유대 백성들을 가까이에서 보면서 예언하는 것과 같은 분위기이나 25장부터는 갑자기 열방의 심판에 대해 예언하면서 바벨론에 있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예언하는 분위기로 바뀌게 되는데 이런 점이 전반부와 후반부의 통일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2) 에스겔의 예언과 예레미야의 예언의 공통점
불충실한 목자, 북왕국과 남왕국의 화해, 새 마음과 새 계약사상, 메시야를 제사장-왕으로 묘사 등이다.
6. 다니엘
1) 내용 분해
다니엘의 ‘남은 자’로서의 시련에 관한 이야기 (1:1-6 : 28)
전기적 형식으로 나타나는 다니엘의 종말론적 환상(7 : 1-12 : 13)
2) 시대적 배경
다니엘은 에스겔처럼 주전 597년 바벨론의 느부갓네살이 침공했을 때 유대의 백성들이 여호야긴 왕과 함께 포로로 끌려갈 때 바벨론에 끌려온 사람들 중에 한 사람이었다. 다니엘은 포로 귀환에 합류하지 않고 바사에 그대로 남았다.
3) 신학과 교훈
(1) 절대주권적, 초월적 신관
다니엘의 전기를 기술하려는 것이 안다. 본서는 포로기 동안의 이스라엘의 역사나 바벨론 포로에 대해서도 기록하지 않고 있다. 다니엘의 전기적 사건을 통해서 하늘에 계신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종들과 그의 백성들을 위한 계획을 성취하기 위해서 어떻게 권능으로 섭리를 엿볼 수 있다.
(2) 초역사적, 보편적 종말론 사상-하나님의 나라와 메시야 사상
느부갓네살이 꿈에서 본 신상은 하나님이 역사의 주관자 되심을 분명히 말씀하고 있는 것이다. 2 ;44에서는 중요한 언급을 하는데 하나님의 나라는 분명히 초역사적으로 임하는 하나님의 나라이다.
4) 신학적인 문제점 - 다니엘서의 통일성
다니엘서는 기록연대에 대하여 여러 가지 이견이 있어서 마카비시대인 주전 2세기에 기록되었다는 주장도 있고 마카비시대 초에 살았다고 하는 이야기도 있다. 또한 언어에 있어서의 통일성에 대한 문제도 있다.
7. 호세아
1) 내용분해
이스라엘과 하나님의 관계를 보여 주는 호세아의 가정생활- 1:1-3 :5
호세아의 메시지 - 4 : 1-14 : 9
2) 시대적 배경
(1) 호세아의 활동연대
예언자 호세아는 브에리의 아들로서 문서 예언자들 중에서는 유하게 북이스라엘 출신이다. 호세아 1 : 1표제에 의하면 호세아는 북이스라엘은 여로보암 2세가통치하고 남유다는 웃시야 왕이 통치하던 시기에 소명을 받았다.
(2) 호세아의 소명과 생애
호세아의 출신과 활동지역은 북왕국이었으나 그의 출생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다만 고멜이 디블라임의 딸 이라고 하는데 디블라임이 지명이라면 길르앗 지방으로 호세아도 길르앗 지방에서 출생했다고 하는 견해가 있고 호세아의 이름이 동시대의 호세아 왕, 이사야, 그리고 여호수아와 같은 왕족의 이름이어서 호세아가 왕족 출신이라고 주장하는 것이 오히려 좀더 타당하다. 호세아는 중앙성소의 제사장 제도에 대해 반대하거나 구지파체제의 신앙형태를 옹호하는 예언을 했다고 주장했는데 이러한 볼프의 주장이 설득력이 있기도 하다.
(3) 호세아서의 역사적 배경
예언활동시기는 750~724년 사이로 주전 755년경에 북왕국에서 활동했던 아모스와 같은 것이었으며, 역사적 배경에 있어서는 아모스 뿐만 아니라 남왕국에서 740년경에 부름받아서 활동했던 이사야와 같다. 호세아는 하나님의 심판의말씀을 선포하는 것이었다.
3) 신학과 교훈
(1) 계약신앙-하나님을 아는 지식과 사랑(헤세드)
아모스와 같이 확고한 유일신 신앙에서 출발하는 점은 동일하다. 호세아의 신학은 유일신 여호와께 대한 계약신앙에 바탕을 둔 깊은 영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2) 고난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영적인 갱신의 신학
민족적인 고난과 재앙은 죄의 결과라는 것이 아모스와 그 이전의 전통적인 예언자와 신명기적 예언자들에게 나타나는 공통적인 사상이고 호세아에게도 이러한 심판사상이 있기도 하다. 그러나 호세아에게 있어서 고난이나 재앙은 매우 지혜자적이어서 후기 지혜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이스라엘의 고난은 불순물을 거르기 위한 연단이라고 이해한다. 호세아는 아모스에게서처럼 재앙이나 심판만이라기보다는 여호와께로 돌아오도록 하기 위한 여호와의 사랑의 채찍으로 이해했다.
4) 신학적인 문제점
(1) 호세아서 1~3장의 문제
비평학자들은 호세아의 결혼기사는 실제 일어난 사건이 아니라 하나의 알레고리로 보고 있다. 그 이유는 그 사건이 매우 극적이라는 것이며, 호세아의 자녀들의 이름에 관한 이야기도 유화적인 분위기를 느끼게 하기 때문이다.
(2) 호세아서의 역사전승
호세아서의 메시지는 이스라엘의 역사와 철저하게 관련되어 있다. 호세아는 자신이 처하여 있는 역사 현실에 대한 통찰을 통하여 자기 민족의 관계와 미래의 역사를 해석하고 경고한 예어자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예언자이다.
8. 요엘
1) 내용 분해
여호와의 날의 징조로 나타난 메뚜기 재앙 - 1 : 1-2 : 11
회개에 대한 요청과 축복의 약속 -2 : 12- 32
열방 심판과 유다의 구원 - 3 : 1 -21
2) 시대적 배경
요엘서 안에 있는 증거들을 통해 요엘의 예언이 행해진 연대를 측정하여 본 결과, 학자들에 따라 9-2세기까지 간격이 벌어져 있다. 요엘서는 닥친 메뚜기 재앙이 임박한 여호와의 날에 임할 여호와의 진노의 심판에 대한 전조이므로 이 기회를 틈타서 금식하며 애통하며 회개할 것을 부르짖는 예언인 것이다.
3) 신학과 교훈
(1) 재난의 의미와 내면적인 회개
메뚜기와 가뭄의 재난의 비참하
(6) 신학에 끼친 영향
신약의 중심사상과 용어에 많은 영향을 끼쳤고 초역사적이며 환상적인 종말론과 보편적인 전 인류의 구원, 하나님의 은혜와 성령에 의한 영성의 회복과 내면적인 개인 신앙의 갱신 등 신약에 이르기까지 계속 이어지는 영적인 흐름에 있어서 보다 더 분명하게 영적인 물줄기를 틀어서 신약의 종말론과 보편적인 구원, 은혜와 성령에 의한 갱신의 메시지로 초점이 맞추어져 가는 영적인 큰 전환점은 포로 중기의 에스겔을 거치면서 이루어지게 되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4) 신학적인 문제점
(1)통일성 문제
24장까지는 예루살렘에 있는 유대 백성들을 가까이에서 보면서 예언하는 것과 같은 분위기이나 25장부터는 갑자기 열방의 심판에 대해 예언하면서 바벨론에 있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예언하는 분위기로 바뀌게 되는데 이런 점이 전반부와 후반부의 통일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2) 에스겔의 예언과 예레미야의 예언의 공통점
불충실한 목자, 북왕국과 남왕국의 화해, 새 마음과 새 계약사상, 메시야를 제사장-왕으로 묘사 등이다.
6. 다니엘
1) 내용 분해
다니엘의 ‘남은 자’로서의 시련에 관한 이야기 (1:1-6 : 28)
전기적 형식으로 나타나는 다니엘의 종말론적 환상(7 : 1-12 : 13)
2) 시대적 배경
다니엘은 에스겔처럼 주전 597년 바벨론의 느부갓네살이 침공했을 때 유대의 백성들이 여호야긴 왕과 함께 포로로 끌려갈 때 바벨론에 끌려온 사람들 중에 한 사람이었다. 다니엘은 포로 귀환에 합류하지 않고 바사에 그대로 남았다.
3) 신학과 교훈
(1) 절대주권적, 초월적 신관
다니엘의 전기를 기술하려는 것이 안다. 본서는 포로기 동안의 이스라엘의 역사나 바벨론 포로에 대해서도 기록하지 않고 있다. 다니엘의 전기적 사건을 통해서 하늘에 계신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종들과 그의 백성들을 위한 계획을 성취하기 위해서 어떻게 권능으로 섭리를 엿볼 수 있다.
(2) 초역사적, 보편적 종말론 사상-하나님의 나라와 메시야 사상
느부갓네살이 꿈에서 본 신상은 하나님이 역사의 주관자 되심을 분명히 말씀하고 있는 것이다. 2 ;44에서는 중요한 언급을 하는데 하나님의 나라는 분명히 초역사적으로 임하는 하나님의 나라이다.
4) 신학적인 문제점 - 다니엘서의 통일성
다니엘서는 기록연대에 대하여 여러 가지 이견이 있어서 마카비시대인 주전 2세기에 기록되었다는 주장도 있고 마카비시대 초에 살았다고 하는 이야기도 있다. 또한 언어에 있어서의 통일성에 대한 문제도 있다.
7. 호세아
1) 내용분해
이스라엘과 하나님의 관계를 보여 주는 호세아의 가정생활- 1:1-3 :5
호세아의 메시지 - 4 : 1-14 : 9
2) 시대적 배경
(1) 호세아의 활동연대
예언자 호세아는 브에리의 아들로서 문서 예언자들 중에서는 유하게 북이스라엘 출신이다. 호세아 1 : 1표제에 의하면 호세아는 북이스라엘은 여로보암 2세가통치하고 남유다는 웃시야 왕이 통치하던 시기에 소명을 받았다.
(2) 호세아의 소명과 생애
호세아의 출신과 활동지역은 북왕국이었으나 그의 출생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다만 고멜이 디블라임의 딸 이라고 하는데 디블라임이 지명이라면 길르앗 지방으로 호세아도 길르앗 지방에서 출생했다고 하는 견해가 있고 호세아의 이름이 동시대의 호세아 왕, 이사야, 그리고 여호수아와 같은 왕족의 이름이어서 호세아가 왕족 출신이라고 주장하는 것이 오히려 좀더 타당하다. 호세아는 중앙성소의 제사장 제도에 대해 반대하거나 구지파체제의 신앙형태를 옹호하는 예언을 했다고 주장했는데 이러한 볼프의 주장이 설득력이 있기도 하다.
(3) 호세아서의 역사적 배경
예언활동시기는 750~724년 사이로 주전 755년경에 북왕국에서 활동했던 아모스와 같은 것이었으며, 역사적 배경에 있어서는 아모스 뿐만 아니라 남왕국에서 740년경에 부름받아서 활동했던 이사야와 같다. 호세아는 하나님의 심판의말씀을 선포하는 것이었다.
3) 신학과 교훈
(1) 계약신앙-하나님을 아는 지식과 사랑(헤세드)
아모스와 같이 확고한 유일신 신앙에서 출발하는 점은 동일하다. 호세아의 신학은 유일신 여호와께 대한 계약신앙에 바탕을 둔 깊은 영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2) 고난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영적인 갱신의 신학
민족적인 고난과 재앙은 죄의 결과라는 것이 아모스와 그 이전의 전통적인 예언자와 신명기적 예언자들에게 나타나는 공통적인 사상이고 호세아에게도 이러한 심판사상이 있기도 하다. 그러나 호세아에게 있어서 고난이나 재앙은 매우 지혜자적이어서 후기 지혜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이스라엘의 고난은 불순물을 거르기 위한 연단이라고 이해한다. 호세아는 아모스에게서처럼 재앙이나 심판만이라기보다는 여호와께로 돌아오도록 하기 위한 여호와의 사랑의 채찍으로 이해했다.
4) 신학적인 문제점
(1) 호세아서 1~3장의 문제
비평학자들은 호세아의 결혼기사는 실제 일어난 사건이 아니라 하나의 알레고리로 보고 있다. 그 이유는 그 사건이 매우 극적이라는 것이며, 호세아의 자녀들의 이름에 관한 이야기도 유화적인 분위기를 느끼게 하기 때문이다.
(2) 호세아서의 역사전승
호세아서의 메시지는 이스라엘의 역사와 철저하게 관련되어 있다. 호세아는 자신이 처하여 있는 역사 현실에 대한 통찰을 통하여 자기 민족의 관계와 미래의 역사를 해석하고 경고한 예어자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예언자이다.
8. 요엘
1) 내용 분해
여호와의 날의 징조로 나타난 메뚜기 재앙 - 1 : 1-2 : 11
회개에 대한 요청과 축복의 약속 -2 : 12- 32
열방 심판과 유다의 구원 - 3 : 1 -21
2) 시대적 배경
요엘서 안에 있는 증거들을 통해 요엘의 예언이 행해진 연대를 측정하여 본 결과, 학자들에 따라 9-2세기까지 간격이 벌어져 있다. 요엘서는 닥친 메뚜기 재앙이 임박한 여호와의 날에 임할 여호와의 진노의 심판에 대한 전조이므로 이 기회를 틈타서 금식하며 애통하며 회개할 것을 부르짖는 예언인 것이다.
3) 신학과 교훈
(1) 재난의 의미와 내면적인 회개
메뚜기와 가뭄의 재난의 비참하
추천자료
기독교사회복지를 위한 구약 성서적 토대
구약개요 요약
에스겔서(B. S. 차일즈의 『구약정경개론』을 중심으로)
한국교회의 설교학개론(정장복) 4장-6장 요약
구약 성경 신약 셩경 서론 요약
구약통전 상 요약
구약성경 각권의 개요 요약 정리
성서주해-로마서 요약
구약총론 1-3장 요약
[교육학개론] 제1장 교육과 교육학 요약
<사회봉사의 성서신학적 이해> 요약 _ 이재서 저 (기독교 사회봉사의 개념과 가치, 사도들의 ...
성경통독, 성경 개론, 구약, 신약, 통독자료
[사회복지개론] 노인 장기보험에 대하여 요약하시오.
구약개론_www.riss.krindex.do에 접속 후에, 자신이 궁금해 하고 가장 관심이 가는 문제나 주...
소개글